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녹차 한 잔으로 치매 예방
매일 녹차 한 잔으로 치매 예방

▎찻잎에 들어 있는 생리활성 물질은 치매 예방 효과가 있다.
“우리 연구에서 매일 차를 마시는 것과 같은 단순하고 돈이 적게 드는 생활습관이 노년의 신경인지장애 위험을 줄여준다는 사실이 드러났다”고 싱가포르 국립대학 심리의학과 레이펑 교수가 말했다.
연구팀은 녹차든 홍차든 규칙적으로 차를 마시면 인지 기능 저하 위험을 50%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알츠하이머를 유발하는 APOE-E4 유전자를 지닌 성인의 경우엔 그 효과가 86%로 높게 나타났다.
레이펑 교수와 동료 연구원들은 알츠하이머에 걸리기 쉬운 유전자를 지닌 사람들의 발병 위험을 약 90% 줄일 수 있는 간단하고 돈이 적게 들면서도 자연스런 방법을 발견했다. ‘영양·건강·노화 저널’에 발표된 이 연구는 2003~2005년 55세 이상 중국인 957명의 차 마시는 습관을 조사하고 그 후 2010년까지 2년에 한 번씩 그들의 인지기능을 검사했다. 생활방식과 건강 상태, 신체적·사회적 활동 등도 조사했다.
그 결과 하루 최소 1잔에서 3잔 이상까지 규칙적으로 차를 마시는 사람들의 뇌 건강이 가장 좋게 나타났다. 녹차와 홍차, 우롱차 모두 효과적이며 찻잎을 직접 넣든 티백을 이용하든 잎을 넣어 우려 마셔야 한다. 과일차나 허브차에서는 이런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차를 규칙적이고 장기적으로 마셨을 때의 효과는 카테킨·테아플라빈·테아루비긴·L-테아닌 등 찻잎에 들어 있는 생리활성 물질 덕분이다. 찻잎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는 뇌혈관 손상을 예방하는 항염·항산화 효과가 있다. “이런 물질들은 항염·항산화 성분뿐 아니라 뇌혈관 손상과 신경퇴행을 막아주는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한다”고 레이펑 교수는 말했다.
연구팀은 아시아식 식사가 노년의 뇌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더 연구할 계획이다. 여기엔 차에 함유된 생리활성 물질의 효과 조사와 그 물질들의 생물학적 지표 검사가 포함된다. 연구팀은 또 이번 연구 결과가 중국인뿐 아니라 다른 민족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말한다. “이 연구는 중국인 노인들을 대상으로 실시됐지만 결과는 다른 인종이나 민족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레이펑 교수는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치매 예방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현재 세계 치매 환자는 4750만 명이며 매년 770만 명의 새 환자가 발생한다. 알츠하이머는 치매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전체의 60~70%를 차지한다. 알츠하이머 같은 진행성 치매는 아직 이렇다 할 치료법이 없지만 과학은 신경퇴행병의 예방에 가장 효과적인 음료가 차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커피

▎65~80세 여성 중 10년 넘게 매일 카페인 261㎎ 이상을 섭취한 사람은 치매 위험이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맥주

▎맥주 원료인 호프의 항산화 성분 잔토휴몰은 치매 발병을 늦추거나 예방한다
샴페인

▎샴페인을 마신 생쥐는 무알코올 음료를 마신 생쥐보다 간식 찾는 법을 더 잘 기억했다.
- 리제트 보렐리 아이비타임즈 기자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