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대금리차 줄이려…은행 수신 금리 인상
수신금리 인상, 주담대 금리 기준인 코픽스 상승에 약 80% 영향

예대금리차 줄이려…은행권 수신금리 인상
은행들은 지난달 22일 처음으로 발표된 월별 예대금리차 비교 수치 공시 전후로 줄지어 수신(에·적금) 금리 인상에 나섰다. 또 지난달 25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까지 더해지면서 은행권의 예·적금 금리 인상 행렬이 잇따랐다.
우리은행은 지난달 26일부터 21개 정기예금과 26개의 적금 금리를 최대 0.50%포인트 인상했다. 하나은행 또한 26일부터 총 26개의 예·적금 상품 금리를 최대 0.30%포인트 올렸다. KB국민은행은 29일부터 정기예금 16종 및 적립식예금 11종의 금리를 최대 0.4%포인트 인상했고, 신한은행도 예·적금 38종의 기본금리를 최대 0.4%포인트 올렸다.
공격적인 수신 금리 인상의 결과로 4대 은행의 8월 말 기준 정기예금 잔액은 561조1099억원으로 전월 대비 9조5770억원 늘었다.
수신금리 인상…코픽스 상승 부추겨
코픽스가 큰 폭으로 오른 것은 시중은행들이 수신금리를 올리면서 조달 비용이 커진 탓이다. 코픽스는 국내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로,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적금, 은행채 등 수신상품 금리가 인상되면 코픽스도 따라 오르게 된다.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정기예금이나 적금 인상이 코픽스 인상에 약 80% 가량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코픽스 상승이 문제되는 것은 이것이 은행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결국 은행들의 예·적금 금리 인상이 코픽스 상승으로 이어지고, 이는 곧 주담대 금리 인상으로 작용하면서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는 평가다. 시중은행의 주담대 최고 금리는 6%를 넘어서며 연말에는 최고 금리가 7%에 달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예대금리차 공시 의식해…결국엔 담합 우려
예대금리차 공시를 의식한 은행들의 대출금리 인하가 출혈 경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여기에 더해 은행들의 금리 경쟁이 일정 수준에 달하면 은행권의 이자 담합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한 은행 관계자는 “예대금리차는 변동성이 있는데 매달 공시 때마다 차이가 가장 큰 은행이 소위 ‘나쁜 은행’으로 비춰질까 걱정된다”면서 “금리 경쟁이 어느 정도 수준에 도달하면 은행들끼리 예대금리차를 비슷하게 맞추는 담합 부작용까지 나타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김윤주 기자 joos2@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마켓인]“하반기 출자사업 어디 남았나”…지자체에 쏠리는 시선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일간스포츠
[단독] 박은영 전 아나, 두 아이 엄마 된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고용장관 후보자 "최저임금 결정 피로도 높아…사무국 기능 강화"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왓챠, CB 투자자가 회생절차 신청…"철회 요청, 협의 중"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큐렉소, FDA 늦어도 방향성 확실…이익·주도권 쥐고 미국시장 공략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