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IST

4

코오롱티슈진, 거래재개 첫날 상한가…시총 1.4조 달성 [증시이슈]

증권 일반

코오롱티슈진이 3년 5개월만의 거래재개 첫날 상한가를 달성했다. 25일 오전 9시 5분 현재 코스닥 시장에서 코오롱티슈진은 전 거래일 대비 가격제한폭(29.91%)까지 오른 2만850원에 거래되며 상한가를 기록했다. 코오롱티슈진은 기준가를 거래정지 직전 종가인 8010원의 100.37%인 1만6050원에서 결정했다. 코오롱티슈진 시가총액은 1조4364억원으로 늘었다. 주식 거래 정지 직전 시총(4896억원) 보다 약 1조원이 뛰었다. 앞서 한국거래소는 지난 24일 오후 기업심사위원회와 코스닥시장위원회를 열고 코오롱티슈진의 상장을 유지키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기심위는 횡령·배임에 대해, 시장위는 인보사 임상 속개에 대해 각각 심의해 상장 유지를 결정했다. 거래소 관계자는 “미국에서 (인보사) 임상 3상이 진행되고 있고 향후 연구개발과 임상에 필요한 충분한 자금을 대주주가 확보해 지원할 예정이라는 점이 고려됐다”며 상장유지 배경을 밝혔다. 한편 코오롱티슈진은 상장유지 결정 이후 “최대주주와 주요주주는 경영 안정화 및 투자자 보호를 목적으로 보유주식 전량에 대해 자발적 의무보유를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최대주주 코오롱이 보유한 463만8913주, 이웅열 코오롱 명예회장 보유 지분(283만2764주)에 대해선 내년 10월 24일까지 1년의 보호예수가 걸렸다. 코오롱티슈진 소액주주는 작년 말 기준 6만1638명으로 지분 36.02%를 보유 중이다. 허지은 기자 hurji@edaily.co.kr

2022.10.25 09:14

1분 소요
신라젠, 이틀째 상한가 마감…거래정지 전 가격 회복

증권 일반

신라젠이 이틀 연속 상한가로 마감하며 거래정지 직전 가격을 회복했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신라젠은 전 거래일 대비 29.95% 상승한 1만4100원에 마감했다. 전날 거래가 재개된 신라젠은 지난 2020년 5월 4일 거래정지 직전 기록했던 1만2100원(종가 기준)을 이틀만에 넘어섰다. 신라젠은 이날 전 거래일 대비 22.58% 오른 1만3300원에 시초가를 형성했다. 개장 직후 상한가로 직행하면서 정적 변동성 완화장치(VI)가 발동되기도 했다. 이날 신라젠의 거래량은 개장 20분 만에 1000만주를 넘어섰다. 매도 물량이 거의 나오지 않으면서 장 초반 달성한 상한가가 마감까지 유지됐다. 신라젠은 경영 정상화에 대한 기대감과 대주주 보호예수 연장에 힘입어 거래재개 첫날(13일)에도 상한가로 마감했다. 다만 거래재개 기준가가 8380원에 형성된 탓에 거래정지 전 종가엔 미치지 못했다. 박경보 기자 pkb23@edaily.co.kr

