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美 소비자물가 쇼크에 상승…2550대 안착 시도
美증시 높은 물가에도 '전약후강' 충격 제한적
![](/data/ecn/image/2025/02/13/ecn20250213000018.800x.0.jpeg)
이날 오전 9시 21분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2.17p(0.48%) 오른 2,560.56을 나타냈다.
지수는 전장 대비 10.56p(0.41%) 오른 2,558.95로 출발해 2,560선을 중심으로 등락 중이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기관과 개인이 각각 1179억원, 439억원어치를 순매수 중이다. 외국인은 1548억원의 매도 우위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1.3원 내린 1,452.1원으로 장을 시작했다.
간밤 발표된 미국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으나 하락 출발한 뉴욕 증시가 '전약후강'의 모습을 보이자 국내 증시는 오히려 상승세를 타는 모습이다.
1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월 대비 0.5% 상승해 시장 예상치 0.3% 상승을 웃돌았다. 이는 2023년 8월의 0.5% 상승 이후 최대치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잘 나타내는 근원 CPI 역시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
물가 상승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를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뉴욕증시는 1% 수준의 하락세로 출발했으나 장중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혼조세 수준으로 장을 마쳤다.
삼성전자(0.90%), SK하이닉스(1.56%), 삼성바이오로직스(0.78%), LG에너지솔루션(1.77%) 등 시가총액 상위 종목 상당수가 강세다.
현대차(3.48%), 기아(2.94%)는 미국 정부의 상호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언급되면서 동반 강세다.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이 활발해지면서 HD현대건설기계(17.59%), 현대에버다임(14.63%), HD현대인프라(12.68%), 범양건영(16.84%) 등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 종목들이 동반 급등 중이다.
최근 상승폭이 컸던 한화에어로스페이스(-2.88%)는 약세다. 삼성화재(-4.95%), 삼성생명(-2.09%), KB금융(-0.85%) 등도 내리고 있다.
업종별로는 기계장비(2.23%), 건설(2.29%), 의료정밀(1.91%), 운송장비(0.98%) 전기전자(0.97%), 비금속(0.91%), 화학(0.66%) 등이 강세다. 반면 보험(-2.07%), 증권(-1.04%), 음식료담배(-0.83%), 운송창고(-0.24%) 등은 약세를 나타냈다.
같은 시각 코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76p(0.24%) 오른 746.94다.
지수는 전장 대비 3.51p(0.47%) 오른 748.69로 출발해 상승세를 유지 중이다.
코스닥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33억원, 104억원을 순매수하고 있고 기관은 160억원의 매도 우위다.
에코프로비엠(5.78%), 에코프로(3.19%), 엔켐(2.15%) 등 이차전지 종목이 동반 강세이고 이오테크닉스(2.86%), HPSP(0.97%) 등 반도체 관련 종목도 오르고 있다.
펩트론(-2.22%), 보로노이(-2.19%), 루닛(-1.97%) 등은 약세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AI 탑재한 삼성 올레드 TV, 세계 1위 LG 올레드 TV 자리 넘을까
2수십억 아파트도 중고거래...정부, 집주인 실명인증 권고
3KT, 상장 이후 연간 최대 매출 기록...매출 26조원
4‘준공 후 미분양’ 2만 가구 돌파... “수도권 중심 해결책 필요”
5전자담배·보조배터리, ‘기내 선반’아닌 ‘비닐봉지’에 넣어 소지해야
6 삼양식품, 中 라면시장 본격 공략...전략 TFT 신설
7“스스로 생각하고 문제 푼다”...GPT-5 출시 앞둬
8러닝 크루 모여라…메르세데스-벤츠 부산 광안대교 달리기 행사 연다
9지난해 12월 시중에 풀린 돈 4183兆…“투자대기성 자금에 몰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