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IST

6

정원주 중흥그룹 부회장, 대우건설 해외시장 확대 전폭 지원

부동산 일반

2022년 하반기 국내 부동산 시장의 위축으로 내년 국내 건설시장 침체가 전망되면서 해외 건설 시장에 대한 중요도가 커지고 있다. 이에 정원주 중흥그룹 부회장이 대우건설의 신규 해외시장 개척에 전폭 지원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12월 29일 대우건설은 정원주 부회장은 대우건설의 해외시장 확대 발판 마련을 위해 한해 동안 많은 해외 정상급 지도자들을 만났다고 전했다. 정 부회장은 기존 거점시장인 ▶베트남 ▶나이지리아 ▶이라크 등지에서 시장 경쟁력을 공고히 함과 동시에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케냐 ▶필리핀 등의 정상급 지도자를 잇따라 면담하며 신규 시장 개척을 이어갔다. 지난 5일 정 부회장은 수교 30주년을 맞이해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주석을 개별 면담했다. 이날 정 부회장은 대우건설의 대표적 아시아 거점시장인 베트남 시장에서의 투자 확대 의지를 전했다. 정 부회장은 “대우건설은 하노이 스타레이크시티 사업 외에도 다수의 신도시 사업을 추진 중에 있으며 스마트시티 오픈플랫폼 구축 등으로 베트남 경제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향후 가스, 오일은 물론 스마트 시티를 적용한 신도시 개발, 녹색성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베트남과 긴밀하게 협력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응우옌 쑤언 푹 주석은 “대우건설은 베트남에 최초로 투자한 한국 기업으로 대우건설의 성공과 투자확대를 기대한다”며 “외국 기업의 성공을 위해 투자 환경을 지속해서 개선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정 부회장은 2022년 11월 방한한 윌리엄 루토 케냐 대통령도 만났다. 원자력 발전과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개발사업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누었다. 정 부회장은 같은 달 방한한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하메도프 투르크메니스탄 상원의장을 접견하고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2022년 10월 정 부회장은 우즈베키스탄을 직접 방문해 우즈베키스탄의 에너지 및 수력발전과 고속도로 건설 등 인프라 개발사업에 대한 협의를 진행했다. 정 부회장은 사디크 사파예브 국회 상원 제1부의장, 라지즈 쿠드라토프 대외무역부 제1차관 등을 면담했다. 10월 말에는 방한한 무함마두 부하리 나이지리아 대통령을 예방하고 카두나 정유시설 긴급보수공사에 대한 낙찰의향서(LOI)를 접수했다. 대우건설은 올 초부터 이어온 정 부회장의 해외 네트워크 강화를 통해 글로벌 디벨로퍼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대우건설은 글로벌 경기 침체에도 천연자원과 경쟁력을 바탕으로 경제성장을 지속하고 있는 국가를 선별해 신규 시장을 개척하고 기존 거점시장에서의 투자 확대를 통해 국내 시장에 대한 대안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정부가 추진 중인 도심항공교통(UAM), 신재생에너지와 같은 미래 성장 산업 참여에도 그룹 차원의 지원이 이어지고 있다. 대우건설이 지난 5일 전라남도와 고흥군과 맺은 ‘미래 UAM 산업육성 및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의 경우 정 부회장 등이 직접 협약 성사를 위해 지원에 나섰던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국내 부동산 시장은 유동성과 정책에 따라 등락을 반복해왔기 때문에 당분간 시장의 하락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미래먹거리 확보와 해외시장 확대로 사업 포트폴리오 변화가 필수적”이라며 “그룹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위기를 기회로 삼아 글로벌 건설 디벨로퍼로 도약하는 기업이 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연서 기자 yonso@edaily.co.kr

