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100인 이상 500여개사 “올해 신규채용 규모 ‘지난해와 유사’ 37.9%”
- 응답 기업 40.3% ‘신규채용 계획 있다’
신규 채용시 주된 애로사항 ‘원하는 능력을 갖춘 지원자 부족’
언택트 채용 도입은 13.9%에 그쳐

한국경영자총협회가 ‘2021년 신규채용 및 언택트채용 활용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전국 100인 이상 기업 504개사 대상, 응답 기업 기준)에 따르면 올해 신규채용 계획이 있다고 답변한 기업은 응답 기업의 40.3%였다. 이들 기업들의 신규채용 규모는 ‘지난해와 유사’ 답변이 37.9%, ‘지난해보다 축소’는 37.4%였고, ‘지난해보다 확대’는 24.6%에 그쳤다.
올해 신규채용 계획에 ‘계획 있음’이라는 응답은 40.3%였고, ‘신규채용 여부 비결정’이란 응답은 33.9%였다. ‘계획 없음’도 25.8%로 나타났다. 이미 상반기 채용이 시작된 3월말~4월초에도 응답 기업의 59.7%는 올해 신규 채용 계획이 없거나 신규채용 여부를 결정하지 못했다고 경총은 밝혔다.
신규채용 시 어려움을 겪었던 기업들에게 주된 애로사항은 ‘원하는 능력을 갖춘 지원자 부족’이라는 응답이 60.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외 ‘합격자가 입사를 포기하거나, 조기에 퇴사’라는 응답이 17.4%, ‘지원자의 요구(임금 등)를 충족시키기 어려움’이라는 응답이 16.8%, ‘지원자가 지나치게 많이 몰림’이라는 응답은 4.2% 순으로 집계됐다.
언택트 채용과 관련해선 응답 기업 13.9%가 언택트 채용을 도입했다. 이는 필기, 면접 등 채용 절차 중 1개 절차라도 비대면으로 진행한 경우 언택트채용을 도입한 것으로 간주했다.
언택트 채용은 기업규모가 커질수록 응답률이 높았다. 500인 이상 기업은 21.0%로 언택트 채용이 가장 많았고, 300~499인 기업과 100~299인 기업은 각각 14.2%, 10.4%에 그쳤다.
경총은 “기업 규모가 커질수록 언택트채용을 도입했다는 응닾이 높게 나타났다”며 “코로나 신종바이러스 감염증 (코로나 19) 이후 경제 전반에 비대면방식이 확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기업 현장에서 언택트채용 활용은 저조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김하늬 기자 kim.honey@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마켓인]“하반기 출자사업 어디 남았나”…지자체에 쏠리는 시선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일간스포츠
[단독] 박은영 전 아나, 두 아이 엄마 된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고용장관 후보자 "최저임금 결정 피로도 높아…사무국 기능 강화"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왓챠, CB 투자자가 회생절차 신청…"철회 요청, 협의 중"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큐렉소, FDA 늦어도 방향성 확실…이익·주도권 쥐고 미국시장 공략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