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실수요자 어쩌나...다가오는 '대출 절벽'…“연말 다가올수록 어렵다”
- 5대銀, 하반기 대출 계획 증가분 연초 계획보다 절반으로 축소
당국 압박에 계획 조정

[이코노미스트 이병희 기자] 정부의 가계대출 압박으로 올 하반기 ‘대출 절벽’이 가시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은 하반기 가계대출 증가 목표치를 기존 계획보다 3조원 넘게 축소할 전망이다.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주택담보대출 등 부동산 관련 대출 규제를 강화하는 등 대출 문턱을 대폭 높였기 때문이다.
최근 5대 은행은 최근 금융당국에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목표치를 제출했다. 정부의 ‘6·27 가계부채 관리 방안’에 따라 은행들은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증가 목표액을 당초 설정했던 규모의 절반 수준으로 대폭 축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상반기
5대 은행은 올해 연간 가계대출 증가액(정책대출상품 제외)은 약 14조5000억원, 이중 하반기를 제외하고 하반기에만 7조2000억원 정도를 대출로 잡았는데 이 기준을 하향 조정하면서 약 3조6000억원 수준으로 재조정했다는 것이다.
금융당국은 은행들의 상반기 실적을 바탕으로 대출 한도를 차등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상반기 대출이 적었던 은행에는 추가 한도를 인정하지만, 이미 상반기에 많은 대출을 내어준 곳은 페널티를 부여해 하반기 대출 규모를 축소하는 식이다. 그렇다고 상반기 대출이 적었던 은행에 기존 계획만큼의 대출을 인정해 주지는 않을 것이라는 견해가 우세하다. 형평성을 고려해야 하지만, 대출 총량 규제라는 대전제를 넘어서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별 가계 대출 한도가 최종적으로 결정된 것은 아니지만, 대폭 줄어들 것은 확실해 보인다”며 “대출은 은행실적과도 직결돼 있는데, 하반기에 얼마나 대출이 가능한지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정부의 초강력 규제로 대출을 고려했던 금융 소비자들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올해 말 대출을 계획했던 실수요자들 입장에서는 아예 대출을 받을 수 없는 상황에 몰릴 수 있다는 우려도 이어진다. 대출이 어려워진다는 소식에 수요자들이 일찍부터 은행으로 몰리고, 은행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대출 한도를 줄이고 서비스받기를 더 어렵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한국은행이 지난 15일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 결과를 보면 올해 3분기 은행의 대출태도 종합지수(-17)가 전 분기(-13)보다 4포인트(p) 떨어졌다. 이는 은행의 대출태도가 더 깐깐해질 것으로 예상한 사람이 많아졌다는 의미다.
신한·하나·농협은행은 대출모집인을 통한 주택담보대출을 중단했다. 대출모집인이란 금융회사와 소비자 사이를 연결하는 중개인을 말한다. 금융기관의 대출 상품을 수요자들에게 소개하고 이를 통해 계약이 성사되면 수수료를 받는다. 신한은행은 지난 14일 대출모집인이 8∼9월 실행 예정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신청을 받지 않기로 했다. 하나은행도 대출모집인을 통한 8월 실행 주택담보대출 접수를 막았다. 기업은행도 8∼9월 이뤄질 주택담보대출의 대출모집인 접수를 중단했다.
다만 6.27 규제가 시행되기 직전까지 계약을 맺은 고객들은 계약에 따라 대출을 받는 것이 가능하다. 은행 지점이나, 앱, 콜센터 등 대출모집인을 거치지 않는 대출은 막히지 않았기 때문에 상담이 가능하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한동훈 "계엄 옹호·부정선거 선동은 극우…입틀막이 잘못"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경찰, 방시혁 압수수색 영장 신청..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 대통령, 김영훈·김성환·정은경 장관 임명안 재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합법 탈 쓴 편법”…롯데렌탈 유상증자 둘러싼 논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단독]인투셀 넥사테칸 특허, 피노바이오와도 유사...신규성·진보성 無 판단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