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IST

3

고배당株 금융지주 외면하는 외국인…‘연 7% 배당’도 소용없는 이유는?

은행

연말을 앞두고 배당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외국인들의 국내 금융지주 외면은 계속되고 있다. 각 지주사들의 올해 최대 실적을 바탕으로 배당수익률은 7~9%에 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지만, 외국인 투자자들은 금융당국 관치를 우려해 투자에 소극적인 모습이다. ━ 연말 다가왔어도 외국인, 금융지주 매도 유지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B금융·신한지주·하나금융지주·우리금융지주 등 4대 금융지주의 외국인 매수 규모는 지난달 1일부터 이달 9일까지 74억원에 불과했다. 지주별로 외국인 투자자는 우리금융지주를 307억원 순매도했고, KB금융은 298억원, 하나금융지주는 101억원 팔아치웠다. 신한지주만 632억원 순매수했다. 같은 기간 외국인은 코스피와 코스닥 등 국내 주식시장에서 2조8052억원 순매수하며 국내 주식 상승을 이끌었지만 은행주 만큼은 매도를 유지한 모습이다. 현재 국내 금융지주의 예상 배당수익률은 7~9%에 달하며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보통 코스피의 배당수익률 전망치가 2% 미만에 그치기 때문에 연말이면 은행주 등 고배당주에 투자자들이 몰려 주가 상승을 노릴 수 있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달 18일에만 종가 기준 예상 배당수익률이 9%를 넘는 종목에는 우리금융지주(9.18%)가 이름을 올렸고, 하나금융지주도 7.71%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런 상황에서도 매수세가 일어나지 않은 셈이다. 특히 국내 금융지주가 올 한 해 동안 역대 최대 실적을 낼 예정인 만큼 배당성향을 높여 주주환원에 나설 가능성도 제기돼 왔다. 4대 금융의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총 13조854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5%(1조6430억원) 증가했다. 4대 금융이 2021년 한 해 동안 달성했던 순이익 14조5429억원과 비교해 큰 차이가 나지 않을 정도로 3분기 순이익은 역대 최대 규모다. 이자이익은 총 41조1561억원으로 처음으로 40조원을 돌파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25.7%(8조6807억원) 급증했다. 대출 자산이 증가하지 않았지만, 금리가 오른 영향이다. 그만큼 올해 한 해 역대 최대 순이익은 쉽게 달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 해외투자자들 “일관성 있는 당국 규제 있어야” 이러한 역대 최대 순이익을 바탕으로 각 지주사는 배당금 확대에 나설 예정으로 외국인의 매수세도 커질 것이란 기대가 높았지만, 상황은 반대였다. 외국인들은 금융권의 관치를 우려하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 8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온라인 화상회의 방식으로 국내 은행 지주 주요 해외 투자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간담회 참석자들은 감독행정 개선을 일관성 있게 추진해야 한다고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이들은 국내 금융산업에 대한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해 금융사와 시장의 자율성을 더 높이는 당국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는 올해 들어 금융권에서 예대금리차(예금과 대출 금리 차이) 공시 및 금리 산정에 대한 당국의 관여가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는 데다, 최근엔 최고경영자 인선과 관련해 당국 수장들이 개인적 의견도 제시하며 관치 논란이 커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다만 이 원장은 해외 투자자들에게 “감독행정의 투명성과 예측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답했고, 배당 투자와 관련해서도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금융회사의 자율적인 의사결정을 존중한다”고 언급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최근 최고 경영자 인선에 대해 노조까지 비판하고 나서는 등 관치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며 “아무래도 당국의 입김이 강해지면서 투자심리에까지 영향을 미친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이용우 기자 ywlee@edaily.co.kr

2022.12.11 13:30

3분 소요
금리 상승이 만든 4대 금융 ‘13.8조’ 순익…‘땅 짚고 헤엄치기’ 비판도[금융지주 실적①]

