print

트럼프 인플레이션 견제해야...올해 마지막 FOMC서 '매파적 인하' 전망

물가 상승 등 우려로 금리 인하 2~3회 예상

제롬 파월 미국 연준 의장.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박지수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하 속도가 내년부터 줄어들 것이란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올해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0.25% 낮추지만, 내년 인하 속도는 늦출 것이라는 매파적 인하 가능성이 높다.

15일 미국 경제지 CNBC에 따르면 에버코어는 "12월 FOMC 회의를 기점으로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성도 달라질 것"이라며 "이번 회의는 금리인하 사이클의 첫 번째 단계가 끝나는 시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연준이 이번 회의를 통해 추가적인 금리인하와 관련해선 더 신중한 자세를 취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힐 것"이라고 전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서도 시장 관계자 중 97%가 연준이 12월 FOMC 회의에서 0.25%p 금리인하를 단행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다만 1월 FOMC 회의부터는 금리인하 사이클을 일시 중단하고 동결할 가능성에 무게감이 실린다.

이유는 트럼프 집권 2기의 인플레이션 반등 리스크를 대비하기 위함이다. 불법 이민자 대규모 추방 시 근로자 부족 현상으로 식료품 가격이 급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고, 현재의 정부지출 수준보다 늘어날 것이 예상되기 때문에 이를 따라잡기 위해서는 금리 인하 속도 조절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매파적 인하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며 "미 신행정부 정책 영향을 점검해야 하는 가운데 견조한 경기상황을 감안할 때 파월 연준 의장을 중심으로 연준 위원들의 신중한 인하 필요성을 거듭 주장해왔기 때문이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앤컴퍼니, ‘특수가스 글로벌 1위’ SK스페셜티 지분 85% 인수

2K-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한 관심 줄어…글로벌 자본 미국 시장으로 집중

3“대출 경험 有” 청년 절반은 23살부터 빚진다…잔액은 얼마?

4공매도 재개 첫날, 트럼프 관세 공포 겹치며 무너진 증시 향방은

5간암 신약 '삼수' 도전하는 HLB...진양곤 회장 "반드시 허가받겠다"

6삼성, 자체적으로 인증한 '중고 갤럭시' 판다...가격은?

7머스크 “한국, 3세대 지나면 인구 4% 수준…돌이킬 수 없어”

8서울시, 무주택 청년에 부동산 중개보수·이사비 40만원 지원한다

9프랑스 당국, 애플에 1억5000만유로 과징금

실시간 뉴스

1한앤컴퍼니, ‘특수가스 글로벌 1위’ SK스페셜티 지분 85% 인수

2K-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한 관심 줄어…글로벌 자본 미국 시장으로 집중

3“대출 경험 有” 청년 절반은 23살부터 빚진다…잔액은 얼마?

4공매도 재개 첫날, 트럼프 관세 공포 겹치며 무너진 증시 향방은

5간암 신약 '삼수' 도전하는 HLB...진양곤 회장 "반드시 허가받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