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일반
연준 인사들, '9월 전 금리인하'에 신중…"트럼프 무역협상 볼 것“
- 관세정책 불확실성‧국가신용등급 강등 우려↑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인사들이 9월 이전 기준금리 인하에 대해 신중론을 제기했다. 미국 관세정책의 불확실성과 국가신용등급 강등에 따른 우려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19일(현지시간) 블룸버그,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존 윌리엄스 미국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이날 모기지은행협회(MBA) 콘퍼런스에서 “6월이나 7월에 (미국 경제에)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이해할 거라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경제 불확실성이 걷히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며, 데이터 수집과 경제 상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다만 그는 “미국 경제는 매우 양호한 상태”라고 진단하며 현재 다소 긴축적인 연준의 통화정책 입지가 향후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매우 잘 자리잡힌 상태라고 강조했다.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도 이날 CNBC,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당분간 금리 동결에 찬성하는 입장을 보였다.
보스틱 총재는 현재의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과 경기침체 우려를 모두 고려할 때 연준이 올해 기준금리를 한 차례만 인하하는 것을 선호한다면서 “연내 1회 인하 입장에 좀 더 기울어 있는데, 이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 "무역 협상 진전 속도에 따라 변동이 가능하다"면서도, 신용등급 하향 여파 등을 파악하기 위해 3∼6개월 기다릴 필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앞서 국제 3대 신용평가사 중 하나인 무디스는 지난 16일 재정적자 등을 이유로 미국 국가신용등급을 가장 높은 ‘Aaa’에서 'Aa1'으로 한단계 낮췄다.
연준은 지난해 12월 4.25∼4.50%로 기준금리를 인하한 뒤 동결을 이어가고 있다.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연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는 올해 6·7·9·10·12월 예정돼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선물 시장에서도 6월과 7월 기준금리가 현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을 각각 91.4%, 66.9%로 보고 있고, 9월 들어서야 29.7%로 낮아진다.
시장에서는 올해 기준금리 인하 폭 전망치를 기존 0.25%p(포인트)씩 4차례에서 2차례로 줄인 상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대선 앞두고 세종 아파트값 또 뛰었다...서울은 16주 연속 상승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故 오요안나 가해자 지목 기캐, 끝내 결말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바람 불면 날릴 정도” 삼성, 업계 최고 수준 OLED 내놨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롯데카드부터 애경산업까지…내달 M&A 큰장 선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파미셀, 줄기세포 치료제 업체에서 AI 첨단산업소재 업체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