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대웅제약, 탈모치료 주사제 개발 본격 돌입…‘호주 임상 1상 승인’

매일 먹는 약 대신 1~3개월마다 주사 맞아 ‘간편’… 2023년 발매 목표

 
대웅제약 전경 [사진 대웅제약]
대웅제약이 탈모치료 주사제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대웅제약은 탈모치료 장기지속형 주사제 ‘IVL3001’이 호주 식품의약품안전청(TGA)으로부터 1상 임상시험 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27일 밝혔다.
 
대웅제약은 이번 임상에서 IVL3001의 경구제 대비 우수한 약물 체내 동태와 생화학적 지표를 바탕으로 한 효능을 증명할 예정이다. IVL3001은 앞서 진행한 효력시험에서 경구제와 비교했을 때 낮은 투여량으로도 우월한 탈모치료 효과를 입증한 바 있다. 이번 임상을 통해 매일 약을 먹을 필요 없이 1개월 또는 최대 3개월에 한 번만 맞아도 되는 탈모치료 주사제 개발이 본격적으로 가시화될 전망이다.  
 
탈모 치료제를 복용할 때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정해진 양을 매일 꾸준히 복용하는 이른바 ‘복약순응도’가 중요하다. 장기지속형 주사제를 투약하면 매일 경구제를 복용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은 물론 안정적인 효능도 담보할 수 있다. 또 병원을 방문해 투약하는 제제 특성상 오·남용과 부작용의 위험도 더 적다.
 
이번 임상은 대웅제약이 지난 6월 인벤티지랩·위더스제약과 체결한 ‘탈모치료 장기지속형 주사제의 개발·생산·판매를 위한 3자간 업무협약’에 따른 성과다. 3사는 2023년 국내 발매를 목표로 공동 개발 및 상용화에 본격적으로 나설 예정이다. 개발 과정에서 대웅제약은 임상 3상·허가·판매를 맡았다. 인벤티지랩은 전임상·임상 1상·제품 생산 지원 업무를, 위더스제약은 제품 생산을 각각 담당한다.  
 
전승호 대웅제약 대표는 “장기지속형 탈모치료 주사제를 개발해 매일 약을 복용하는 탈모인들이 편의성과 안정적 효과를 누릴 수 있게 하겠다“며 “최고의 기술력을 가진 파트너사들과 함께 성공적인 제품 개발을 이뤄낼 수 있도록 긴밀한 협력관계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시장조사기관인 그랜드뷰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탈모치료제 시장은 2020년 기준 약 8조 원 규모로 형성돼 있다. 매년 8%씩 성장해서 2028년에는 현재의 두 배 가까이 그 규모가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승훈 기자 lee.seunghoo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해외건설전문가포럼, ‘해외투자개발사업 법률적 타당성조사 공동 세미나’ 성료

2우리은행, 벤처기업에 ‘원비즈플라자’ 무상 제공

3엔비디아 4거래일 만 반등에...SK하이닉스·한미반도체, 동반 상승

4미래에셋, ‘TIGER 미국나스닥100+15%프리미엄초단기 ETF’ 상장일 개인 순매수 1위

5DGB금융, 하반기 조직개편…디지털 경쟁력 강화 초점

6한진家 막내딸 조현민 사장, 자사주 2억원어치 매입

7 합참 "北서 띄운 '오물풍선' 추정 물체 포착"

8SK팜테코 美 버지니아 공장, 노보 노디스크에 팔리나

9"최태원 회장 주식 처분 막아달라"던 노소영...가처분 항고 취하

실시간 뉴스

1해외건설전문가포럼, ‘해외투자개발사업 법률적 타당성조사 공동 세미나’ 성료

2우리은행, 벤처기업에 ‘원비즈플라자’ 무상 제공

3엔비디아 4거래일 만 반등에...SK하이닉스·한미반도체, 동반 상승

4미래에셋, ‘TIGER 미국나스닥100+15%프리미엄초단기 ETF’ 상장일 개인 순매수 1위

5DGB금융, 하반기 조직개편…디지털 경쟁력 강화 초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