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
중환자실로 간 공학도…김동주 대표의 전자약 개발기[전자약 시장을 주목하라②]
- [인터뷰] 김동주 뉴로티엑스 대표
“패치 하나로 질환 치료하는 날 올 것…전자약 시장 키워야”

8월 22일 오전 수면센터를 찾은 김 대표는 고려대 뇌공학과 박사 과정 대학원생들과 피험자의 뇌파 변화를 골똘히 쳐다보고 있었다. 피험자가 착용한 뇌신호 모니터링 기기를 통해 서버에 들어온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에 대응하는 특정한 전기 자극(레시피)을 작성해야 하기 때문이다. 김 대표가 3년째 개발 중인 전자약 ‘뉴로에이드’ 중 슬립에이드(SleepAid)는 인공지능(AI)으로 피험자의 수면 패턴을 파악한 뒤 피험자가 깊이 잠들 수 있는 전기 신호를 보낸다. 피험자가 스트레스를 받거나 긴장하면, 상황에 맞는 다른 전기 자극도 개인 맞춤형으로 전송한다.
불면증을 앓는 피험자에게 전류를 흘리는 이유를 묻자 김 대표는 "우리 몸은 도체"라며 운을 뗐다. 뇌는 전기 신호를 통해 근육에 정보를 전달한다. 찰나에 수많은 전기 신호를 만들어 우리 몸 곳곳에 명령을 내린다. 손가락을 움직이는 것은 물론, 생각하고 말하는 것까지 뇌 속 뉴런과 시냅스가 만든 전기 신호의 결과다. 김 대표는 "뇌파도 이보크 포텐셜(evoke potential)이라는 전기 신호로 작동한다"며 "우리 몸을 전기 신호로 제어할 수 있다는 사실은 낯설지만, 상식적인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뉴로에이드를 개발한 것도 우리 몸이 전기 신호로 통제된다는 사실에서 출발했다. 무너진 자율신경계의 균형을 전기 신호로 회복시키면, 신경 이상이나 손상으로 고통받는 환자를 치료할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나뉘는데, 한쪽이 지나치게 활성화되면 급성심근경색과 불안증, 기립성저혈압 등 다양한 질환을 일으킨다. 뉴로에이드는 균형이 깨진 자율신경계에 전기 자극을 줘서 수면 장애 외에도 인지기능 장애, 파킨슨병의 증상을 완화할 수 있도록 개발 중이다.

소화장애부터 뇌전증까지…‘패치’ 하나로 해결한다

올해 초엔 약국에서 전자약을 판매하는 ‘전자약국’ 플랫폼 특허도 출원했다. 스마트폰, 노트북을 판매하는 것처럼 약국에서 다양한 전자약을 안내, 판매하는 식이다. 김 대표는 “기존 의약품과 달리 전자약은 승인만 받는다고 끝이 아니”라며 “미국에선 의사가 전자약 사용 방법을 안내하거나 지도하기 어려워서 실제 처방과 판매가 저조하다”고 했다. 이어 “소화불량, 안구 건조증 등 우리 생활과 밀접한 질환들이 자율신경계와 연관된 만큼 앞으로는 중증 질환뿐만 아니라 소화장애, 피로회복 등도 작은 패치 하나로 해결할 수 있는 날이 올 것”이라고 했다.
선모은 기자 suns@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김문수 측 “당 지도부 단일화 쿠데타…사법적 근거 없는 정치공작”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영원한 뽀빠이' 안녕히…이상용 향년 81세 별세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金·韓, 오후 8시30분 단일화 대리인 협상…사무총장 주재(상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주기적 감사인 지정이 되레 투자자 혼란 가중…“명확한 지침 필요”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상반기 기네스는 따놓은 당상” 이수앱지스, 이라크 공급 개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