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일반
증시활황에 ‘빚투’ 50% 증가… 거래소·금투협 “리스크 주의”

거래소와 금투협은 17일 공동 보도자료를 내고 “신용융자 규모가 지난해 말(15조8000억원)보다 약 49% 증가해 23조원을 넘어섰다”며 “최근 주가 상승 등으로 인한 거래 규모 확대와 연동돼 신용융자를 포함한 증시 주변 자금이 전반적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신용거래융자는 고객이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주식을 사는 행위로, 상승장 때 대출을 지렛대(레버리지) 삼아 수익을 늘리는 것이 목적이다. 이때 산 주식은 대출 담보가 된다.
주가가 내려가 담보 가치가 하락하면 주식이 증권사에 의해 반대 매매될 가능성이 커진다. 지난달 말 기준 신용융자 잔액은 23조5000억원에 달한다.
거래소와 금투협은 투자 성향과 자금 성격을 고려해 신용융자 등 레버리지 투자를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시장 상황이 예측과 다를 경우 손실이 급격히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청년층과 50∼60대 투자자들 사이에서 신용거래융자를 하는 경우가 많다.
두 기관은 “단기간 자금 수요가 있는 경우에는 신용융자 등을 활용한 변동성을 키우는 투자기법은 지양해야 한다”고 전했다.
거래소·금투협은 신용거래융자가 증시 변동성을 증폭시킬 수 있다고 꼬집었다. 하락장 때 강제 매도로 주식을 잃게 되면, 다시 상승장이 와도 이 기회를 제대로 활용할 수 없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높은 신용융자 잔액은 연쇄적인 주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기관들은 “최근 미중 갈등 등 대외 변수와 주식시장의 지속적 상승에 따른 단기 조정 가능성 등이 제기돼 시장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며 “이런 시기에는 특히 신용융자 활용에 더 신중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풍문과 투기적 수요로 인해 ‘이슈 종목’을 무분별하게 추종 매매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며 이런 거래에 대한 주의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거래소와 금투협은 증권사에 신용융자 현황 감시와 신용거래 불가 종목 관리 등 소비자 보호 조처를 강화해 달라고 요청했다.
거래소는 증시 변동성이 큰 시장 상황인 만큼 이상 급등주 실시간 모니터링 등 시장질서 교란 행위에 대한 신속한 감시를 진행하고, 문제 발견 시 강력한 대응을 할 방침이다.
이상 급등주에 대해선 조회공시를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 조회공시는 주가 급변 또는 풍문이 있는 경우 상장사가 미공개 중요정보 여부를 시장하게 공시하도록 거래소가 요구하는 것이다.
거래소 관계자는 “이상 급등주 관련 불공정거래가 의심되는 행위를 알게 되면 시장감시위원회 불공정거래 신고센터에 적극적인 신고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한국인 발견하면 즉각 구조”…‘범죄단지와의 전쟁’ 선포(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클라라, 6년 만에 파경…남편과 무슨 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한국인 발견하면 즉각 구조”…‘범죄단지와의 전쟁’ 선포(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연금 고갈 우려'…전통자산 한계에 VC에 눈 돌리는 유럽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美 공식 의료 인정’ 로킷헬스케어 급등...외국인 투심 몰린 휴온스도 강세[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