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자 시 원금회수·이자상환 불투명”
러 잠재적 국가부도 위험성 높아져

이에 따라 세계 3대 신용평가사 S&P·무디스·피치 모두 러시아 신용등급을 큰 폭으로 낮춤으로써 러시아의 잠재 부도 위험성을 반영했다.
BB+는 투자가 부적격하다는 평가다. CCC- 등급은 국가 부도 위기에 가까운 평가를 의미한다. 투자하면 원금과 이자 상환이 어려워 의심스럽다는 의미다. CCC- 등급 보다 더 아래인 D 등급은 국가부도를 뜻한다.
AFP와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S&P는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대한 미국과 유럽의 경제 제재로 인해 러시아가 채무불이행(디폴트) 위험이 커졌기 때문”이라며 평가 등급을 8단계 하향 조정한 배경을 밝혔다.
S&P측은 “이번 러시아 강등은 러시아 디폴트의 위험을 높이는 경제 조처들이 시행된 데 따른 것”이라며 “각국의 경제 제재 속에서 러시아가 루블화 가치를 보호하기 위해 도입한 자본 통제 등도 그에 해당된다”고 설명했다.
S&P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다음 날인 2월 25일 러시아 신용등급을 BBB-에서 BB+로 강등한 바 있다.
또 다른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Moody's)와 피치(Fitch)도 러시아 디폴트가 우려된다며 이날 러시아 국채신용 등급을 투기등급(정크)으로 6계단 낮췄다.
피치는 BBB에서 B로 낮춰 ‘부정적 관찰대상’에 올렸다. 무디스도 Baa3에서 B3로 낮췄다.

JP모건 “러시아 2분기 경제 -35%↓” 경제위기 내포
이에 따라 미국 투자은행 JP모건은 “이 같은 제재들로 인해 러시아의 올해 2분기 경제성장률이 -35%로 대폭 추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같은 상황이 지속할 경우 러시아가 국가적 경제위기에 처할 수 있다는 의미다.
박정식 기자 park.jeongsik@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여야 지지율 격차 더 벌어졌다..민주 46%VS국힘 22%[한국갤럽]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김승우 이혼설 논란?…김남주, 입 열었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카드 배송왔어요"…'그 전화' 한통에 그녀의 삶이 무너졌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금융자산·차입금 정보 깜깜…“공시보고 투자 판단 가능하겠나”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AI 피부암 재생치료 임상 성공' 로킷헬스케어 ↑…'매각설' 압타머사이언스 ↓[바...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