은행

13조8544억원. 국내 4대 금융지주가 올해 3분기 만에 달성한 누적 당기순이익이다. 금리 상승으로 기업들은 위기를 맞고 있지만, 은행만큼은 이번에도 확실하게 웃었다. 순이익은 부동산 호황기였던 지난해 전체 순이익과 맞먹었다. 순위는 바뀌었다. 신한금융그룹이 KB금융그룹을 제치고 ‘리딩금융’으로 올라왔다. 우리금융그룹은 4위 자리에 머물렀지만, 하나금융그룹을 바짝 뒤쫓고 있다. ━ 4대 금융 3분기 누적 순익 13.8조원 ‘역대 최대’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금융그룹·KB금융그룹·하나금융그룹·우리금융그룹의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총 13조854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5%(1조6430억원) 증가했다. 4대 금융이 2021년 한 해 동안 달성했던 순이익 14조5429억원과 비교해도 큰 차이가 나지 않을 정도로 올해 3분기 순이익은 역대 최대 규모다. 대출에서 발생한 이자이익은 총 41조1561억원으로 처음으로 40조원을 돌파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25.7%(8조6807억원) 급증했다. 대출 자산이 증가하지 않았지만, 금리가 오른 영향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국내은행 가계대출은 1조1000억원 감소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62조9000억원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차이가 컸다. 대출은 줄었지만 금리가 가파르게 뛰면서 이익이 급증할 수 있는 배경이 됐다. 4대 은행의 9월 말 변동금리형 주담대 금리는 연 4.51~6.81%를 기록했고, 고정금리형 주담대 금리는 연 4.73∼7.14% 수준으로 치솟았다. 주담대 금리가 7%대로 올라선 것은 13년 만에 처음이다. ━ 신한금융, 증권사 사옥 매각익으로 ‘리딩그룹’ 탈환 엎치락뒤치락 하고 있는 금융지주 1위 자리는 신한금융이 차지했다. 신한금융은 누적 순이익 기준으로 보면 상반기까지는 KB금융에 밀렸지만, 3분기에 들어와 4조3154억원 순이익을 기록하며 KB금융의 4조279억원보다 높은 실적을 냈다. 신한금융의 3분기 누적 순이익의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21.2%, KB금융은 6.8%다. 특히 신한금융의 3분기 누적 순이익은 지난해 전체 순이익 4조193억원보다 높았다. 3분기에만 1조5946억원을 기록해 연말에 가면 사상 처음으로 ‘5조 클럽’도 무난하게 달성할 전망이다. 신한금융은 ▶순이자마진(NIM) 개선 ▶선별적 자산 성장 통한 영업이익 개선 ▶기업 부문의 자금 공급 ▶비은행 계열사 성장 등을 호실적의 이유로 꼽았다. 아울러 신한금융은 “3분기 손익은 증권 사옥매각 등 비영업자산 매각을 통한 자본효율화 노력으로 전분기 대비 증가했다”며 “사옥매각을 제외한 경상 순이익은 지난 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신한금융투자는 지난 7월 서울 여의도 소재 본사 사옥을 이지스자산운용에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매각가격은 6395억원으로, 매각이익은 4438억원으로 전해졌다. 단 이번 사옥매각 이슈를 제외하면 KB금융의 순이익은 신한금융보다 높아진다. 특히 KB금융의 3분기 누적 이자이익은 14조3771억원으로 신한금융의 13조9438억원보다 높았다. ━ 하나·우리금융, 누가 먼저 ‘4조클럽’ 달성할까 3, 4위 경쟁도 치열했다. 하나금융의 3분기 누적 순이익은 2조8494억원을 기록해, 우리금융의 2조6617억원과 비교해 1877억원 차이밖에 나지 않았다. 지난해 총순이익 차이가 9382억원인 것과 비교하면 우리금융이 바짝 뒤쫓은 모습이다. 특히 하나금융의 3분기 누적 순이익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6.3%를 기록했지만, 우리금융은 21.1% 급증한 모습이다. 우리금융의 순이익 상승률이 하나금융보다 높은 것은 대출 자산 차이에서 발생했다. 이자이익 증가율을 보면 우리금융은 24.7%를 기록했고 하나금융은 19.4%를 보였다. 우리은행의 총대출은 301조원, 하나은행은 268조원이다. 금리 인상 효과를 우리은행이 더 크게 볼 수밖에 없는 구조다. 다만 두 금융지주 중에 연말 ‘4조클럽’에는 하나금융이 먼저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하나금융은 이미 3분기에만 1조1219억원 순이익을 달성했다. 4분기에도 비슷한 수준의 순이익을 내면 연말 총순이익은 4조원을 넘을 수 있다. 우리금융은 4분기에 1조3400억원 가량의 순이익을 내야만 4조클럽에 들어갈 수 있는 상황이다. 한편 금융지주들이 호실적을 냈지만 이로 인해 ‘이자장사’라는 비판은 모면하기 어렵게 됐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4대 금융이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도 사상 최고 실적을 기록한 데에는 이자이익의 증가가 큰 기여를 했다”며 “국내 금융사들이 수익 다변화는 외면한 채 이자이익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용우 기자 ywlee@edaily.co.kr

