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편입 종목' 검색결과
6 건

국내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서 최근 반도체 위기론이 대두된 삼성전자가 외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대역폭 메모리(HBM) 경쟁에서 주도권을 놓치면서 인공지능(AI) 반도체 공급망에서 소외된 영향이 주가는 물론, ETF 시장으로도 번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2일 금융정보업체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연초 대비 지난달 28일 기준 삼성전자를 편출한 ETF는 모두 7개(상장폐지 ETF 제외)로 ▲KODEX K-메타버스액티브 ▲KODEX 모멘텀Plus ▲KODEX 아시아AI반도체exChina액티브 ▲TIGER 글로벌AI액티브 등 전략·액티브 ETF들이 삼성전자를 구성 종목에서 제외했다. 또 배당성장 ETF이 ▲KODEX 배당성장 ▲TIGER 배당성장 ▲KODEX 배당성장채권혼합 등도 삼성전자를 편출했다. 이들 3개 배당성장형 ETF는 모두 한국거래소가 산출하는 ‘코스피 배당성장 50지수’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추종한다. 거래소가 지난 6월 정기변경 심사를 통해 삼성전자를 해당 지수 구성 종목에서 빼버린 영향이다.경쟁사인 SK하이닉스와 비교하면 올해 ETF 시장에서의 삼성전자 외면 현상은 더욱 두드러진다. 같은 기간 SK하이닉스만 새롭게 편입한 ETF는 ▲ACE Fn5G플러스 ▲ACE 글로벌반도체TOP4 Plus SOLACTIVE ▲ACE 애플밸류체인액티브 ▲KoAct AI인프라액티브 ▲KOSEF K-반도체북미공급망 ▲RISE 글로벌메타버스 ▲UNICORN SK하이닉스밸류체인액티브 ▲UNICORN 생성형AI강소기업액티브 등 8개 종목으로 집계됐다.(삼성전자와 동시 신규편입 제외·신규상장 포함) 이 중 ▲ACE 애플밸류체인액티브'(6월11일) ▲KoAct AI인프라액티브'(7월15일) ▲KOSEF K-반도체북미공급망 ▲UNICORN SK하이닉스밸류체인액티브(11월7일) 등 4종목은 올해 신규 상장한 ETF다.AI 반도체 테마가 올해 전 세계 증시를 휩쓸면서 국내에도 관련 ETF가 활발하게 출시됐는데, 이들 ETF에서도 삼성전자가 소외되고 있는 분위기다. 신규 상장이 아닌 ETF들은 대대적인 리밸런싱을 통해 SK하이닉스 비중을 늘리고 있다. ‘ACE 글로벌반도체TOP4 Plus SOLACTIVE’는 글로벌 반도체 산업을 메모리, 비메모리, 파운드리, 장비 등 4개 부문으로 분류한 후 부문별 1위 기업에 20% 안팎의 비중으로 집중 투자하는 상품이다. 지난 8월부터 메모리 반도체 부문의 집중 투자처를 삼성전자에서 SK하이닉스로 변경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 비중은 18.63%에서 3.21%로 작아졌다. 반면 SK하이닉스는 0%에서 18.95%로 커졌다.
2024.12.02 19:32
2분 소요
한국거래소는 ‘코리아 밸류업 지수’의 연내 구성종목 특별 변경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18일 밝혔다. 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9월 24일 지수발표 전 본공시기업은 12사에 불과했다. 그러나 지수발표 이후 이달 15일 기준 32사가 추가로 본공시를 이행했다. 연내 본공시 예고기업도 25사에 달한다.거래소측은 밸류업 공시기업 중심의 지수 운영 방침에 따라, 밸류업 정책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는 기업 중 일부를 지수에 조기 편입할 계획이다.신규편입 심사대상은 9월 24일 코리아 밸류업 지수 발표 이후 12월 6일까지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를 이행한 기업이다. 편입종목 심사, 위원회 심의, 시장 공지 및 업계 준비 등을 위해 변경일 전 최소 2주가 소요된다.또 상장지수펀드(ETF) 등 연계상품 운용에 불편이 없도록 제한적인 범위 안에서 특별 편입만 실시할 계획이다. 특별 리밸런싱 발표일은 오늘 12월 20일이다. 거레소 관계자는 “이번 연내 특별 리밸런싱은 밸류업 공시를 이행한 기업들을 최대한 심사대상에 포함시키는 한편, 자산운용업계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했다”고 말했다. 다만 편출의 경우 2025년 6월 정기변경 시 실시할 예정이다. 거래소 관계자는 “이번 특별 리밸런싱으로 인해 기존 구성종목이 조기에 편출되는 경우 해당기업 및 투자자에게 불측의 피해가 예상된다”며 “이 같은 투자자 피해 및 연계상품 운용상의 편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이번 리밸런싱시 특별편입만 실시한다”고 말했다.그러면서 “이로 인해 구성종목 수가 일시적으로 증가할 예정이다”며 “내년 6월 정기변경 시 편출을 통해 100종목으로 복귀 예정이다”고 부연했다.
