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더 글렌터렛, ‘소장가치가 되는 마지막 한 병’ 더 글렌터렛 피트 위스키 시리즈, 2025 릴리스를 끝으로 단종발표

스코틀랜드에서 가장 오래된 증류소, 더 글렌터렛(Glenturret)이 피트 위스키 생산을 단계적으로 중단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2025년부터 피트 원재료를 사용하지 않으며, 2026년부터는 핵심 라인업에서도 피트 위스키를 완전히 제외할 예정이다.
더 글렌터렛은 18세기부터 피트 위스키를 생산해 왔으며, 고유의 스모키한 풍미로 전 세계 위스키 애호가들로부터 꾸준한 사랑을 받아왔다. 현재까지도 논-피트와 피트 두 가지 라인업을 함께 운영하며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를 선보이고 있었지만, 이번 결정으로 피트 위스키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더 글렌터렛 싱글몰트 위스키 뉴 메이크 스피릿은 부드럽고 과일 향이 풍부하며, 대부분의 위스키는 셰리 캐스트(셰리와인을 숙성한 아메리칸 오크 캐스크)를 사용해 달콤하고 풍미가 아주 좋은 위스키를 생산하고 있으며, 핵심 라인업에 논-피트, 피트 두가지의 라인업 모두 위스키 매니아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이번 피트 위스키 단종 결정은 단순한 라인업 조정이 아닌, 지속 가능한 증류소 운영을 위한 전략적 선택이다. 더 글렌터렛은 환경을 고려한 생산 방식을 적극 도입해 왔으며, 그 노력의 결과로 영국 럭셔리 산업 협회인 월폴(Walpole)로부터 ‘지속 가능한 럭셔리 브랜드상(Sustainable Luxury Brand of the Year)’을 수상하기도 했다.
이안 렌윅(Ian Renwick) 증류소 디렉터는 “우리는 위스키 품질을 유지하는 동시에,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끊임없이 고민하고 실천하고 있다”라며, “생산 공정 전반에서 에너지 소비 27% 절감, 연 1,000톤 이상의 폐기물 감소, 100만 리터의 물 절약 등 눈에 띄는 성과를 이루고 있습니다”고 전했다.
전통을 지키면서도 지속 가능한 내일을 준비하는 더 글렌터렛은 현재도 여전히 스코틀랜드에서 가장 작은 수작업 증류소 중 하나로서, 런던, 뉴욕, 도쿄, 서울, 파리 등 19개 도시에서 프리미엄 소비자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국내 더 글렌터렛 공식 수입사 TSL 김주호 대표이사는 “한국에서의 더 글렌터렛 인기는 매우 높다. 단종 전 마지막 기회가 될 이번 시점을 놓치지 않도록, 국내 소비자와 기업들이 더 글렌터렛 피티드 위스키를 충분히 경험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준공 35년째 남양주 아파트 주차장 붕괴…주민 120명 대피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JTBC와 분쟁에도..‘불꽃야구’ 첫 직관 전석 매진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SK텔레콤 해킹 피해 발생… 고객 유심 정보 일부 유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뛰어난 운용 성과...‘30조’ 행정공제회 허장CIO 연임 성공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단독]애드바이오텍, 코스맥스와 피부미용 소재 시장 진출로 매출 반전 꾀한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