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위믹스, 오히려 오르네?”…‘커스터디’가 뭐길래
상폐 기로 선 위믹스, 27% 이상 급등 현상
‘바이낸스 커스터디’ 이용 소식 이후 꾸준히 상승
금융자산 수탁해주는 커스터디…코인 시장서 인기
업계 “커스터디 영향 미미…위믹스 상승은 ‘상폐빔’”
![](/data/ecn/image/2022/12/05/ecn1d69f088-5107-4355-acaa-84d4f8893ba4.jpg)
![](/data/ecn/image/2022/12/05/ecn32c08edb-16c5-4b3e-b2a0-62cd47907552.jpg)
위믹스 가격이 급등한 건 2일 오후부터다. 이날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50부는 닥사 소속 4개 암호화폐 거래소(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를 상대로 낸 거래지원 종료 결정 효력 가처분 심문을 열었다. 재판부는 “(거래지원 종료일이) 12월 8일이므로 7일 저녁 전까지는 결정해야 한다”며 양측에 5일까지 추가 서면 제출을 마무리해달라고 요청했다.
![](/data/ecn/image/2022/12/05/ecn04f42721-426d-4ac4-b40e-b9067c790097.jpg)
이 같은 분위기에 위믹스 홀더와 위메이드 주주를 중심으로 가처분 신청이 인용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져 위믹스의 거래량이 늘고 가격이 오른 것으로 풀이된다.
암호화폐 시장에선 여기에 위메이드가 ‘바이낸스 커스터디’ 아래로 들어간다고 발표한 점도 가격 상승세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봤다. 지난 4일 오후 위메이드는 바이낸스 기업대상 서비스(Binance Institutional Services)와 협의를 마치고 바이낸스 커스터디 서비스 이용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해당 발표 당시 위믹스는 1020~1030원대였지만, 현재는 1120원대에서 가격을 형성 중이다.
위메이드는 바이낸스 커스터디 이용 결정이 위믹스의 자체 관리 시스템을 강화하는 다양한 방식의 일환이라고 밝혔다. 기술적 절차가 완료되면 이르면 다음 주부터 위믹스는 바이낸스 커스터디를 통한 관리 시스템으로 전환된다.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는 “세계 최고 수준의 보안과 솔루션을 겸비한 바이낸스 커스터디 서비스를 통해 위믹스 생태계를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의 초석을 마련하겠다”며 “이번 사태와 같은 일의 재발 우려를 원천 차단하도록 완전히 투명한 위믹스 유통량 관리 시스템을 확립해 가고 있다”고 말했다.
![](/data/ecn/image/2022/12/05/ecn6042ecbd-878d-4ccc-a8b1-f678f1836eb6.jpg)
금융자산 맡아주는 ‘커스터디’, 코인 시장서 더 주목받는 까닭은?
![](/data/ecn/image/2022/12/05/ecn539018d1-2af1-44ba-8770-ac150b2cb097.jpg)
하지만 최근 피싱을 통해 지갑에 접근할 수 있는 암호키를 탈취당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예컨대 보이스피싱으로 암호키를 부르도록 유도하거나, PC나 모바일에 적어둔 메모를 해킹하는 것이다. 따라서 많은 양의 암호화폐를 보다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 대형 금융사에 맡기려는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또 암호화폐를 투자·소유하는 법인은 증가하고 있지만, 이를 관리하기 위한 솔루션과 내부통제기준이 미비한 점도 커스터디를 이용하는 이유다.
암호화폐 지갑의 경우 탈중앙화로 운영돼 법인명의 지갑주소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때문에 대부분의 법인이 대표 혹은 임직원의 개인지갑을 통해 매입한 암호화폐를 보관하고 있다. 결국 암호키에 접근 가능한 임직원의 횡령, 개인지갑 소유자의 퇴사 시 소유권 분쟁 등 사건·사고에 취약하게 된다. 여기에 아직까지디지털자산의 법적 성격이 모호하고 관련 회계기준이 급변하고 있어, 법인이 세무회계 업무를 오류 없이 수행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커스터디사가 이런 법인의 디지털자산 관리, 보안 위험, 세무회계 업무 등을 관리하기 위한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는 셈이다.
![](/data/ecn/image/2022/12/05/ecna1608938-1389-4386-9084-eac9b58158a4.jpg)
위믹스의 커스터디 결정…업계는 “글쎄”
김동환 원더프레임 대표는 “커스터디는 ‘은행에 코인을 맡긴다’ 정도의 의미가 있을 뿐이다”며 “위믹스는 거래량의 90%가 업비트에서 나왔기 때문에 해외 거래소에 커스터디는 (위믹스의 신뢰 회복에) 영향이 없다”고 말했다.
![](/data/ecn/image/2022/12/05/ecnb2515d6a-953b-4667-b4f3-9af28ae2f0f0.jpg)
김 대표는 “위믹스가 정말로 회생하려면 유명 거래소에 코인을 상장시키거나, 디파이(DeFi, 탈중앙화 금융)에서 거래량이 많이 늘어나는 등의 상황이 일어나야 한다”며 “가격은 위믹스의 기로를 결정짓는 지표는 전혀 아니다”고 설명했다.
윤형준 기자 yoonbro@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이재명 “민주당 집권 땐 코스피 3000 간다”
2‘홍콩 재벌 3세 사망’ 강남 성형 집도의, 업무상과실치사 ‘무죄’ 이유는
3전국 집값, 연초 더 떨어졌다...전셋값도 하락 전환
4정부, 올해 지적재조사사업에 418억 투입…민간 참여 47%로 확대
5“세금 한 푼 안내고”…자녀에 50억 아파트 편법 증여, 156명 세무조사
6美 계란값 폭등 '12개 7200원'...바이든 정부 책임?
7레페리, 알렉스디자인 인수 2년 성과 발표...“올해도 다양한 프로젝트 추진”
8“우리 아티스트 비웃지 마라”...가상 아이돌 시대, ‘플레이브’ 비하 논란
9“코스트코 어쩌나”...韓 창고형 할인점 대박 터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