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작 모바일게임 ‘미르M’ 정식 출시, 하반기 글로벌 서비스 예정
‘위믹스(WEMIX)3.0’ 공개, 글로벌 블록체인 생태계 구축 본격화

2분기 매출액은 기존 게임 매출 안정화에 따라 전분기 대비 다소 감소했으나,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했다. 하지만 인력 충원에 따른 인건비 및 신작 출시 관련 광고선전비 등 영업비용 증가로 영업손실을 기록, 전년 대비 적자전환했다.
상반기 성공적으로 출시한 신작 모바일게임 미르M은 미르4에 이어 또 하나의 대표 ‘미르 IP’로 자리매김했다. 미르M은 하반기 블록체인 시스템을 접목해 글로벌 서비스 예정이다.
위믹스 플랫폼도 온보딩 계약과 출시를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열혈강호’, ‘크립토볼Z’, ‘사신’ 등 새로운 게임을 상반기에 선보였으며, 연내 100개 게임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 함께 위메이드의 S급 개발사 투자 성과 및 경쟁력 갖춘 블록체인 기업에 대한 투자 결실이 이어졌다. 지난달 라이온하트스튜디오 보유 지분을 일부 매각해 약 1187억원의 수익을 거뒀고, 전략적 투자를 진행한 알타바(ALTAVA)와 팬시(FANC)도 각각의 토큰이 국내외 거래소에 상장되며 가시적인 투자 성과를 보였다.
하반기 위메이드는 ▶위믹스(WEMIX) 3.0 중심의 블록체인 생태계 구축 본격화 ▶'인터게임 이코노미(inter-game economy)'를 통한 게임들의 경제적 연결과 실제 경제로의 확장에 더욱 집중할 계획이다.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는 “지금은 모든 블록체인 코인이 유틸리티를 증명해야 하는 시점이다. 위믹스는 이미 게임을 통해 쓰임새를 증명했기에 더욱 공격적인 행보로 시장을 주도하겠다”며 “현재 테스트 중인 위믹스3.0을 잘 다듬어서 더욱 개방적인 블록체인 생태계를 구축하고, 독보적인 글로벌 플랫폼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자회사 위메이드맥스의 2분기 매출액은 블록체인 신작 ‘다크에덴M’ 및 기존 모바일게임 매출 증가에 힘입어 약 242억원, 영업이익 약 89억원을 달성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192%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했다.
위메이드맥스의 계열사 라이트컨은 블록체인 기반 장르 다각화에 집중하고 있으며 위메이드커넥트 역시 블록체인 게임 ‘어비스리움’ 등 다수의 게임을 준비하고 있다.
원태영 기자 won77@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마켓인]“하반기 출자사업 어디 남았나”…지자체에 쏠리는 시선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이데일리
[단독] 박은영 전 아나, 두 아이 엄마 된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고용장관 후보자 "최저임금 결정 피로도 높아…사무국 기능 강화"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왓챠, CB 투자자가 회생절차 신청…"철회 요청, 협의 중"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큐렉소, FDA 늦어도 방향성 확실…이익·주도권 쥐고 미국시장 공략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