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일반
SKT, 5G MEC·클라우드 기반 기술로 북미 지상파 송출 성공
- 북미 최대 지상파 방송그룹 싱클레어와 협력
MEC·AI 기술력, 사피온 우수성 입증

이번 시연은 워싱턴 D.C. 인근 알링턴 지역에서 SKT ‘미디어 에지(Media Edge)’ 플랫폼이 적용된 ATSC 3.0 규격의 전파를 활용, 싱클레어 지역방송인 WIAV-CD를 통해 주행하는 차량과 통신을 주고받는 형태로 진행됐다.
이번 시연에서는 ATSC 3.0 방송과 5G 통신이 결합된 차세대 융합 방송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이뤄졌다. 이는 차량 주행 중 안정적인 고화질 TV 방송과 함께 설정된 구역 도달 시 지역 맞춤형 데이터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빠르게 수신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날 현장에는 데이비드 스미스 싱클레어 회장과 유영상 SK텔레콤 CEO, 캐스트닷에라 관계자 등이 참석해 서비스를 직접 체험하며 차세대 방송 서비스 관련 협력 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눈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시연은 미국 방송사의 기존 송출망을 이용해 차세대 서비스를 구현했다는 점에서 현지 방송 관계자들의 많은 관심을 모았다.
미디어 에지 플랫폼을 적용할 경우 각 지역 방송국이 전용 장비 설치 등 대규모 투자 없이 범용 장비와 가상화 소프트웨어 시스템 활용만으로 북미 전역의 방송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관리·운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용 부담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SK텔레콤은 설명했다.
SKT는 5G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의 산업별 특화 서비스 ‘에지 클라우드’ 중 하나로 미디어 서비스 제공에 활용되는 미디어 에지 플랫폼을 개발했으며, 방송국 송출 시스템을 가상화해 운영 효율성을 높였다.
SKT는 싱클레어 및 캐스트닷에라와MEC 기술 및 AI 반도체 사피온(SAPEON)을 활용한 방송 영상 고품질 변환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차세대 융합 방송 서비스를 고도화하기 위한 협력을 지속·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경모 캐스트닷에라 CTO는 “차세대 방송 서비스 혁신을 선도하는 북미 대표 방송사인 싱클레어와 SKT의 최고 기술력이 결합한 이동방송 가상화 송출 플랫폼을 미국 현지에서 최초로 선보이는 것으로, 차세대 방송 혁신의 본격적인 시작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한다.
송재민 기자 song@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남성은 왜 ‘십자가’에 못 박혀 사망했나 [그해 오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일간스포츠
독수리 군단 미쳤다! 한화, 9연승으로 단독 선두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빈손으로 끝난 김문수-한덕수 회동…"의미있는 진척 없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한화그룹, 美 워싱턴에 글로벌 방산 '지휘본부' 세웠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비만약에 150억 달러 투자 나선 화이자, 디앤디파마텍·인벤티지랩에 호재?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