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트럼프 상호관세 협상여지에 일제히 상승
나스닥 1.50%↑·다우 0.8%↑·(S&P) 500 1.04%↑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42.87p(0.77%) 오른 44,711.43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63.10p(1.04%) 오른 6,115.0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95.69p(1.50%) 오른 19,945.64에 각각 마감했다.
S&P 500 지수는 이날 장 마감을 앞두고 6,116.91까지 오르며, 지난달 23일의 고점(종가 기준 6,118.71) 경신을 눈앞에 뒀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각국의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을 두루 고려해 상호 관세를 세계 각국에 부과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식 발표한 가운데 시기와 대상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아 시장의 관세 관련 우려를 덜었다.
스파르탄 캐피털증권의 피터 카딜로 이코노미스트는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부과 각서에 서명했지만 구체적인 시행 일정이나 대상국도 포함되지 않았다"며 "이런 사실이 분명해지면서 시장이 강세로 반응한 것"이라고 말했다.
월가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이 실제 관세 부과를 목적으로 한 것이라기보다는 상대국과의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전략 성격이 강하다고 해석하고 있다.
이날 발표된 1월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률은 전월 대비 0.4%로, 시장 전망(0.3%)을 웃돌았지만, 세부 지표가 긍정적으로 해석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를 덜었다.
월가에선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PPI 지표를 종합해 볼 때 의료비 등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에 비중이 큰 구성 요소들은 큰 변동이 없거나 소폭 상승에 그친 점에 주목했다.
PCE 가격지수 상승률은 연준이 실제 통화정책 판단 기준으로 삼는 지표다.
전날 1월 소비자물가의 '깜짝 상승'에 급등했던 채권 금리는 이날 반락했다.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이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4.53%로 하루 전 같은 시간 대비 10bp(1bp=0.01%p) 하락했다.
빅테크(대형 기술기업)도 이날 강세를 나타냈다.
인공지능(AI) 대장주 엔비디아는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HPE)가 이날 출하한 기업용 서버에 엔비디아의 최신 AI 칩 블랙웰이 탑재됐다는 소식에 3.16% 상승했다.
최근 주가가 약세를 보였던 테슬라는 최고경영자(CEO)인 일론 머스크가 미 행정부 내 영향력을 확대하며 자율주행 등 규제 완화를 앞당길 것이란 월가의 기대감이 커지면서 5.77% 급등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포항지역 미분양 감소세, 4년 전 합리적 분양가 신축아파트 ‘펜타시티 동화아이위시’ 분양 중
2트럼프 "4월부터 자동차 관세 25% 수준될 것"…韓 직격탄 예상
3대한항공 ,‘세계 항공사 와인 경연대회’ 5개 부문 수상
4"美 추가 관세 가능성 있어 대비 필요"…韓 조선업 영향 전망도
5286일 만에 타석 선 이정후, 딱 '1번' 스윙했다
6“야말? 옵니다” 바르셀로나 韓 방문, 2년 전처럼 ‘파국’은 없다
7대박! 높이뛰기 우승혁, 유럽 무대서 연이은 우승 행보
8“단톡방서 쉴 새 없이 욕해”…故오요안나 일기장 공개 파장
9코스피, 7거래일 연속 상승해 2650대로…반도체주 강세 보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