2022.10.26 10:44

3분 소요
은행株 급상승, 금리인상·최대실적·배당확대 ‘3박자’ 맞았다

은행

‘은행주’ 전성시대가 열렸다. 본격적으로 국내·외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시작되면서 대표적 금리수혜주로 여겨지는 은행주가 급상승 중이다. 코스피와 코스닥이 주저앉고 있는 것과 상반된 모습이다. 다만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경기 침체로 기준금리 인상이 더딜 경우 빠르게 하락할 우려도 있다. ━ 국내 증시 무너질 때 금융지주 10% 이상 상승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4대 금융지주는 일제히 상승했다. 지난 11일 하나금융지주는 지난 거래일보다 5.35%, 신한지주는 1.48%, KB금융은 0.46% 올랐다. 다만 우리금융지주는 예금보험공사의 지분 매각 등 영향에 2.57% 하락 마감했다. 은행주는 국내 증시와 반대로 움직였다. 코스피는 1월 3일 2988.77에서 2월 11일 2747.71까지 8.06% 떨어졌다. 코스닥도 같은 기간 1037.83에서 877.42로 15.45% 급락했다. 반면 KB금융은 18.98%, 우리금융지주는 18.35%, 하나금융지주는 14.75%, 신한지주는 10.33% 올랐다. 금융지주 급상승은 ▶금리 인상 ▶최대 실적 ▶배당 확대 등 3가지 요인이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8월과 11월에 기준금리를 인상한 데 이어 지난 1월 14일에도 금리를 1.25%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또 한국은행은 향후 추가 금리 인상도 예고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3월부터 시작될 예정인 가운데, 국내·외 물가 상승도 잡히지 않고 있어 한국은행의 상반기 중 추가 금리 인상 필요성이 커졌다는 분석이다. 금리 인상 속 4대 금융지주는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4대 금융지주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14조542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48% 증가했다. 4대 금융지주의 한 해 순이익이 14조원이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KB금융지주와 신한지주가 각각 4조4096억원, 4조193억원을 기록하며 첫 ‘4조클럽’을 달성했다. 금리 상승으로 은행의 순이마진(NIM)이 개선되면서 이자이익 증가가 호실적을 견인했다. 또 각 지주사마다 최대 이익이 난 만큼 주주환원에 적극적으로 나선 결과 투자자 유입도 이뤄낸 모습이다. 4대 금융지주의 지난해 결산 실적에 따른 총 배당액(중간배당 포함)은 3조7505억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배당 확대로 배당수익률은 최대 7%에 달했다. 4대 금융지주의 배당수익률(2021년 종가 기준)은 평균 6.3%다. 하나금융이 7.4%, 우리금융이 7.1%를 보였고, KB금융과 신한금융이 각각 5.3%를 기록했다. ━ 은행주 상승 요인 3가지가 악재로 돌변할 수도 다만 금융지주 주가를 들어 올린 3가지 조건이 반대로 악재로 작용할 수 있는 상황이다. 먼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이 예상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주가가 빠질 수 있다. 실제로 한국은행의 올해 1차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에 의하면 한 위원은 “(기준금리 인상으로) 경제에 이례적 큰 충격이 발생할 경우 회복하는데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며 “파급효과를 관찰하는 과정도 필요하다”고 1월 기준금리 유보 의견을 낸 바 있다. 여기에다 금융당국이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유로 각 은행에 대손충당금을 더 쌓으라고 요구하는 등 은행 경영에 간섭이 커질 가능성도 있다. 충당금 적립 시 은행의 이익이 줄 수밖에 없어 주가에 악영향이 될 수 있다. 아울러 2020년 말 금융위원회는 각 금융지주에 배당성향을 줄여 리스크 관리를 강화할 것을 요구한 바 있다. 올해 3월 말에 중소기업·소상공인 금융지원이 중단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고 이 부문의 대출 부실화가 커질 경우 금융지주 배당금 지급에 또 당국의 입김이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이용우 기자 lee.yongwoo1@joongang.co.kr

2022.02.14 07:00

3분 소요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1781호 (2025.4.7~13)

이코노북 커버 이미지

1781호

Klout

Kl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