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이슈
AI로 '낯선 사람' 합성… 장난으로 시작된 'AI 몰카' 사회문제로 번지다
- 실제 경찰 출동 사례까지 발생

이 트렌드는 미국과 영국에서 시작돼 한국 등으로 퍼졌다. 틱톡에서는 "집에 노숙자가 들어왔다"는 AI 합성 영상을 올리는 챌린지가 유행하며 조회 수 수백만 건을 기록했다. 국내 유튜버와 틱톡커들도 이를 모방해 연인이나 부모를 속이는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장난이 실제 경찰 출동으로 이어지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미국 미시간주에서는 허위 침입 영상을 본 시민들이 실제로 경찰에 신고했으며, 영국 경찰은 "AI 장난이 범죄 대응을 방해할 수 있다"고 공식 경고문을 냈다. 국내에서도 '집에 노숙자가 있다'는 AI 이미지를 본 부모가 신고해 경찰이 출동한 사례가 발생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AI 챌린지를 단순한 놀이로 소비하면 사회 불안과 신뢰 훼손을 초래할 수 있다"면서 이를 단순한 SNS 놀이로 봐서는 안 된다고 경고하고 있다.
한 전문가는 경찰 인력이 한정된 상황에서 이런 허위신고가 늘면 대응 공백이 발생할 수 있다면서 "AI 합성으로 꾸며낸 허위 장면이 실제 긴급신고 체계를 마비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캄보디아 향하는 BJ들...'엑셀방송'이 뭐길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ISU도 감탄…최민정, 월드투어 2차 대회서 金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9월 서울 아파트 신고가 거래 급증…‘초강력 대책’ 이유 있었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후계자 없는 中企 매물 쏟아지는데…금융·세제 지원책 '걸음마'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바이오 업계 늘어나는 영구CB…회사 경쟁력 보증수표일까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