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T, 3분기 외식산업 인사이트 리포트 발표
배달 플랫폼 사용자 96%가 배민 사용
수수료 절반 가격인 공공배달앱은 18%에 그쳐

29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발표한 '3분기 외식산업 인사이트 리포트'에 따르면 지난 9월 외식업체 3000개를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 결과 배달 플랫폼을 사용 중인 업체는 926개로 전체의 30.9%에 달했다.
또 배달 플랫폼 이용하는 926개 업체 중 96.5%가 배달의 민족을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배달 플랫폼(복수응답)으로는 요기요(60.7%)와 쿠팡이츠(43.0%) 등 순이었고 공공배달앱은 18.1%였다,
공공배달앱은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플랫폼으로 수수료가 민간배달앱의 절반 수준에 그치는데도 이용률이 저조했다. 공공배달앱의 주문 한 건당 평균 수수료는 1545원으로 민간배달앱(2874원)의 절반 수준이다.
이 같은 현상은 민간배달앱 수수료가 비싸지만, 주문 건수가 공공배달앱 보다 배로 많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조사 결과 하루 평균 주문 건수는 공공배달앱이 2.1회로 민간배달앱(14.6회)의 14.4%에 그쳤다.
인지도가 아직 비교적 낮다는 인식도 크다. 실제 이번 조사에 따르면 민간배달앱 이용업체(766개)가 공공배달앱 미사용 이유로 공공배달앱의 낮은 인지도를 절반 이상인 57.8%가 꼽았다.
한편 배달 플랫폼을 이용하는 외식 업체의 업종별로는 피자·햄버거·치킨·제과점 등의 기타 간이음식점이 56.3%로 가장 많고 이어 중식·일식·서양식 등 외국식 음식점(42.6%), 커피 전문점 등 비알코올 음료점(29.0%), 한식 음식점(24.1%) 등 순이었다,
특히 기타 간이음식점 중에서도 피자·햄버거·샌드위치 및 유사 음식점은 이용률이 86.1%에 달했고 치킨 전문점은 73.0%로 높았다.
반면 기관구내 식당은 1.1%에 그쳤고 출장 음식 서비스 1.9%, 주점 8.5% 등이었다.
aT 측은 보고서를 통해 "외식업체의 공공배달앱 이용량 증대와 유지를 위해서는 소비자와 외식업체의 공공배달앱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마케팅과 배달앱 유지보수 방안 등을 우선 진행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라예진 기자 rayejin@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셀트리온 “美 약가인하, 직접적 영향 無...오히려 기회”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갈수록 야위어"…故서희원 보낸 구준엽 근황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고령화에 의무지출 눈덩이…이대로면 15년 내 재정 파탄"[ESF2025]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SK증권 대주주라 믿었는데"…맥케이슨 매각 무산에 협력사만 피눈물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에스엘에스바이오·킵스파마 上…다가오는 여름에 비만약 관심 ↑[바이오 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