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셋값 대비 급등한 매매가...빌라 전세가율 '뚝뚝'
지난해 12월 서울 빌라 전세가율 60%대로 하락
전세보증보험 문턱 높이고 매매가 상승한 영향

28일 한국부동산원 임대차 시장 사이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서울지역 연립·다세대(빌라)의 전세가율은 평균 65.4%로, 1년 새 3.1%포인트 하락했다.
서울지역 빌라 전세가율은 2022년 12월 78.6%까지 높아졌다가 2023년 12월 68.5%로 떨어졌다.
빌라 전세가율이 낮아졌다는 것은 전셋값을 다 떼일 위험이 좀 더 줄었다는 뜻이다. 통상 전세가율이 80%를 넘으면 집을 처분해도 세입자가 보증금을 제대로 돌려받지 못할 수 있기에 '깡통전세'로 분류한다. 전세사기 주택은 전세금이 매매가보다 높은 경우도 많다.
작년에는 빌라 전세가율이 상반기 72%(5월)로 높아졌다가 6월부터 5개월 연속 하락했다.
지난해 10월 전세가율은 2022년 8월 부동산원이 전세가율 집계를 공개하기 시작한 이후 최저치인 64.5%를 기록하기도 했다.
최근 빌라 전세가율이 하락하는 것은 매매가격이 전세가격보다 더 큰 폭으로 오르고 있어서다.
빌라 전세가격은 전세사기 여파로 나타난 '전세 기피 월세 선호 현상'과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 요건 강화로 상승이 제한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이 집계한 서울 연립·다세대 전세가격지수는 지난해 5월부터 12월까지 8개월 연속 상승했다. 작년 한 해 동안 누적으로 0.63% 올라 3년 만에 상승 반전했다.
연립·다세대 전세가격지수는 2022년 2.51%, 2023년 3.42% 하락했었다.
지난해 연립·다세대 매매가격지수는 1.03% 상승해 전세가격보다 오름폭이 컸다.
가장 크게 오른 건 빌라 월세다. 2023년 0.33% 하락했으나 지난해 연간 1.32% 상승했다.
서울에서 전세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지난달 기준으로 강서구(74.3%), 영등포구(73.7%), 송파구(73.0%)이며, 낮은 곳은 용산구(46.1%), 중구(57.0%), 노원구(59.8%)로 나타났다.
경기 지역 빌라 전세가율은 2023년 12월 69.4%에서 지난해 12월 67.5%로 1.9%포인트 하락했다.
같은 기간 인천 전세가율은 76.7%에서 80.2%로 외려 높아졌다.
전국 기초 지방자치단체 중 빌라 전세가율이 아직도 80%를 넘어서는 곳은 전남 광양(88.9%), 경기 파주(86.1%) 인천 미추홀구(85.4%)·남동구(85.1%)·연수구(84.4%) 등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KFC코리아, 타코벨 운영권 확보...우선적 권한 획득
2 윤 전 대통령 "기대에 부응 못해 안타깝고 죄송"
3팀홀튼, 첫 한국 앰버서더로 NCT 마크 발탁…캐나다 감성 전파 나선다
4경제계, 尹 파면에 “헌재 결정 존중…대립과 갈등 넘어 경제회복에 힘 모아야”
5‘미르4’부터 ‘레전드 오브 이미르’까지 블록체인 게임에 진심인 위메이드
6농협은행서 205억원 금융사고…외부인 대출상담사가 실행
7BYD 한국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8 이재명 "진짜 대한민국 시작…무너진 민주주의 회복을"
9"정치적 그라운드 제로"…'尹 파면' 외신도 앞다퉈 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