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금자리론 대출만기' 검색결과
3 건

지난해 초부터 대출 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한 영향에 은행 고객들이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때 고정금리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금융공사는 ‘2022년 주택금융 및 보금자리론 실태조사’를 발표하며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때 고정금리를 선호하는 비율이 변동금리의 3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은행 고객들은 주담대를 받을 때 최우선으로 금리 수준(62.9%)과 대출 한도(35.1%)를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고정-변동금리 여부(24.7%), 대출만기(24.1%), 상환방식(20.9%) 등의 순이다.한국은행에 따르면 신규취급액 기준 대출금리는 2020년 12월 말 연 2.74% 이후 빠르게 올랐다. 연도 별로 ▲2021년 12월 말 연 3.25% ▲2022년 12월 연 5.56% 등으로 2년 만에 2.82%포인트 상승했다. 이번 주금공 조사에 따르면 금융소비자들은 향후 주담대를 받을 때 고정금리(49.0%)를 변동금리(16.9%)보다 더 선호한다고 밝혔다. 가장 큰 이유는 시중금리가 상승해도 낮은 대출금리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전체의 35.2%로 가장 많았다.
아울러 고정금리와 변동금리의 금리차가 1.25%포인트에서 1.0%포인트 이내로 좁혀질 때 변동금리 선호자의 45.9%가, 0.5%포인트 이내이면 대부분인 90.3%가 고정금리로 이탈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보통 변동금리가 고정금리보다 낮은데, 금리 차가 좁혀지면서 고객들이 차라리 고정금리 선택한다는 의미다. 이 외에도 주금공 조사에 따르면 실거주 목적의 1가구 1주택은 꼭 필요하다는 응답 비율은 70.3%로 전년의 65.3%보다 높아졌다. 앞으로 주택을 구입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이는 전체의 38.0%를 기록했다. 전년의 37.2%와 비슷했다.청년과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한 결과, 대출만기 중에서 40년 이상의 초장기 보금자리론을 이용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은 44.4%를 기록했다. 가장 큰 이유는 매월 원리금 상환액 부담이 줄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53.4%로 높았다. 한편 주금공은 이번 조사를 위해 일반가구의 경우 전국 만 20세 이상 가구주 중 5000가구를 면접조사했고, 보금자리론 및 디딤돌대출을 최근 1년에 이용한 가구는 2000가구를 면접조사했다. 일반가구 조사 기간은 지난해 8월 8일부터 9월 30일까지며, 보금자리론 이용가구는 같은 해 7월 18일부터 9월 30일까지다.
2023.04.05 20:35
2분 소요
한국주택금융공사(HF)가 장기 고정금리·분할상환 주택담보대출 상품인 보금자리론의 12월 금리를 동결한다고 26일 밝혔다. 상품별로 u-보금자리론과 t-보금자리론은 연 3.10%(10년)부터 3.40%(40년)의 금리로 만기까지 고정 적용된다. 아낌e-보금자리론은 이보다 0.1%포인트 낮은 연 3.00%(10년)~3.30%(40년)로 적용된다. 보금자리론은 최장 40년 약정만기 동안 대출금리가 고정되는 주택담보대출이다. 금리인상 시기에도 영향 없이 매월 안정적으로 원리금을 상환할 수 있어 서민과 실수요자가 활용하기 유리하다. 보금자리론 대출만기 가운데 10년부터 30년까지는 별도 제한이 없다. 단 40년 만기 초장기 보금자리론은 신청인이 만 39세 이하이거나 혼인 신고일로부터 7년 이내(3개월 이내 결혼예정자 포함)인 신혼가구인 경우만 신청할 수 있다. 주금공 관계자는 “보금자리론은 대출만기가 늘어나면 매월 상환하는 금액은 감소하는 일반 상품과 달리 만기가 길수록 금리가 높아지는 상품”이라며 “신청인의 경제활동과 자금사정을 감안해 대출금액, 만기, 상환방식 등을 신중히 결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윤형준 기자 yoon.hyeongjun@joongang.co.kr
2021.11.26 17:15
1분 소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정부에서 운용 중인 주택담보대출 상품의 금리도 오른다. 한국주택금융공사(HF)는 장기 고정금리·분할상환 주택담보대출인 ‘보금자리론’의 9월 금리를 전월 대비 0.10%포인트 인상한다고 27일 밝혔다. 인상된 금리는 다음달 1일 신청 완료된 것부터 적용된다. 앞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26일 기준금리를 연 0.5%에서 0.75%로 0.25% 포인트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대출만기별로 ‘u-보금자리론’과 ‘t-보금자리론’은 연 2.80%(10년)부터 3.10%(40년), ‘아낌e-보금자리론’은 연 2.70%(10년)부터 3.00%(40년)가 기준금리로 만기까지 고정 적용된다. 주금공 관계자는 “지난 6월 이후 보금자리론 금리 인상 요인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동결해 왔기 때문에 이번 달에 부득이 금리를 조정하게 됐다”면서 “보금자리론의 주 이용층인 무주택 서민·실수요자에게 과도한 상환 부담을 주지 않도록 인상폭은 최소화했다”고 설명했다. 보금자리론이란 집값 6억원 이하, 소득수준 7000만원(신혼부부 8500만원) 이하의 무주택자를 대상으로 하는 정책 모기지다. 10년부터 30년 만기까지는 별도의 제한이 없으나 40년 만기 초장기 상품의 경우 신청인이 만 39세 이하 또는 혼인신고일로부터 7년 이내(3개월 이내 결혼예정자 포함)인 신혼 가구에 한해 신청이 가능하다. ‘더나은 보금자리론’은 제2금융권의 변동금리 또는 일시상환 주택담보대출을 안정적인 고정금리·분할상환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상품이다. 상품별·만기별 기준금리에 추가 우대금리·가산금리를 가감한 최종금리가 대출만기 동안 동일하게 적용되는 구조다. 대출만기가 늘어나면 매월 총 상환하는 금액은 감소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만기가 늘어날수록 기준금리가 높아지므로 전체 상환기간 동안 부담하는 총 이자는 증가한다고 주금공 측은 설명했다. 주금공 관계자는 “금리 상승기엔 최대 40년 동안 금리가 고정되기 때문에 보금자리론 이용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며 “8월 중 보금자리론 신청을 완료하면 조정 전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김하늬 기자 kim.honey@joongang.co.kr
2021.08.27 18:17
2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