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삼성전자, 3자녀 이상 직원 정년 후 재고용 방안 추진

동국제강, 최대 5일 입학 자녀 돌봄 휴가
두산, 육아휴직 법정 기간에서 1년 더 사용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의 모습.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기업들이 저출산 극복을 위해 내놓은 다양한 방안들이 눈길을 끌고 있다. 삼성전자는 다자녀 직원을 정년 후 재고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동국제강그룹은 자녀가 초등학교 입학 시 최대 5일간의 자녀 돌봄 휴가를 제공한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이하 전삼노)이 이날 잠정 합의한 2025년 임금·단체협약에는 3자녀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정년 후 재고용하는 방안을 제도화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삼성전자는 향후 전삼노 투표를 거쳐 잠정 합의안이 확정되면 관련 제도 신설을 구체적으로 논의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지난해 8월 김위상 국민의힘 의원은 자녀가 2명 이상인 국가기관과 공공기관 소속 공무직과 무기계약직 직원을 정년 이후에도 최대 2년간 재고용하는 것을 의무화하고 민간기업에 대해서도 다자녀 정년퇴직자가 희망하는 경우 재고용을 위해 노력하는 내용의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발의한 바 있다.

삼성전자뿐만 아니라 재계에서는 저출산 극복을 위한 다양한 지원책 제공 바람이 불고 있다. 

동국제강그룹은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자녀를 둔 임직원이 자녀와 첫 등교를 함께할 수 있도록 2019년부터 자녀 1명당 최소 2일에서 최대 5일간 휴가를 주고 있다. 올해도 100여명에게 최장 닷새간의 휴가를 줄 계획이다. 동국제강그룹의 사업회사인 동국제강과 동국씨엠은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임직원 자녀들에게 캐리어 가방, 보조 가방, 학용품 세트 등 선물과 함께 최고경영자들의 쓴 편지도 보냈다.

두산그룹은 올해 육아휴직 서포터즈 지원금을 신설했다. 6개월 이상 육아 휴직자의 소속 팀원에게 1인당 최대 50만원을 지급하는 제도다. 육아휴직자의 동료 팀원들의 부담을 경감해주자는 취지다. 또 육아휴직은 법정 기간에서 1년을 더 사용할 수 있고, 배우자 출산휴가는 법정 기간에 추가로 10일을 더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자녀가 보육 나이 1세가 됐을 때부터 2년 동안 월 20만원의 보육 지원금도 회사에서 지급하기로 했다.

금호석유화학그룹도 지난해부터 임직원에게 첫째 500만원, 둘째 1000만원, 셋째 1500만원, 넷째 2000만원의 출산 축하금을 지급하는 ‘금호케어’를 실시하고 있다. 배우자 출산휴가의 경우 기존 10일에 ‘아빠도움휴가’ 5일을 추가로 지원한다.

특히 부영그룹은 출산 장려에 대표적인 기업으로 꼽힌다. 부영그룹은 지난해 초 국내 기업 최초로 2021∼2023년 출산한 직원에게 자녀 1인당 1억원씩 총 70억 원의 출산장려금을 쾌척했다. 부영그룹은 올해도 시무식에서 지난해 출산한 직원을 대상으로 총 28억원의 출산장려금을 지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덕분에 살아 있어" 봉투 속 20만원과 편지, 정체는

2위너스, 심상치 않은 데뷔전…올해 첫 '따따블' 환호성

3신세계톰보이, 구스다운 점퍼 자발적 환불...'협력사가 허위 제출'

4현대건설, 아시아 최대 디자인 어워드 4년 연속 수상

5대기업과 손잡고 싶은 스타트업이라면...중기부 OI 지원사업 노려볼 만해

6“‘연 3%대’ 실종…누가 돈 넣겠나” 뚝뚝 떨어지는 예금 금리

7삼성전자, 3자녀 이상 직원 정년 후 재고용 방안 추진

8쥬얼리 출신 조민아, 보험설계사 변신 후 ‘전국 4위’ 쾌거

9"이자 갚기 힘들어요" 금융권 연체액 23조8000억원

실시간 뉴스

1"덕분에 살아 있어" 봉투 속 20만원과 편지, 정체는

2위너스, 심상치 않은 데뷔전…올해 첫 '따따블' 환호성

3신세계톰보이, 구스다운 점퍼 자발적 환불...'협력사가 허위 제출'

4현대건설, 아시아 최대 디자인 어워드 4년 연속 수상

5대기업과 손잡고 싶은 스타트업이라면...중기부 OI 지원사업 노려볼 만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