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일반
사업비 2조 '잠실 마이스' 사업자 당락, ‘서울을 위한 공익성’에서 갈린다

6일 부동산개발업계에 따르면 서울시는 11월 29일 잠실 마이스 사업 제 3자 제안 2단계인 기술·가격·공익성에 대한 평가 서류를 제출한 무역협회 컨소시엄과 한화그룹 컨소시엄에 대한 평가를 7일부터 진행한다.
업계에서는 최초 제안자인 무역협회 컨소시엄과 제 3자 제안으로 도전장을 던진 한화그룹 컨소시엄이 우위를 가릴 수 없을 정도로 팽팽한 접전이라는 평가다. 결국 승부는 공익성에서 판가름 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는 잠실 마이스 사업으로 들어설 전시컨벤션 및 스포츠 시설과 호텔 등은 모두 미래 서울의 랜드마크가 될 '공공재'인 만큼 영리 위주의 부동산 개발 사업이 아닌, 공공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평가 항목에 대한 전체 평가점수 1020점 중 디자인‧시설운영 부문에 배정된 배점이 높지만 이는 절대평가 항목인 반면, 공익성 항목은 유일하게 상대평가를 적용했다.
공익성 부문은 ▶환수기준수입의 적정성 ▶초과운영수입 공유방안 ▶주변지역과의 상생 및 공익성 등 세 가지 항목으로 나눠져 있으며, 총 140점으로 전체 평가 점수의 13%를 차지한다.
이중 핵심은 환수기준수입의 적정성이다. 100점이 배정돼 있으며, 운영수입 중 서울시민들에게 환수되는 금액을 어느 컨소시엄에서 높게 제시했는지를 비중 있게 들여다보겠다는 서울시의 의중이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초과운영수입 공유방안과 상생 및 공익성 항목에는 각각 20점이 배정됐다. 서울시와 민간사업자 간 어느 비율로 배분하는가에 따라 공익성을 평가하는 항목이다. 주무관청의 비율이 높을수록 서울시민을 위한 환수로 이어진다.
대장동 사태 이후 지자체의 개발 및 공모사업에서 민간사업자의 이익 제한 및 초과이익 환수 이슈로 공모가 취소되거나 인허가가 지연되는 상황에서 양측이 얼마나 환수 금액을 높게 책정해 공익성을 확보했는지 눈여겨 볼 대목이다.
무역협회 컨소시엄과 한화그룹 컨소시엄 모두 공공 이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도출한 결과물을 사업제안서에 담은 것으로 알려진 만큼, 결국 어느 제안서가 서울시민을 위한 공익성을 더 확보했느냐에 따라 당락이 가려질 전망이다.
차완용 기자 cha.wanyong@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속보]조현 “조지아 사태로 한·미 관계 다시 의심할 단계 아냐”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45세 맞아?… 이가령, 비키니로 시선 압도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속보]조현 “시진핑 APEC 참석 의사 확실하다고 느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K-리걸테크, 미국·일본 동시 상륙…‘법률 AI’ 해외 판로 넓힌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옥석 가리는 AI의료]루닛 이후 2세대 기업도 1조 클럽 가능…뜨는 다크호스는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