2022.12.29 11:16

2분 소요
대우건설, 카두나 정유시설 긴급보수공사 낙찰의향서 접수

부동산 일반

대우건설은 카두나 정유시설 긴급보수공사에 대한 낙찰의향서(LOI, Letter of Intent)를 접수했다고 27일 밝혔다. 또 정원주 중흥그룹 부회장과 백정완 대우건설 사장이 무함마두 부하리(Muhammadu Buhari) 나이지리아 대통령을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서울에서 예방했다고 이날 밝혔다. 이날 낙찰의향서를 접수한 카두나 정유시설 긴급보수공사는 1983년 치요다가 준공한 일산 11만 배럴 규모의 정유공장으로 수도인 아부자에서 북쪽으로 160㎞ 떨어진 카두나 지역에 위치한다. 대우건설은 플랜트사업본부장을 중심으로 한 실무진이 현지를 방문해 경영진을 면담하고 올해 말까지 사업제안서를 제출해 공사금액 협상을 추진할 계획이다. 카두나 정유시설 긴급보수공사는 대우건설이 수의계약 형태로 수주해 단독으로 수행할 예정이다. 내년 1분기까지 최종 계약 협상을 통해 본 계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발주처는 나이지리아 국영석유공사 NNPC사의 자회사인 KRPC(Kaduna Refining & Petrochemical Company)다. 대우건설에 따르면 나이지리아는 아프리카 최대 산유국이지만 정유시설 노후화로 인한 낮은 가동률로 대부분의 연료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관련 시설의 개보수공사가 시급한 상황이다. 이 때문에 지난 6월 대우건설은 4억9232만 달러(약 6404억원, 부가가치세 포함) 규모의 와리 정유시설 긴급보수공사를 수주했다. LOI 서명식에 정원주 중흥그룹 부회장, 백정완 대우건설 사장, 조승일 대우건설 플랜트사업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나이지리아에서는 무함마두 부하리 나이지리아 대통령, 티미프레실바(TimipreSylva) 석유자원부 장관, 멜레 키야리(Mele Kyari) NNPC사 Group CEO 등이 자리했다. 박지윤 기자 jypark92@edaily.co.kr

2022.10.27 15:54

1분 소요
빅샷

만평

━ 중국 | 하이커우 - 따라 하지 마세요 지난 2월 19일 중국 하이난성 하이커우시 주민들이 모닥불을 뛰어넘으며 새해 소망을 기원한다. 이 의식은 춘절(음력설) 연휴의 끝을 알리는 연례 연등제의 마지막 날 열린다. ━ 나이지리아 | 욜라 - 목구멍이 포도청 지난 2월 20일 나이지리아 대선을 며칠 앞두고 소몰이꾼들이 시장에서 가축들을 한곳으로 몰고 있다. 무함마두 부하리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했지만 그의 라이벌인 아티쿠 아부바카르 전 부통령은 “부정 선거”라고 반발했다. 이번 대선 캠페인에선 유목민과 농민 간에 계속되는 살인 폭력사태에 어떻게 대처하느냐가 최대 이슈였다.

2019.03.18 08:43

1분 소요
빅샷

만평

━ 미국 | 반덴버그 공군기지 - “우리도 쏜다!” 지난 5월 3일 자정 직후 미국 공군이 탄두 없는 미니트맨 3 대륙간탄도미사일의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 미국은 이런 미사일 약 450기를 보유하며 수시로 시험 발사하지만 최근의 테스트는 북한과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실시됐다(북한도 미국을 타격하도록 설계된 미사일을 포함해 독자적으로 테스트를 했다). 미사일은 약 6760㎞를 비행해 마샬 제도 인근의 표적에 낙하했다고 CNN은 보도했다. ━ 나이지리아 | 아부자 - 돌아온 치복 여학생들 치복 여학생들로 알려진 일단의 여성들이 지난 5월 7일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세력 보코하람에게서 풀려난 뒤 무함마두 부하리 나이지리아 대통령 접견을 위해 기다리고 있다. 이슬람 무장단체 보코하람은 지난 2014년 치복에서 이들을 납치했다. 정부와 포로 교환 협상에 따라 여학생 중 82명이 풀려났지만 100명 이상이 여전히 잡혀 있다. 대통령은 이들을 지원하겠다고 다짐했지만 여학생들은 보코하람의 옛 포로들이 종종 기피대상이 되는 사회에 다시 편입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보코하람 전사들에게 강간당한 뒤 출산한 경우 더욱 그렇다.

