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공시지가 11%↑…성동구는 14% 넘게 급등
가장 비싼 곳은 19년 연속 '네이처리퍼블릭 명동월드점'
주거지역에선 '반포 아크로리버파크'
![명동 네이처리퍼블릭.[연합뉴스]](https://economist.co.kr/data/photo/202204/29/07af1f1e-8003-48f6-8aa5-91c3b2d48e55.jpg)
명동 네이처리퍼블릭.[연합뉴스]
서울의 개별공시지가가 2년 연속 상승했다. 공시지가가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성동구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올해 1월 1일을 기준으로 조사한 87만3412필지의 개별공시지가를 29일 결정·공시한다고 밝혔다. 올해 서울의 개별공시지가 상승률은 11.54%로 전년과 동일했다. 최근 10년만 놓고 보면 2019년 12.35%에 이어 두 번째 높은 수치다.
지가가 상승한 토지는 98.9%인 86만3385필지이고, 하락한 토지는 0.4%인 3414필지에 그쳤다. 전년과 지가가 동일한 토지는 0.4%인 3586필지였고, 나머지 3027필지는 신규로 조사된 토지다.
자치구별 상승률을 보면 성동구가 14.57%로 가장 높았고, 영등포구와 강남구가 나란히 13.62%로 뒤를 이었다. 이어 서초구 13.39%, 송파구 12.75%, 금천구 11.60% 순이었다.
![연도별 서울 개별공시지가 변동률[서울시]](https://economist.co.kr/data/photo/202204/29/c0589900-7357-456c-96aa-914f74b05236.jpg)
연도별 서울 개별공시지가 변동률[서울시]
주거지역 중에서 가장 높은 공시지가를 기록한 곳은 ‘아리팍’의 반포 아크로리버파크였다. 서초구 반포동 2-12번지 위치한 이 아파트는 공시지가가 1㎡ 당 2920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개별공시지가 확인은 서울부동산정보광장 또는 '일사편리 서울부동산정보조회시스템' 홈페이지에서 토지 소재지를 입력하면 조회할 수 있다. 이의 신청은 내달 30일까지 '일사편리 부동산통합민원', 구청, 동 주민센터 등에서 할 수 있다. 이의가 제기된 토지에 대해서는 감정평가사 검증과 자치구 심의를 거쳐 6월 24일 결과를 조정·공시할 예정이다.
김두현 기자 kim.doohyeon@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