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67.3%이 이용한 ‘한방의료’...주목적은 ‘근골격계’ 치료
2024년 한방의료이용 실태조사 결과
성인 10명 중 7명 한방의료 이용 경험
연령대 높을 수록 한방의료 방문 많아

보건복지부는 한방의료 이용 현황과 만족도, 인식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한 ‘2024년 한방의료이용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19세 이상 성인 67.3%이 한방의료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직전 조사인 2022년(71.0%)에 비해 3.7%p 감소한 수치이나, 고령층과 여성의 이용 비율은 여전히 높았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에서 무려 86.6%가 이용 경험이 있다고 답해 연령대가 높을수록 한방의료 이용률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한방의료를 선택한 주요 이유는 ‘질환 치료’(93.9%)가 압도적이었다. 이어 ‘치료 효과가 좋아서’(42.5%), ‘질환에 특화된 진료를 해서’(16.0%) 순으로 나타났다.
이용자의 주요 질환으로는 근골격계 질환(디스크, 관절염 등)이 73.9%로 가장 많이 언급됐다. 이어 염좌 및 낙상 등 외상(39.6%), 소화기 질환 등(8.7%)이 뒤를 이었다.
국민들의 한방의료 만족도는 매년 증가 추세다. 2020년 74.5%였던 만족도는 2024년 79.5%로 상승했다.
한방의료 이용자 사이에서 “비용이 비싸다”는 인식은 점차 줄고 있다. 외래환자의 경우 2022년 31.2%가 비싸다고 답했으나, 올해는 21.5%로 감소했다. 입원환자 역시 같은 기간 49.0%에서 33.6%로 크게 낮아졌다. 다만 첩약과 한약제제에 대한 높은 비용 부담 인식은 여전히 존재한다.
또한, 한방의료 개선사항에 대해서는 ‘보험급여 적용 확대’ 요구가 가장 많았다. 외래 및 입원환자들은 ‘의과와의 협진 강화’를, 일반 국민은 ‘한약재의 안전성 확보’를 각각 2순위로 꼽았다.
앞으로 한방의료를 이용하겠다는 국민은 75.8%, 한약 복용 의향이 있는 국민은 78.4%에 달했다. 특히 외래환자의 경우 각각 94.5%, 90.7%로 매우 높은 관심을 보였다. 그만큼 치료 접근성과 비용 부담 해소에 대한 기대감도 큰 것으로 해석된다.
보건복지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제5차 한의약 육성발전 종합계획’(2026~2030)을 수립하고, 첩약 건강보험 적용 시범사업과 의·한 협진 시범사업 등을 통해 정책 반영을 확대할 방침이다.
정영훈 보건복지부 한의약정책관은 “이번 조사를 통해 국민들의 한방의료이용에 대한 다양한 욕구, 특히 의·한 협진 시스템 구축에 대한 요구사항을파악할 수 있었다”며 “5단계 의·한 협진 시범사업이 2025년 2분기 중에 시작된다. 국민들이 의·한 협진 시스템을 건강보험 제도 안에서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정책을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창업 7년 이하 스타트업이라면 ‘첫걸음R&D’ 노려라…18개월 간 최대 2억원 지원
2경제계 “상법 개정안 재의요구권 행사 다행”
3홈플러스 “채권 변제 최선 다할 것”…금감원 조사에도 ‘성실 응답’ 약속
4"호출하면 달려오는 자율주행 화장실, 상상해 봤니?"...만우절 깜짝 '모빌렛' 등장
5카톡 번진 ‘지브리 프사’…이미지생성 열풍에 챗GPT 이용↑
6게임 세계관 품은 전기 SUV… 현대차 ‘인스터로이드’ 공개
7목동·압구정 등 토허구역 실거주 위반 여부 점검한다
8스페이스X, 민간 첫 ‘극지 우주비행’…비트코인 채굴업자가 주도
9반값 판매 또 한다고?...끝나지 않는 홈플러스 할인 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