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정비수주' 검색결과
6 건

코오롱글로벌이 도시정비사업으로 1조 클럽에 이름을 올리면서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코오롱글로벌은 올 한 해 동안 도시정비사업에서 총 13건을 수주하면서 1조4004억원의 실적을 기록했다고 26일 밝혔다. 사업별로는 ▶재개발 2건(3610억원) ▶리모델링 1건(3779억원) ▶소규모재건축 2건(1557억원) ▶가로주택정비사업 8건(5057억원)이다. 도시정비사업에서 브랜드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경쟁사들이 하이엔드 브랜드를 내세우는 가운데 코오롱글로벌은 ‘하늘채’ 단일 브랜드로만 승부해 이룬 성과다. 특히 서울 수주 실적이 가장 돋보인다. 코오롱글로벌은 지난해 서울 강북구에서 번동 1~5구역을, 올해 번동 6구역까지 총 6개 사업장을 연계로 수주했다. 코오롱글로벌은 서울 내 1300가구 이상의 브랜드타운을 확보하고 브랜드 입지를 견고히 다졌다. 최근 번동 7~9구역도 모아타운으로 지정되면서 조합 설립을 추진하는 등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타운화 전략에 박차를 가하는 코오롱글로벌의 추가 수주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코오롱글로벌의 1조 클럽 입성에 결정적인 호재로 작용한 것은 단군 이래 최대 리모델링 사업으로 꼽히는 ‘창원 성원토월그랜드타운’이다. 코오롱글로벌은 올해 대형사들만의 리그라 꼽히는 리모델링 사업에서도 수주 실적을 올리는 성과를 거뒀다. 코오롱글로벌은 내년에도 지역주택조합과 공동개발을 통해 고수익을 유지하면서 도시정비사업을 확대해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코오롱글로벌 관계자는 ”비슷한 도급순위 건설사들이 올해 도시정비사업에서 1조 아래 실적을 거둔 데 반해 당사는 올해 대형 사업장 수주로 수주금액이 크게 늘었다“며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지속 수주로 브랜드 노출을 확대하는 동시에 지방 핵심 지역에서 수익성 높은 사업지를 발굴하고 공공·신탁·리츠 등 수주 방식을 다각화하면서 안정성도 챙길 것”이라고 말했다. 박지윤 기자 jypark92@edaily.co.kr
2022.12.26 14:46
2분 소요
주요 건설사들이 올해 상반기 도시정비사업에서 수주 ‘잭팟’을 터뜨리고 있다. 수주 행보가 뜨거운 가운데도 최근 원자잿값 폭등으로 공사비 부담 등이 커진 만큼 저가수주나 출혈경쟁은 피할 것이란 전망이다. 28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현대건설은 최근 산본 무궁화주공1단지 리모델링사업과 부산 서금사6구역 재개발사업을 연이어 수주에 성공했다. 이번 수주로 현대건설은 6개월 만에 누적 수주액 6조9544억원을 달성하며, 지난해 도시정비사업 수주액(5조5499억)을 올해 상반기 만에 넘어섰다. 창사 이래 최초로 도시정비사업부문 '7조클럽' 달성도 목전에 뒀다. GS건설도 상반기 도시정비수주액 3조원 클럽 입성에 성공했다. 부산 부곡2구역 재개발 시공권 확보를 두고 포스코건설과의 경쟁에서 승기를 잡으면서다. GS건설은 이번 수주를 위해 포스코건설보다 1000억원가량 낮은 약 6438억원을 제안했다. 현시점에서 공사비는 상대적으로 낮지만 향후 물가 상승률을 반영한다는 조건이다. 합리적인 공사비 제안으로 조합원들에게 호응을 얻었다는 후문이다. 뒤를 이은 곳은 롯데건설이다. 롯데건설은 최근 ‘이문4 재정비촉진구역 재개발정비사업’ 수주하며, 올해 도시정비사업 누적 수주액 총 2조7406억원을 달성했다. 지난해 연간 누적 수주액인 2조2229억원을 단숨에 넘어섰다. 포스코건설과 DL이앤씨도 각각 1조5558억원과 1조2543억원으로 상반기에만 수주액 1조원을 돌파했다. 주요 건설사들이 올해 도시정비사업에서 역대 최대 실적을 갱신하자 시장에서는 올해 대내외적 불확실성 속에서도 선방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최근 원자재 가격 상승 및 금리 인상, 안전 규제 리스크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건설업계 수익성에 빨간불이 켜졌었기 때문이다. 