2017.05.15 10:34

1분 소요
나이지리아 - 보코하람이 IS보다 더 많이 살인

산업 일반

━ Nigeria - THE DEADLIEST BOKO HARAM Two suicide bombers, suspected of belonging to the Nigerian militant group Boko Haram, blew themselves up Wednesday in the northern Nigerian city of Kano, killing at least 14 people. The incident comes a day after an attack rocked the eastern city of Yola that left over 30 people dead.The attacks come as Boko Haram was named the deadliest extremist group in a study published by the Institute for Economics and Peace on Wednesday.The extremist group, which has killed thousands of people in the region, is accused of kidnapping over 200 schoolgirls from Chibok in eastern Nigerian state of Borno last year. Since May, when the Nigerian President Muhammadu Buhari took office, the group has killed over 1,000 people.According to the study published Wednesday, the group was responsible for 6,664 deaths last year, a 300 percent jump, and much higher than any other terrorist group in the world. Boko Haram was also behind half of all deaths due to terrorism worldwide, the New York Times reported. Iraq, Syria and Nigeria witnessed the most deaths, according to the study. The Islamic State group, also known as ISIS, to which Boko Haram pledged allegiance in March, killed 6,073 people last year.“In Nigeria, private citizens are overwhelmingly targeted, most often with firearms resulting in very high levels of deaths per attack,” the report said. Since 2009, Nigeria has seen over 15,000 deaths as government forces and insurgents in the country clash.― SNEHA SHANKAR ━ 나이지리아 - 보코하람이 IS보다 더 많이 살인 지난 11월 18일 나이지리아 북부 도시 카노에서 이슬람 급진주의 무장단체 보코하람 대원으로 의심되는 2명이 자살폭탄테러를 감행해 최소 14명이 사망했다. 하루 전 동부 도시 욜라에서도 자살폭탄테러로 30명 이상 사망했다.두 차례의 공격은 호주의 국제 비영리기구인 경제평화연구소(IEP)가 보코하람을 가장 치명적인 극단주의 단체로 지명한 시점과 맞물렸다.나이지리아에서 수천 명을 학살한 보코하람은 지난해 동부 보르노주의 치복에서 여학생 200명 이상을 납치했다. 무함마두 부하리 나이지리아 대통령이 취임한 지난 5월 이래 보코하람은 1000명 이상을 죽였다.IEP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보코하람이 자행한 각종 테러로 사망한 사람은 6664명이었다. 전년 대비 300% 늘었으며 세계 어떤 테러단체에 의한 사망보다 많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에서 테러로 인한 사망 건수의 50%가 보코하람과 연관된 것으로 조사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라크, 시리아, 나이지리아에서 테러 사망자가 가장 많이 발생했다. 보코하람이 지난 3월 충성을 서약한 이슬람국가(IS)는 지난해 6073명을 살해했다.보고서 작성자들은 “나이지리아에선 민간인 희생자가 대다수이며 거의 모든 공격에서 중화기를 사용해 최대의 살상 효과를 노렸다”고 지적했다. 나이지리아 정부군과 반군의 전투로 2009년 이래 1만5000명 이상이 희생됐다.- SNEHA SHANKAR

2015.11.23 08:23

3분 소요
산 넘어 산

산업 일반

지난 3월 31일 대통령에 당선돼 30년만에 정권을 되찾은 무함마두 부하리 대통령(오른쪽)이 5월 29일 취임식을 가졌다. 55년만에 처음 이뤄진 평화적 정권 교체다. 부하리는 1983년 쿠데타로 집권했다가 20개월만에 다른 쿠데타로 밀려났던 경험이 있다. 쿠데타로 쓴맛을 본 뒤 평화적으로 정권을 잡은 만큼 이번엔 민주주의 발전에 주력하리란 기대가 높다. 당선 전 기자회견에서 “전향한 민주주의자”라 자칭할 정도다. 전망은 밝지 않다. 나이지리아는 최근 유가 하락으로 경제가 휘청거린다. 국내총생산(GDP), 정부 수입, 외화보유량 등 모든 경제 지표가 폭락 중이다. 바깥에선 아프리카 최대 테러 단체 보코하람이 활개치고, 내부는 고질적인 부패에 시달린다. 72세라는 고령도 걸림돌이다. 이번 취임식엔 굿럭 조너선 전임 대통령(왼쪽)과 존 케리 미 국무장관, 제이콥 주마 남아공 대통령, 로랑 파비우스 프랑스 외교장관 등 각국 고위 인사가 참석했다. 한국에선 이주영 새누리당 의원이 취임식 경축 특사로 파견됐다.- 이기준 뉴스위크 한국판 기자

2015.05.31 18:52

1분 소요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1781호 (2025.4.7~13)

이코노북 커버 이미지

1781호

Klout

Kl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