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심각한 ‘직장 내 괴롭힘’...직장인 51% “참거나 모른 척”

직장인 3명 中 1명 ‘직장 내 괴롭힘’ 경험
취약 근로계층이 괴롭힘 경험 비율 높아

 서울 시청역에서 시민들이 출근길을 재촉하고 있다. 위 사진은 기사와 직접 연관 없음.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박세진 기자] 직장 내 괴롭힘이 여전히 심각한 수준이라는 설문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9일 시민단체 직장갑질119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직장인 3명 중 1명이 괴롭힘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2023년 12월 2일부터 11일까지 전국의 19세 이상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방식으로 실시됐다.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설문에 따르면 ‘지난 1년 동안 직장 내 괴롭힘을 경험했다’고 응답한 직장인은 35.9%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1분기 30.5% 대비 5.4%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특히 정규직(32.3%)보다 비정규직(41.3%)이, 사무직(32.4%)보다 비사무직(39.4%)이 괴롭힘을 경험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취약한 근로계층이 더 큰 위험에 노출돼있는 셈이다.

괴롭힘의 유형별로 살펴보면, 모욕·명예훼손이 23.5%로 가장 많았다. 부당 지시(19.6%), 폭행·폭언(19.1%)이 뒤를 이었다. 

괴롭힘을 경험한 직장인들의 대응 방식에서도 문제점이 드러났다. 가장 많은 응답자가 ‘참거나 모르는 척했다’(51.3%)고 밝혀, 피해자 상당수가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회사를 그만뒀다’는 응답도 23.7%에 달했다.

반면, ‘개인 또는 동료들과 항의했다’는 응답은 30.1%였으며, ‘회사 또는 노동조합에 신고했다’는 비율은 12.8%, ‘관련 기관에 신고했다’는 응답은 5.0%에 불과했다.

직장 내 괴롭힘 수준이 ‘심각하다’고 답한 응답자는 지난해 1분기 46.6%에서 54.0%로 증가했다. ‘괴롭힘으로 인해 자해하거나 극단적인 선택을 고민한 적이 있다’는 응답도 같은 기간 15.7%에서 22.8%로 늘어났다.

직장갑질119 김유경 노무사는 “직장 내 괴롭힘이 단순한 감정적 갈등이 아니라 심각한 정신적, 육체적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며 “특히, 자해나 극단적 선택을 고려한 피해자가 늘어난 점은 사회적으로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국 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엔 25% 아닌 26%…백악관 "부속서 따라야"

2'펭리둥절' 남극에도 트럼프 관세?…"안전한 곳 없어"

3경북도, 산불피해 농어촌에 긴급자금 200억 지원

4구미시 "낙동강 따라 걷고 쉬고 즐긴다"

5울진대게,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9년 연속 선정

6경주 벚꽃마라톤, 봄바람을 가르며 1만 5천여 명의 질주

7"수사는 안 하고 달력만 넘긴다" 홍준표 수사, 6월에는 결론날까?

8"일본산, 이젠 안녕!" 울진군, 동해안 방어 양식시대 개막

9"글로벌 인재로 미래 연다" 경북도, 3일부터 광역형 비자 시행

실시간 뉴스

1한국 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엔 25% 아닌 26%…백악관 "부속서 따라야"

2'펭리둥절' 남극에도 트럼프 관세?…"안전한 곳 없어"

3경북도, 산불피해 농어촌에 긴급자금 200억 지원

4구미시 "낙동강 따라 걷고 쉬고 즐긴다"

5울진대게,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9년 연속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