다만 건설사들은 도시정비사업에서의 열기를 이어가면서도 저가 수주와 출혈 경쟁 등을 피할 것이란 전망이다.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이 장기화할 수 있는 데다 원자잿값, 인건비 등 비용 부담이 만만치 않아서다. 저가 수주도 문제지만 특히 적정한 공사비를 투입하지 않으면 나중에 둔촌주공 사태처럼 유치권 행사 같은 일이 벌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현재 공사가 두 달째 멈춘 둔촌주공 재건축 사업 같은 경우도 공사비 증액을 둘러싸고 조합과 시공단의 갈등을 일으킨 바 있다. 공사비 갈등으로 이미 다수의 정비사업지가 시공자를 선정하지 못하거나 사업이 지연되기도 하는 사례가 전국에서 나오자 공사비 인상에 동의하는 조합도 늘고 있는 분위기다. 실제 공사비 인상사례도 나오고 있다. 올해 하반기 최대어로 손꼽히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2재정비촉진구역의 예정공사비가 3.3㎡당 770만원 수준으로 책정됐다. 이는 2년 전 한남3구역이 시공자 선정 당시 예정가격을 3.3㎡당 598만원으로 책정했는데 이보다 200만원가량 높은 금액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지금 수행 중인 현장들은 원가가 높아지니까 기존에 예측했던 원가율 대비 높아지는 건 사실”이라며 “저가 수주했다가는 큰일 난다. 더 큰 문제를 만든다”고 말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무리한 저가 수주를 실행했다가 잘못될 경우 중견건설사들은 큰 손실로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며 “대형건설사들 역시 수주액에 대한 실익 여부를 신중히 따지는 만큼 그 하한선이 예전보다 올라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승훈 기자 wavelee@edaily.co.kr
2022.06.28 18:08
2분 소요![[CEO UP | 윤영준 현대건설 사장] ‘주택 베테랑’이 일군 남다른 수주고](https://image.economist.co.kr/data/ecn/image/2022/06/27/ecn5f7eb9d8-0d3d-4fea-b212-705ea8b5e031.353x220.0.jpg)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대내외적 위기 속에서 건설업계는 국내 도시정비사업 수주에 박차를 가하며 지난 어려움을 극복했다. 전염병이 한창 심화하던 2021년, 현대건설 사상 첫 국공(국내공사관리부) 출신으로 대표이사 자리에 오른 윤영준 사장이 그 선두에 섰다. 사장 선임 후 1년이 조금 지난 시점에서 윤 사장은 자신의 강점을 십분 발휘하고 있다. 최근 현대건설은 올해 상반기 자사 도시정비사업 수주액이 7조원을 돌파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달 중순에는 롯데건설과 컨소시엄을 이뤄 동대문구 이문4구역(휘경이문뉴타운) 재개발을 수주하면서 이미 20일 기준 누적 수주액 5조6988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지난해 수주액은 5조5499억원을 불과 반기 만에 돌파한 셈이다. 이에 따라 업계에선 올해에도 현대건설이 2020년과 지난해에 이어 또다시 도시정비사업 1위를 달성할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이달 말 시공사를 선정하는 산본 무궁화주공1단지 리모델링, 부산 서금사6구역 재개발 사업에도 단독 입찰해 무리 없이 시공권을 확보할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성과에는 선택과 집중, 적극적인 수주 노력이 뒷받침 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윤영준 사장 취임 이후 현대건설은 조직 정비와 전문인력 충원을 통해 사업지를 더욱 치밀하게 분석하고 이를 통해 맞춤형 설계 등 특화된 사업조건을 제시했다. 덕분에 올해 상반기에도 대전장대B구역 재개발, 과천주공8·9단지 재건축, 광주 광천동 재개발 등 공사비 8000억원 초과 사업을 단독 수주하는 쾌거를 이뤘다. 