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환율의 역습…지금이 ‘금융위기’ 수준인가

원·달러 1300원은 IMF·닷컴버블·금융위기 당시 밖에 없어
금리 인상에 따른 달러 강세에 촉발
“최근 급등 지나치지만, 향후 추이는 한국 경제상황에 달려”

 
 
[연합뉴스]
 
원·달러 환율이 ‘위기의 마지노선’으로 여겨졌던 1300원대를 ‘터치’했다. 최근 미국 달러화 강세에서 촉발된 상황인데, 향후 국내 경제의 추이에 따라 추가 상승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24일 오전 9시9분 현재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전날보다 1.70원(0.13%) 떨어진 1300.10원에 거래되고 있다. 소폭 하락하고는 있지만 13년 만에 처음으로 1300원대를 넘어섰던 전날에 이어 1300원대를 유지하는 중이다.
 

달러 강세와 주변국 환율, 외국인 주식 매도 등이 원인

원·달러 환율 1300원은 국내 경제와 금융시장의 위기신호로 여겨졌다는 점에서 특히 최근의 환율급등세의 파장이 크다. 원·달러 환율이 1300원대에 진입했던 시기는 국제통화기금(IMF) 사태, 닷컴버블, 금융위기 당시 밖에 없다.
 
전규연 하나금융투자 애널리스트는 “현재 글로벌 경기 침체 가능성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위기 국면은 아니라는 점에서 1300원이라는 숫자는 부담스럽다”면서도 “지금은 절대적 수치를 바라보기보다는 현 수준에서 원화를 움직일 만한 요소들을 생각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진단했다.
 
최근의 환율 상승은 미국의 공격적인 금리인상에 따른 달러 강세가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자이언트 스텝(한번에 0.75%포인트 금리 인상)’을 단행하고 계속해서 금리를 올릴 것을 시사했기 때문이다.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로 안전자산으로서 달러 수요도 증가하면서 달러 가치가 올라가고, 상대적으로 원화 가치는 떨어진 것이다.
 
아울러 일본 엔화와 중국 위안화 등 주변국 통화 역시 달러 대비 가치가 크게 하락한 것과 한국의 무역수지 악화, 국내 금융시장에서의 외국인 이탈 역시 원화 가치 하락을 부추겼다.
 
정용택 IBK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한국 무역수지가 지난 4분기 이후 적자로 전환되면서 여러가지 우려를 야기시키고 있다”며 “1970년대 오일쇼크의 기억을 소환하기도 하고 1990년대 외환위기의 상황을 떠올리게도 하는 등 강하게 형성된 경계심은 외환시장을 더 얼어붙게 만드는 요인”이라고 밝혔다.
 

현재 국내외 경제 상황, ‘금융위기’ 수준까진 아냐

다만 최근의 원·달러 상승(원화 가치 하락)세는 대내외 경기 상황에 비해 지나치다는 시각이 많다.  
 
인플레이션 압박에 이어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와 이로 인한 신용위험의 증가 등은 이제 표면화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환율 수준은 이미 과거 큰 폭의 경기 침체가 절정으로 진행되고 대규모 신용부실 위험이 현실화 됐던 수준에 도달해 있기 때문이다.
 
정 애널리스트는 “우리나라의 신용위험을 대변하는 CDS 스프레드나 신흥국 전반의 불안을 보여주는 EMBI 스프레드 등과 현재 환율을 비교해 보면 중심선에서 매우 크게 벗어난 이례적인 수준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글로벌 경제 및 금융시장이 경기침체 가능성이 높아진 불안한 국면이긴 하지만, 이전 글로벌 금융위기처럼 위기라고 명명할 만큼의 상황이 재연될 가능성이 얼마나 높은지는 고민할 여지가 많다는 진단이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원·달러 환율이 1300원 수준까지 상승한 배경은 국내 경제의 악화보다는 미국 연준의 긴축기조 강화와 더불어 무역수지 악화 및 외국인 국내주식 순매도 등 수급여건 악화 때문이었다”며 “이는 1300원 터치가 국내 경제와 금융시장이 당장 위험국면에 빠졌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뜻”이라고 지적했다.
 
향후 환율의 향방은 국내 경제의 기초체력에 달린 것으로 분석된다.
 
박 애널리스트는 “원달러 환율이 1300원선을 크게 이탈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향후 추세적 추가상승세를 보인다면 그것은 국내 경제 리스크와 더불어 신용리스크(자금경색) 확산 때문일 것”이라고 전했다.
 
경기 부양 정책의 실패, 부동산 경기 침체의 확산으로 신용리스크가 불거질 경우 원·달러 환율은 더 상승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우크라이나 사태발 에너지 혼란으로 인한 물가 상승, 일부 신흥국의 신용위기 현실화도 위험 요인으로 꼽힌다.

김다운 기자 down@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KB금융, 1분기 순익 1조491…전년比 30.5% ‘털썩’

2베일 벗은 공매도 전산시스템…완비 때까지 ‘공매도 금지’ 연장되나

3KB부동산 “전세안전진단 서비스…10건 중 2건 ‘위험’ 등급“

4파랗게 물든 제네시스, 베이징 모터쇼 사로잡았다

5아워홈 임시주총 요청한 구본성...'본인·아들' 사내이사 선임 안건

6“날개 달린 차, 하늘을 달린다”...‘베이징 모터쇼’ 달군 中 샤오펑

7그랜드벤처스, 코드모스 운영사 '로지브라더스'에 시리즈 A 라운드 투자

8 '형제자매에게 유산상속 강제' 유류분 제도 위헌

9삼성자산, 한미일 분리과세 부동산 ETF 시리즈 600억 돌파

실시간 뉴스

1KB금융, 1분기 순익 1조491…전년比 30.5% ‘털썩’

2베일 벗은 공매도 전산시스템…완비 때까지 ‘공매도 금지’ 연장되나

3KB부동산 “전세안전진단 서비스…10건 중 2건 ‘위험’ 등급“

4파랗게 물든 제네시스, 베이징 모터쇼 사로잡았다

5아워홈 임시주총 요청한 구본성...'본인·아들' 사내이사 선임 안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