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지난해 매출액 87조원...역대 최대 기록
4개 사업본부 모두 전년 대비 매출 성장
생활가전, 전장 9년 연속 성장세

매출액 측면에서는 전사 캐시카우 역할을 담당하는 생활가전과 B2B 성장의 한 축을 맡은 전장 사업이 각각 9년 연속 성장세를 이어가는 등 전사 최대 매출액 달성에 기여했다. HE, BS사업본부 역시 전년 대비 매출액이 늘었다.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소폭 줄었다. 글로벌 가전 수요회복 지연이 이어졌고 하반기 물류비 상승 요인 등 외부 변수의 영향이 불리하게 작용했으나, 연간 기준으로 보면 사업 포트폴리오 재편에 따른 질적 성장이 이어졌고 매출 규모 증가에 따른 영업 레버리지 효과로 안정적 수익구조를 유지했다.
각 본부별로 보면 H&A사업본부는 2024년 매출액 33조2033억 원을 기록했다. 재작년 처음으로 연 매출액 30조 원 시대를 열었는데, 지난해에는 두 자릿수 매출 증가를 달성하는 저력을 보였다. 영업이익은 2조 446억 원을 기록했다. 물류비 증가 영향에도 지난 2021년 이후 3년 만에 다시 영업이익 2조원을 넘겼다.
가전구독과 D2C(소비자직접판매)와 같은 사업방식 변화가 질적 성장으로 이어졌다. 가전구독 매출은 직전 년도 대비 75% 이상 늘어난 2조 원에 육박한다. 냉난방공조(HVAC) 등 기업간거래(B2B) 사업도 성장세를 이어갔다.
HE사업본부는 2024년 매출액 15조2291억원, 영업이익 3159억 원을 기록했다.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 등의 영향으로 유럽, 아시아 등 지역에서 올레드 TV 판매가 늘었다. 스마트 TV 운영체제 webOS 기반의 광고/콘텐츠 사업은 연간 매출액 1조 원을 넘어서며 유니콘 사업으로 성장했다.
VS사업본부는 2024년 매출액 10조6205억원으로, 2년 연속 매출액 10조원을 넘겼다. 전기차 수요 정체에 영향을 받고 있지만 높은 수주잔고를 기반으로 9년 연속 안정적 매출 증가세를 보였다. 영업이익은 늘어난 수주 프로젝트 대응 개발 비용과 SDV(Software Defined Vehicle) 전환을 위한 R&D 투자 영향으로 전년 대비 감소한 1157억 원을 기록했다.
BS사업본부는 2024년 매출액 5조6871억원, 영업손실 1931억원을 기록했다. 호텔, 매장, 기업, 학교 등 버티컬(Vertical, 특정 고객군)별 맞춤 상업용 디스플레이와 LG그램 등 프리미엄 IT제품을 중심으로 매출이 늘었지만 주요 제품 원자재 가격 상승 및 시장 내 경쟁 심화로 영업손실이 지속됐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만원대 청바지로 홀렸다...이랜드 패션 야심작 'NC베이직' 초반 순항
2챗GPT의 '지브리 그림체' 유행이 씁쓸한 이유
3한국 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엔 25% 아닌 26%…백악관 "부속서 따라야"
4'펭리둥절' 남극에도 트럼프 관세?…"안전한 곳 없어"
5경북도, 산불피해 농어촌에 긴급자금 200억 지원
6구미시 "낙동강 따라 걷고 쉬고 즐긴다"
7울진대게,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9년 연속 선정
8경주 벚꽃마라톤, 봄바람을 가르며 1만 5천여 명의 질주
9"수사는 안 하고 달력만 넘긴다" 홍준표 수사, 6월에는 결론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