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국민 67.3%이 이용한 ‘한방의료’...주목적은 ‘근골격계’ 치료
- 2024년 한방의료이용 실태조사 결과
성인 10명 중 7명 한방의료 이용 경험
연령대 높을 수록 한방의료 방문 많아

보건복지부는 한방의료 이용 현황과 만족도, 인식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한 ‘2024년 한방의료이용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19세 이상 성인 67.3%이 한방의료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직전 조사인 2022년(71.0%)에 비해 3.7%p 감소한 수치이나, 고령층과 여성의 이용 비율은 여전히 높았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에서 무려 86.6%가 이용 경험이 있다고 답해 연령대가 높을수록 한방의료 이용률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한방의료를 선택한 주요 이유는 ‘질환 치료’(93.9%)가 압도적이었다. 이어 ‘치료 효과가 좋아서’(42.5%), ‘질환에 특화된 진료를 해서’(16.0%) 순으로 나타났다.
이용자의 주요 질환으로는 근골격계 질환(디스크, 관절염 등)이 73.9%로 가장 많이 언급됐다. 이어 염좌 및 낙상 등 외상(39.6%), 소화기 질환 등(8.7%)이 뒤를 이었다.
국민들의 한방의료 만족도는 매년 증가 추세다. 2020년 74.5%였던 만족도는 2024년 79.5%로 상승했다.
한방의료 이용자 사이에서 “비용이 비싸다”는 인식은 점차 줄고 있다. 외래환자의 경우 2022년 31.2%가 비싸다고 답했으나, 올해는 21.5%로 감소했다. 입원환자 역시 같은 기간 49.0%에서 33.6%로 크게 낮아졌다. 다만 첩약과 한약제제에 대한 높은 비용 부담 인식은 여전히 존재한다.
또한, 한방의료 개선사항에 대해서는 ‘보험급여 적용 확대’ 요구가 가장 많았다. 외래 및 입원환자들은 ‘의과와의 협진 강화’를, 일반 국민은 ‘한약재의 안전성 확보’를 각각 2순위로 꼽았다.
앞으로 한방의료를 이용하겠다는 국민은 75.8%, 한약 복용 의향이 있는 국민은 78.4%에 달했다. 특히 외래환자의 경우 각각 94.5%, 90.7%로 매우 높은 관심을 보였다. 그만큼 치료 접근성과 비용 부담 해소에 대한 기대감도 큰 것으로 해석된다.
보건복지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제5차 한의약 육성발전 종합계획’(2026~2030)을 수립하고, 첩약 건강보험 적용 시범사업과 의·한 협진 시범사업 등을 통해 정책 반영을 확대할 방침이다.
정영훈 보건복지부 한의약정책관은 “이번 조사를 통해 국민들의 한방의료이용에 대한 다양한 욕구, 특히 의·한 협진 시스템 구축에 대한 요구사항을파악할 수 있었다”며 “5단계 의·한 협진 시범사업이 2025년 2분기 중에 시작된다. 국민들이 의·한 협진 시스템을 건강보험 제도 안에서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정책을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이재명의 싱크탱크? 정치적 리스크 된 '성장과통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 김소은♥수원FC 정동호 1년째 연애 중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한미 '2+2 통상협의' 시작…상호관세 25% 폐지될까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베타값 왜 수입 하나”…공정가치 평가, 기준 마련 시급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아이센스, 글로벌 CGM 3위 자신…삼바·셀트급 연매출 3조원 도전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