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여건 갈수록 열악’ 서울 세입자 월세 ↑ 집 면적 ↓
서울 주택 임차보증금 오르자 세입자 집 크기 줄여
![지난 12일 서울 송파구 한 공인중개사무소 게시판에 붙은 월세 매물 정보. [연합뉴스.]](https://economist.co.kr/data/photo/202201/20/a3d8d291-a677-4745-a2be-a41805f41ff2.jpg)
지난 12일 서울 송파구 한 공인중개사무소 게시판에 붙은 월세 매물 정보. [연합뉴스.]
20일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임대차신고제가 시행된 지난해 6월부터 11월까지 서울 주택(아파트·단독·다가구·연립·다세대 포함) 임대차 거래 건수는 총 13만6184건을 기록했다.
이 가운데 재계약과 갱신청구권을 사용한 계약을 포함한 갱신 계약 거래가 3만7226건, 신규 계약 거래 9만8958건이었다. 갱신 계약은 월세가 8152건(21.9%)으로, 전세 2만9074건(78.1%)의 3분의 1 수준에 머물렀다.
![서울 주택 전월세 가격 변화.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data/photo/202201/20/a0bcaea8-7e15-4523-9c63-61d63f6c303a.jpg)
서울 주택 전월세 가격 변화. [이코노미스트]
한국부동산원의 가격 통계 기준으로 서울 주택의 평균 전세가격은 2020년 12월말 기준 3억7994만원에서 지난해 12월말 기준 4억8965만원으로 1년 새 28.9%(1억971만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평균 월세가는 97만원에서 107만원으로 10.3%(10만원) 올랐다.
신규 계약일수록 주택 면적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6~11월 서울에서 임대차 거래된 주택 면적의 평균은 54.6㎡(전용면적, 단독·다가구는 계약면적 기준)이었다. 이 평균 주택 면적을 거래 유형별로 나누면 갱신이 65.7㎡, 신규가 50.4㎡였다.
임차보증금 상승과 대출 규제가 이어지자 임차인이 새로 계약을 맺을 때 집 크기를 줄였다는 분석이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모든 주택 유형에서 갱신 계약된 주택 면적의 평균이 신규 계약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며 “서울에서 주택 임차보증금 수준이 높아지고 대출이 까다로워지면서 신규 임차인들이 주거 면적을 줄여 이동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강필수 기자 kang.pilsoo@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