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코로나19 확산에 계약 체결
통화스와프로 198억7200만 달러 공급
지난해 7월 상환 후 추가 수요 없어

한국은행(한은)에 따르면 한은이 미국 연방준비제도 이사회(연준)과 체결했던 한시적 통화스와프 계약은 예정대로 계약만기일인 31일에 종료된다. 계약 체결 후 국내외 금융·경제 상황이 위기에서 벗어나 안정을 유지하고 있는 점이 계약 종료의 배경이다.
통화스와프는 두 국가가 현재의 환율에 따라 필요한 만큼의 돈을 상대국과 교환하고,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최초 계약 때 정한 환율로 원금을 다시 교환하는 거래다. 계약을 맺은 두 국가는 자국 통화를 상대국 중앙은행에 맡기고, 상대국의 외화를 빌릴 수 있다. 마이너스 통장에 비유할 수 있는 이 제도는 계약 체결 상대방 국가를 통해 언제든지 달러를 꺼내 쓸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앞서 한은은 지난해 3월 19일 미 연준과 600억 달러 한도의 통화스와프 계약 체결을 발표했다. 같은 달 29일에는 경쟁입찰방식의 외화대출 실시 방안과 일정을 발표하고 그달 31일부터 총 6차례에 걸쳐 198억7200만 달러를 공급했다. 우리나라는 한·미 통화스와프계약을 통해 공급된 이 자금을 지난해 7월 30일 전액 상환했다. 이후 현재까지 수요가 없는 상황이다.
강필수 기자 kang.pilsoo@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NCT 前멤버 태일, 항소심도 '특수준강간' 징역 3년6개월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클라라, 6년 만에 파경…남편과 무슨 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코스피, 3일 연속 최고치…삼전·하이닉스 신고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연금 고갈 우려'…전통자산 한계에 VC에 눈 돌리는 유럽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美 공식 의료 인정’ 로킷헬스케어 급등...외국인 투심 몰린 휴온스도 강세[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