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도 중국 여행은 좀…” 무비자 효과 없었다
팬데믹 이전의 63% 회복에 그쳐

10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지난해 1∼3분기에 중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 수는 2300만명으로, 중국 목표치에 한참 못 미친 수준으로 조사됐다. 2023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두 배 이상 늘어났지만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63%에 불과한 수준이다.
특히 미국과 서유럽 국가 출신 관광객은 매우 적었고, 주로 근처 아시아 국가 출신 외국인이 중국을 방문한 것으로 파악됐다.
블룸버그는 "서방 국가에서 중국을 바라보는 인식이 나빠졌다"면서 "경제적·정치적 이유로 중국 여행의 선호도도 자연스레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중국은 지난해 1억9000만명의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해 수십억달러의 경제효과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으나 현실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가이 루빈 중국 전문 여행사 임페리얼 투어 설립자는 "미국인들은 일반적으로 중국을 두려워한다"면서 "사람들은 지정학적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말하지만 사실은 전혀 그렇지 않다"고 전했다.
중국은 팬데믹 이전 싱가포르·일본·브루나이 등의 국가에만 제한적으로 무비자를 허용했었지만, 지난해 한국을 포함한 38개 국가에 대한 무비자 정책을 확장했다. 54개 국가의 경우 중국 환승 경유에 대해서도 비자 면제 정책을 실시했다.
블룸버그는 "과거 중국은 비자 면제 정책을 실시할 때 상대 국가에 호혜적 요구를 하는 경향이 강했다"면서 "이제는 일방적 비자 면제를 주도적으로 제공해 심각한 디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하락) 상황에서 외국인 소비자를 유치하려는 절박함이 엿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美국무부...尹파면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2두나무 예수부채 8조원 돌파…증권사급 자산 몰렸다
3탄핵 정국 해소 불구 관세 공포에 ‘롤러코스터’ 장세
4 조두순, 하교 시간대 또 거주지 무단이탈
5자신만만 트럼프, 상호관세 이후 "호황 누릴 것" 왜?
6미· 중 관세 전쟁 서막...中 “모든 美 수입품 34% 관세 부과
7美 증시 급락에도…월가 전략가 “지금이 매수 기회”
8'탄핵 인용' 90% 예견한 챗GPT... 일명 '지(G) 선생' 근거 살펴보니
9"오바마가 왜 여기서 나와" 벚꽃사진 찍다 생긴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