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뒤차 위협하면 알아서 피한다”…현대모비스의 똑똑한 기술력
- 현대모비스, 후방 안전 제어 기술 개발
 위협 감지 시 차량 스스로 속도 높여 피해
 
현대모비스는 후방 차량이 과도하게 가까이 접근할 경우, 차량이 스스로 속도를 조절해 안전 거리를 확보하는 ‘후방 안전 제어 기술’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차량에 탑재된 후측방 레이더와 전방 카메라 등 센서, 그리고 주행 제어 시스템을 연동해 위협 상황을 인지하고 차량을 자율적으로 제어하는 방식이다.
해당 기술은 운전자가 스마트크루즈컨트롤(SCC)을 작동시킨 상태에서 기능이 활성화된다. 뒤 차량이 약 10m 이내까지 근접하면, 차량은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계기판 등을 통해 시각적 알림을 제공한다. 경고 이후에도 상황이 개선되지 않으면, 차량은 스스로 속도를 높여 후방과의 간격을 벌린다.
이 과정에서 후측방 레이더는 뒤차의 위치와 속도를 감지하고, 전방 카메라는 차선 및 전방 차량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인식해 안전한 가속을 유도한다.
기존에도 일부 완성차 브랜드는 후방 추돌 위험에 대한 경고 기능이나 사고 발생 시 충격 흡수를 위한 안전벨트 조절 기술을 적용해 왔다. 하지만 차량이 능동적으로 주행을 제어해 위험을 회피하는 방식은 이번 기술과는 차별화된다. 차량 스스로 앞뒤 차량 간 거리를 조절해 위험을 예방하는 수준까지 기술을 고도화했다는 설명이다.
현대모비스는 여기에 더해 향후 차선 변경을 통한 회피 기능까지 개발할 계획이다. 차량이 스스로 주변 상황을 분석하고, 필요시 차선을 바꿔 후방 위협으로부터 벗어나는 자율 방어 운전 기술로 진화시키겠다는 것이다.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2022년 현대차그룹 사내 아이디어 공모전에서 최우수 과제로 선정된 이후, 1년여 간의 본격 개발 과정을 거쳐 양산 가능한 수준으로 완성됐다. 현대모비스는 현재 보유한 양산용 센서 및 주행 제어 기술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기술 개발 기간을 단축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정수경 현대모비스 전장BU장(부사장)은 “주행 중 전방 안전은 물론 후방 차량으로 인한 위험 상황도 스마트하게 대처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해 모빌리티 사용자의 안전을 적극적으로 보호하겠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도로 위의 크리에이터, ‘배달배’가 만든 K-배달 서사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09/25/isp20250925000152.400.0.jpg)
![비혼시대 역행하는 ‘종지부부’... 귀여운 움이, 유쾌한 입담은 ‘덤’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0/02/isp20251002000123.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유한양행, 렉라자로 美 얀센에 마일스톤 640억 받는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일간스포츠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 ‘보플2’ 최립우, 12월 첫 솔로곡 발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삼성, 엔비디아에 HBM4 공급…업계 최대 'AI 팩토리' 구축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성장 한계 드러난 여행 플랫폼…밸류 조정에 회수 대신 ‘버티기’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펩트론, 파트너사 LG화학 업고 안정적 현금창출원 확보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