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일반
'대선 전 활개 주의보' 금감원, 정치테마주 과열 특별단속 확대
- 불공정거래‧투자자 피해 우려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최근 조기 대선이 확정되고, 정치테마주가 과열되면서 불공정거래와 투자자 피해가 우려됨에 따라 금융감독원이 특별단속을 확대한다.
금감원은 1일 조사국내 설치된 정치테마주 특별단속반장을 조사1국장으로 격상해 확대 운영하기로 했다. 주요 정보전달 매체와 ▲이상 급등 종목 ▲민원·제보가 많은 종목 ▲대주주 대량 매도 종목 ▲최근 대규모 전환사채(CB) 전환 종목을 집중 점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불공정거래를 조기에 포착, 조사에 착수해 투자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다.
금감원은 또 내부자와 투자자 제보 활성화를 위해 7월 31일까지 정치테마주 집중 제보기간을 운영, 최대 30억원에 달하는 포상을 적극 검토할 계획이다.
지난해 12월 1일부터 올해 4월 18일까지 투자경고 이상으로 지정되고 정치인·정책과 관련된 60개 종목을 정치테마주로 분류해 분석한 결과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정치테마주는 평균 자산총액 기준 중·소형주에 해당하고, 부채비율 등을 봤을 때 재무구조가 취약했다. 이에 더해 평균 당기순이익도 적자로 수익성이 시장 대비 현저히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정치테마주 중 절반 이상이 영업이익이나 당기순이익이 적자인 부실 상태로,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조차 상환할 수 없는 상태였다.
지난 22일 현재 정치테마주의 평균 주가순자산비율(PBR)은 2.3배로 시장 평균 대비 2배 이상 과열 상태였다. 특히 14개 종목은 PBR이 3배 이상으로 자산가치 대비 주가가 상당히 고평가된 수준이었다고 금감원은 지적했다.
금감원은 정치테마주는 기업의 실적 등 본질적 가치와 무관하게 단순히 정치인의 학연·지연 등 인적 관계에 따라 주가가 급등락할 수 있고 확인되지 않은 사실로 투자자를 현혹할 수 있으니 투자에 신중하라고 당부했다.
특별한 이유 없이 주가가 단기간에 급등하거나 거래량이 급증하는 종목의 경우 테마 소멸시 주가 급락으로 투자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니 투자에 유의해야 한다는 제언이다.
금감원은 텔레그램 등 SNS 등을 통해 허위사실이나 풍문을 생산, 유포하거나 이를 이용할 경우 불공정 거래로 처벌될 수 있으니 각별히 주의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대법원마저 정치 나서” 김동연·김경수, 李 파기환송에 비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성유리, 홈쇼핑 방송으로 4개월만 복귀… “얼굴만 봤다” 후기 多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징역형 집행유예→무죄→파기환송…대법서 왜 뒤집혔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SK실트론, PEF들 눈치싸움…국적·업황 리스크에 '셈법 복잡'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상반기 상장 지씨지놈, 비교기업 글로벌회사로 싹 바꾼 이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