한남3구역 재개발, 안산 고잔연립3구역 수주 당시 직접 현장을 방문했던 윤 사장 특유의 적극성도 한몫했다. 최근 현대건설이 자사 하이앤드 브랜드인 ‘디에이치(THE H)’를 수도권뿐 아니라 지방광역시 주요지역에도 적극 적용하게 된 데도 이러한 과감성이 작용한 바 있다. 윤 사장은 특기인 주택사업 외에도 소형모듈원전(SMR) 등 차세대 원전 사업을 성장시켜 현대건설이 쌓아온 국내 원전 선도 업체로서의 위상을 한층 더 강화할 전망이다.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관심과 유가급등이 맞물린 시점에서 코로나 시국동안 주춤했던 해외사업 실적을 본격화하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최근 현대건설은 미국 홀텍사(Holtec International)와 SMR 개발 및 사업동반진출을 위한 협약을 맺기도 했다. 윤 사장은 창립 75주년 기념 메시지를 통해 “현대건설은 국내·외 최고의 원전사업 선진사들과 협력해 총체적인 원자력 벨류 체인을 구축하고 있다”면서 “현대건설만의 창의와 도전의 DNA로 글로벌 1위의 ‘원전 토탈 솔루션 프로바이더(Total Solution Provider)’로 도약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민보름 기자 brmin@edaily.co.kr
2022.06.27 12:49
2분 소요
롯데건설이 올해 상반기에만 지난해 누적 수주액을 초과하는 성과를 올리며 도시정비사업 빅3(BIG3)에 진입했다. 특히 시공권을 확보한 사업지 대부분이 경쟁이 치열한 서울권에 위치해 수도권 정비사업 시장에서 자사의 경쟁력을 입증했다. 롯데건설은 최근 서울시 동대문구 ‘이문4구역 재개발정비사업’을 수주함으로써 올해 상반기 도시정비사업 누적수주액이 총 2조7406억원을 기록하며 3조원에 육박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연간 수주액인 2조2229억원을 5000억원 넘게 웃도는 수치다. 이에 따라 롯데건설은 3년 연속 도시정비사업 수주액 2조원을 기록했을 뿐 아니라 해당 분야에서 급격한 성장세를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 이중 서울권 도시정비사업이 2조96억원을 차지하고 있다. 롯데건설은 올해 초 서울 성동구에서 1047억원 규모 ‘성수1구역 재건축사업’ 시공사로 선정되며 첫 정비사업 수주를 달성한 뒤 강남 ‘청담 신동아아파트 리모델링사업’을 따내며 본격적인 시동을 걸었다. 그 후에도 4월 ‘봉천1-1구역 재건축사업(공사비 2416억원)’과 ‘선사 현대 리모델링사업(5561억원)’, ‘미아3구역 재개발사업(2543억원)’에 이어 5월에 ‘돈암6구역 재개발사업(2656억원)’을 따내는 등 순조로운 수주 행진을 이어갔다. 특히 지난해 12월 리모델링 전담부서를 신설한 이후 리모델링 시장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현대건설과 함께 시공권을 확보한 선사 현대 리모델링 사업은 국내 리모델링 사상 최대규모인 총 공사비 1조 900억원을 자랑한다. 이밖에 ‘대구 반고개 재개발사업(1783억원)’, ‘대전 도마·변동 4구역 재개발사업(5527억원)’ 등 지방광역시 정비사업 시공권도 꾸준히 따내고 있다. 롯데건설 관계자는 “도시정비사업 조합원들의 성원에 힘입어 3년 연속 도시정비수주액 2조 원을 돌파하며 3조 원을 코앞에 두는 좋은 실적을 얻었다”면서 “하반기에도 여러 단지를 시공해 쌓아온 롯데건설만의 경험과 기술력, 전문성을 바탕으로 좋은 성과를 이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보름 기자 brmin@edaily.co.kr
2022.06.26 11:37
2분 소요
