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포집 이산화탄소로 플라스틱 원료 생산
2023년 충남 대산공장에 1000t 규모 조성
LG화학이 이산화탄소로 플라스틱의 원료를 생산하는 획기적인 탄소 저감 설비를 구축해 2050년 넷 제로(탄소중립) 달성 기반을 마련한다. LG화학은 공장에서 포집한 이산화탄소와 부생가스인 메탄을 사용해 플라스틱을 만드는 메탄건식개질(DRM) 설비를 구축한다고 17일 밝혔다.
DRM은 CCU(이산화탄소 포집‧활용) 기술의 한 종류로, 기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50% 이상 저감하고 주요 플라스틱 원료를 생산하는 탄소 저감 설비다. LG화학은 이번 DRM 공장을 외부 라이선스 기술이 아닌 자체 기술로 구축하고 이산화탄소 전환에 핵심이 되는 촉매까지 독자 기술로 개발했다. 자체 기술 기반의 공정과 촉매를 적용해 DRM 설비를 상업화하는 것은 국내 최초라는 게 LG화학 측의 설명이다.
지금까지 DRM은 운전 시 촉매 성능이 빠르게 약화돼 상업화가 어려웠지만, LG화학은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독자 개발한 공정과 촉매 기술을 적용해 촉매의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강화했다.
LG화학은 2023년까지 충남 대산공장에 DRM 설비를 1000t 규모의 파일럿 공장으로 건설하고, 이후 독자 기술로 개발한 공정 기술과 촉매를 검증해 2026년까지 규모를 지속 확대할 계획이다.
LG화학은 지난 2019년 고부가 사업인 촉매 생산 기술을 내재화하기 위해 촉매 사업을 담당조직을 신설했다. 특히 친환경 주력 제품인 POE(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 CNT(탄소나노튜브) 등의 생산에 필수적인 촉매를 독자 기술로 개발해 출시했고, 신(新)촉매 연구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노국래 LG화학 석유화학사업본부장은 “LG화학은 전통적인 석유화학 산업 구조에 머무르지 않고 전 세계 화학 산업의 탄소 저감 및 지속 가능한 혁신 기술을 선도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창훈 기자 hun88@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직장인 3명 중 2명 “연말정산 환급 서비스 이용 경험”
2세종 국평이 3억원...4억 시세차익 ‘로또 청약’에 단지별로 나눠 진행
312시간 주식거래 열린다...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내달 4일 출범
4“악재 속에도 선방”...㈜신세계, 지난해 매출 3.3%↑
5사법 리스크 덜어낸 이재용 회장…빅딜 기대감 높아진다
6한국산업은행 신입행원 65명, ‘사랑의 연탄 나누기’ 봉사활동
7불닭볶음면 수출 호조...삼양식품, 사상 첫 영업익 3000억 돌파
8 日언론 "닛산·혼다 경영통합 협상 중단 결정"
9농심, 일본 삿포로 눈축제 기간 ‘신라면 아이스링크’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