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CONO ZOOM - 멸치 데치는 하얀 수증기

깜깜한 새벽, 해무(海霧)를 헤치고 바다로 나간 어부들은 멸치를 가득 싣고 포구로 돌아옵니다. 울산 울주군 강양항 어부들이 잡아 올린 멸치를 바로 삶아 볕에 말려 마른 멸치로 만들기 위한 작업이 한창입니다. 5월 중순부터 시작된 멸치잡이는 12월 중순 마지막 그물질로 한해를 마무리합니다. 멸치를 데치는 하얀 수증기가 피어 오릅니다. 멸치 잡이를 보기 위해선 1년을 기다려야 합니다. 내년 봄 이곳을 찾을 때에도 아름다운 해무와 멸치잡이 배의 만선을 볼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거품 꺼지는 바이오]①사면초가 바이오벤처, 자금 고갈에 속속 매물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태민 "日 지진 발언 경솔"…뭐라 했길래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이주비 규제해 투기 막겠다" 정부 셈법에…'졸속 규제' 논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한산한 회사채 시장… 7년물 발행하는 HD현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거품 꺼지는 바이오]①사면초가 바이오벤처, 자금 고갈에 속속 매물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