GS건설이 포스코건설과 벌이고 있는 부산 부곡2구역 재개발 시공권 확보 경쟁이 막바지에 달했다. 이번 재개발 사업 수주에 성공하면 GS건설의 상반기 도시정비수주액 3조원 클럽 입성도 무난해 진다. 24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부곡2구역 재개발조합은 오는 26일 시공사 선정 총회를 열고 포스코건설과 GS건설 중에서 최종 시공사를 선정한다. 부곡2구역 재개발은 부산 금정구 부곡동 279번지 일대 부지면적 12만5797㎡에 지하 5층~지상 35층, 19개동, 2029가구를 짓는 사업이다. 조합원이 900여명으로 일반분양 물량이 많아 사업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부곡2구역은 지난 2019년 GS건설과 SK에코플랜트, 포스코건설 컨소시엄을 시공사로 뽑았으나 컨소시엄 형태로는 조합원 요구사항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시공사와 계약을 해지했다. 조합은 이후 단일 시공사를 선정하기 위해 입찰에 나섰고 현장설명회에는 건설사 8개사가 참여했으나 GS건설과 포스코건설만 입찰에 참여하며 두 건설사가 맞붙게 됐다. 두 건설사는 상반기 도시정비사업 막판 수주에 사활을 건 상황이다. 이를 위해 포스코건설은 확정 공사비를, GS건설은 포스코건설보다 1000억원가량 낮은 공사비를 제안하는 카드를 내걸었다. 최근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서 공사비가 시공사 선택의 핵심 요소가 돼서다. 포스코건설이 제시한 조건은 2024년 12월까지 물가상승률을 반영해 공사비를 인상하지 않는 다는 것이다. 대신 현 시점에서 물가상승률을 반영해 예정 공사비는 약 7424억원으로 제시했다. 반면 GS건설은 포스코건설보다 1000억원가량 낮은 약 6438억원을 제안했다. 현 시점에서 공사비는 상대적으로 낮지만 향후 물가 상승률을 반영한다는 조건이다. GS건설 관계자는 “물가 상승이나 이런 거를 전반적으로 판단해 합리적 공사비를 제안한 것”이라며 “‘대신 분명히 제안서 상에 물가 변동에 대해서 평균치를 반영하겠다’고 했다”고 말했다. GS건설이 6000억원대 규모의 이번 부곡2구역 재개발 수주까지 성공한다면 올 상반기 3조원 수주액을 넘어설 전망이다. GS건설은 최근 일원개포한신 재건축까지 수주하며 올해 총 수주액 2조5663억원을 달성한 상태다. 앞서 GS건설은 지난 1월 6224억원 규모의 서울 용산구 이촌동에 위치한 이촌한강맨션 재건축사업의 시공사로 선정된데 이어 ▶부산 구서 5구역 재건축 ▶불광 5구역 재개발 ▶광주 산수3구역 재개발 ▶신길13구역 재건축 ▶대전도마변동5구역 재개발 등의 정비사업 수주에 잇따라 성공했다. 이승훈 기자 wavelee@edaily.co.kr
2022.06.24 17:44
2분 소요
SK에코플랜트가 포항과 대전 도시정비사업에서 잇달아 수주에 성공했다. SK에코플랜트는 지난 4일과 5일 시공사 선정 총회를 통해 포항 용흥4구역 재개발, 대전 법동2구역 재건축 사업의 시공사로 각각 선정됐다고 6일 밝혔다. 두 사업지는 총 1527가구 규모로 총 도급액은 4374억원 수준이다. 포항 용흥4구역 재개발은 경북 포항시 북구 용흥동 57-69번지 일대에 지하 3층∼지상 39층, 6개 동, 총 870가구 규모의 아파트와 부대 복리시설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도급액은 2368억원이다. 대전 법동2구역(삼정하이츠 아파트) 재건축 사업은 대전 대덕구 법동 281번지 일원에 지하 3층∼지상 35층, 6개 동, 총 657가구 규모의 아파트와 부대 복리시설을 짓는 것으로 도급액은 2006억원 규모다. 이 두 건의 시공권 수주로 SK에코플랜트는 올해 도시정비사업에서 신규 수주액 8802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2018년 이후 도시정비수주액 최고 실적이다. 앞서 SK에코플랜트는 지난 5월 쌍용건설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인천 부개주공3단지 리모델링 사업을 수주하며 리모델링 사업 시장에 진출했고, 지난 1월에는 인천 효성뉴서울아파트, 숭의현대아파트 재건축 사업 시공권을 따냈다. SK에코플랜트 관계자는 “수주한 단지들은 지역을 대표하는 랜드마크 아파트로 조성할 예정”이라며 “리모델링 사업 등 신규 도시정비사업 영역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수주 범위를 적극 확대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두현 기자 kim.doohyeon@joongang.co.kr
2022.06.06 13:00
1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