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국채 10년물과 2년물 금리 차 2년여만 최저치
올해 10년물-5년물 금리 차는 장중 역전도
미국 주요 IB “지정학적 리스크 영향의 침체 우려”

주요 투자은행들은 장단기 금리 차 축소에 따라 당장 경기 침체가 발생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경우 이로 인한 스태그플레이션 압력 확대가 발생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국은행 외자운용원이 18일 내놓은 ‘최근 미 국채 장단기 금리 차 축소에 대한 시장 평가’에 따르면 미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과 2년 만기 국채 수익률 간의 차이는 지난해 3월 31일 1.58%포인트까지 확대된 이후 축소 전환되며 올해 3월 17일 현재 0.26%포인트까지 좁혀진 상황이다.
또 올해 3월 11일 이후 미 국채 10년물과 7년물 간 역전현상도 지속되고 있고, 지난 3월 16일 장중에는 10년물과 5년물 간 금리 역전현상이 발생했다. 한은은 미 국채 장단기 금리 차 축소를 연준의 금리인상 가능성이 부각되던 지난해 3월 이후 지속됐다고 분석했다. 특히 올해 초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기조가 가속화되면서 축소폭이 더욱 커진다고 봤다.

다만 주요 투자은행들은 최근의 금리 차 축소를 경기침체 전조로 해석하기에 무리가 있다는 평가를 내놓는다. 최근 장단기 금리 차 축소는 경기 우려에 따른 장기물 금리 하락의 결과라기보다,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가 단기물 가격에 반영된 결과로 파악되기 때문이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장단기 금리 차 역전이 금리인상 이후에 주로 나타나는 데 반해 지금은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기 초반이라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JP모건은 미국 경제 여건이 기업 이익 전망치의 상향 조정, 가계 소비 호조 등에 비춰 여전히 양호하다고 평가하면서 연준의 금리 인상을 충분히 감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주요 투자은행들은 장단기 금리 차 자체보다 지정학적 리스크에 의한 인플레이션 장기화를 주요 위험요인으로 내다봤다. 뱅크오브몬트리올(BMO) 등은 우크라이나 사태와 서방의 러시아 제재가 예상보다 심화되고 있고, 이에 따른 에너지 가격 상승이 스태그플레이션 압력으로 이어질 경우 올해 중 수익률 곡선이 역전되고 경기침체 우려가 커질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이용우 기자 lee.yongwoo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단독]尹정부때 없앤 사회적기업 발굴·육성 되살린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태민 "日 지진 발언 경솔"…뭐라 했길래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이주비 규제해 투기 막겠다" 정부 셈법에…'졸속 규제' 논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한산한 회사채 시장… 7년물 발행하는 HD현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거품 꺼지는 바이오]①사면초가 바이오벤처, 자금 고갈에 속속 매물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