2022.10.14 16:39

1분 소요
오스템 '손절' 나선 운용사…최대 40% 상각 후 펀드 판매 재개

증권 일반

자산운용사들이 사상 초유의 횡령으로 상장폐지 위기에 놓인 오스템임플란트 지분을 대거 상각(회계상 손실)처리하면서 관련 펀드 판매를 다시 시작했다. 기존엔 대형 자산운용사들이 오스템임플란트 지분을 상각하기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높았지만 회사가 상정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에 오르자 조치에 나섰다. 자산운용사들은 오스템임플란트 지분을 최대 40%가량 상각 처리하면서 펀드 내 편입 비율을 축소했다. 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 NH투자증권, 삼성증권 등 대형사를 비롯해 대부분 증권사가 지난달 하순과 이달 초에 걸쳐 일부 오스템임플란트 편입 펀드를 다시 판매하기 시작했다. 작년 9월 기준 오스템임플란트를 담고 있는 국내 펀드는 106개였다. 오스템임플란트에 투자된 금액은 총 524억원이었던 것으로 추산된다. ━ 오스템임플란트, 3월 중 8개 지수에서 제외 오스템임플란트는 지난해 말 자금담당 직원이 2215억원 규모의 회삿돈을 횡령하면서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에 올랐다. 시가총액 2조원에 달하는 코스닥 20위권 상장사에서 사상 최대의 횡령 사건이 발생하자, 파장은 더 컸다. 바이오 우량주로 꼽히며 국민연금을 비롯해 106개 펀드가 오스템을 담았고 2만명에 달하는 개인투자자들이 발행주식의 55.6%를 매수하는 등 투자에 열을 올린 상황이었다. 오스템임플란트가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에 오르자, 지난 22일 한국거래소는 코스닥150지수·KRX300지수 등 8개 지수에서 이 종목을 제외하겠다고 밝혔다. 제외 시기는 거래재개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3월 15일까지 거래가 재개된다면 재개일에서 2거래일 뒤 지수에서 빠진다. 3월 15일에도 거래가 재개되지 않을 경우 다음날 즉각 지수에서 제외된다. 자산운용사들이 오스템임플란트 지분 상각을 서두른 배경이다. 이를 상각하지 않을 경우 오스템임플란트가 편입된 펀드나 ETF의 경우 지수엔 없는 주식을 계속 안고 가야 하기 때문이다. ━ 최대 40% 상각…펀드 내 오스템임플란트 비중 축소 자산운용사들은 오스템임플란트를 상각하면서 별도 공정가액으로 평가해 기준가에 반영했다. 예를 들어 지난 1월 3일부터 거래가 정지돼 14만 2700원에 멈춰있는 오스템임플란트 종가를 삼성자산운용은 40%가량 상각한 8만5000원으로 평가해 펀드에 반영했다. 상각률은 펀드 운용사에 따라 다르다. 미래에셋자산운용 역시 8만5600원으로 40%가량 상각 처리했다. 다른 운용사의 상각률은 신한자산운용 35%(9만 2755원), KB자산운용 31.5%(9만 7700원), NH-아문디자산운용 30%(9만 9960원), 한국투자신탁운용 30%(9만 9980원), 메리츠자산운용 25%(10만 7025원)다. 이에 따라 펀드 내 오스템임플란트 편입 비율도 줄었다. 오스템임플란트 편입 비중이 가장 컸던 'TIGER 의료기기' ETF 내 이 종목 비중은 1월 3일 7.09%에서 3월 3일 4.84%로 감소했다. 다른 펀드 역시 마찬가지다. 'TIGER 중국소비테마는 3.01%에서 1.80%로, 'TIGER 코스닥150바이오테크'는 3.81%에서 2.71%로, 'KODEX K-이노베이션액티브'는 2.98%에서 1.89%로 오스템임플란트 비중이 축소됐다. 한 투자업계 관계자는 "(오스템임플란트가)투자손실은 물론 최악의 경우 상장폐지까지 갈 수 있어, 자산운용사들이 이를 손실처리하고 펀드를 재개하면서 신규 투자에 대한 리스크를 줄이기로 판단한 것"이라며 "이 회사 편입 비율이 가장 많았던 ETF가 7%였고, 1% 미만이었던 펀드도 많아서 자산운용사 입장에서는 상각처리 하는 것이 추가손실을 막을 수 있는 길이다"라고 말했다. 김영은 기자 kim.yeongeun@joongang.co.kr

2022.03.07 14:37

3분 소요
[단독] 하나은행 '1880억 횡령' 오스템 담은 펀드 가입 중단

은행

하나은행이 역대급 횡령 사건에 연루된 오스템임플란트가 편입된 펀드 상품의 판매를 중단했다. 펀드 상품 가입자의 피해를 선제적으로 막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5일 은행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삼성코스닥1501.5배레버리지증권CE펀드' 고객들에게 문자 등을 통해 판매중단 안내를 했다. 하나은행은 안내 문자에서 위 펀드 상품과 관련해 "대규모 횡령사건으로 코스닥시장에서 거래가 중지된 '오스템임플란트' 주식종목을 1% 미만 편입하고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현재 해당 펀드는 오스템임플란트 주가를 작년말 종가로 기준가격에 반영하고 있어, 향후 거래재개 시 기준가격 하락의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며 "사후관리 차원에서 해당 펀드의 신규가입을 중단한다"라고 전했다. 또 "다만 추가납입 및 자동이체는 가능하오니, 향후 투자 결정 시관련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란다"라고 덧붙였다. 금융업계는 이와 같은 펀드 상품 가입이 중단되는 일이 계속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오스템임플란트를 담고 있는 상장지수펀드(ETF)가 상당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한편 오스템임플란트는 공시를 통해 자금관리직원 이모 씨가 1880억원을 횡령하면서 지난달 31일 서울 강서경찰서에 고소장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용우 기자 lee.yongwoo1@joongang.co.kr

2022.01.05 14:08

1분 소요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1781호 (2025.4.7~13)

이코노북 커버 이미지

1781호

Klout

Kl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