2024.11.18 18:21
2분 소요
코스피200에 새로 편입된 종목의 공매도 비중이 늘고 대차잔고가 쌓여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 코스피200에 편입되면 거래대금이 늘어나는 등 호재로 불리지만 ‘공매도 타깃’이 돼 오히려 주가 하락 부담이 크다고 분석한다. 증권가에선 공매도 금지 등 적극적인 정책이 지수 하락을 방지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 코스피200 편입 이후 평균 공매도 비중 35.82% 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6월 코스피200에 신규 편입된 7개 종목의 편입 직후 평균 공매도 비중은 35.8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입 전 이들 종목의 평균 공매도 비중은 3.93%에 불과했다. 코스피200 편입을 기준으로 단순 비교하면 편입 직후 공매도가 10배 이상 폭증한 셈이다. 공매도는 특정 종목의 주가 하락이 예상될 때 주식을 빌려서 판 뒤 실제 주가가 내려가면 싼 가격에 다시 사들여 차익을 얻는 투자기법이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5월 공매도를 부분 재개하면서 공매도 대상을 코스피200과 코스닥150 편입 종목으로 한정했다. 지난 6월 10일 기준 한일시멘트, 하나투어, 일진하이솔루스, 케이카, F&F, 에스디바이오센서, 메리츠화재 등이 코스피200에 신규 편입되면서 공매도가 가능해졌다. 개별 종목별로 보면 일진하이솔루스의 6월 10일 기준 공매도 비중은 54.97%에 달했다. 코스피200 편입 직전인 6월 9일 공매도 비중은 3.26%에 그쳤다. 이어 케이카(45.16%), 하나투어(33.32%), 에스디바이오센서(32.03), 메리츠화재(30.97%), F&F(29.29%), 한일시멘트(24.98%) 등도 코스피200 편입 직후 공매도 비중이 두 자리 수로 치솟았다. 공매도 거래비중은 신규 편입 직후에만 늘어난 것이 아니다. 지난 22일 기준 메리츠화재 공매도 비중은 9.10%로 편입 직전 3.17%에서 3배 가까이 늘었다. 일진하이솔루스(3.26%→9.36%), 하나투어(7.15%→8.65%) 등 일부 종목 공매도 거래비중은 코스피200 편입 이후 한 달여가 지난 지금까지도 8~9%을 유지하며 편입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 했다. ━ 편입된 7종목 중 6종목 주가 떨어져 하락장에서 공매도 비중이 늘면서 개별 기업의 주가도 더욱 맥을 못 추고 있다. 가장 많이 하락한 종목은 하나투어였다. 편입 전까지만 해도 7만100원에 거래되던 하나투어는 5만원대로 내려앉았다. 이 기간 28.53%나 빠졌다. 해외 여행 수요 회복 기대감에 하나투어는 본격적인 리오프닝(경기 재개) 수혜주로 꼽혔지만 생각보다 업황 개선이 더뎌 공매도 비중이 늘어난 모양새다. 1만7200원에 거래되던 한일시멘트도 1만3600원으로 20% 이상 빠졌다. 이외에도 케이카(-18.35%), 일진하이솔루스(-17.54%), 메리츠화재(-10.12%), 에스디바이오센서(-4.46%) 등 주가가 하락했다. 대차잔고 주수도 크게 늘었다. 대차잔고는 외국인·기관 등 투자자가 주식을 빌린 후 갚지 않은 물량이다. 모든 물량이 100% 공매도로 이어지진 않지만 일반적으로 공매도 대기 물량을 가늠하는 데 쓰인다. 전균 삼성증권 연구원은 “코스피200과 코스닥150 등 구성종목에 한정하여 공매도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신규 편입종목의 대차잔고 증가 여부를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코스피200 편입 직전(6월 9일) 대비 지난 7월 22일 기준 에스디바이오센서 대차잔고 주수는 77만7254주에서 222만3679주로 144만주나 증가했다. 케이카(122만498주→218만3456주), 일진하이솔루스(41만6626주→85만8485주), 한일시멘트(22만1887주→53만4323주), 메리츠화재(100만4399주→121만9977주), F&F(49만3464주→60만3844주) 등 7종목 중 6종목의 대차잔고 주 수가 늘어났다. 편입된 종목의 공매도 비중과 대차잔고 주 수가 늘고 악영향을 받자 투자자들 사이에선 공매도를 한시적으로 금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개인투자자들로 구성된 한국투자자연합회(한투연)은 꾸준히 ‘기울어진 운동장’ 해소를 위한 공매도 금지를 요구하고 있다. 한투연은 ▲외국인과 기관의 공매도 상환 기간을 90일로 변경 ▲ 외국인과 기관도 개인처럼 증거금 도입 법제화 ▲외국인과 기관의 담보비율을 개인처럼 140%로 변경 ▲전일 종가 이하 공매도 금지 등을 포함한 제안서를 제출하기도 했다. 퀀트케이 리서치센터는 “증시 전체 거래대금 대비 공매도 거래대금이 꾸준히 증가하면 호재에는 둔감하고 악재에는 민감하게 반응하는 부실한 증시 환경을 만들 수 있다”면서 “현재 코스피200에 편입된 대부분의 기업이 코스피지수 하락보다 더욱 급격히 하락하고 있다. 주가 하락을 가속하는 역기능이 큰 공매도를 한시적으로 폐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증권가에서도 인플레이션 우려가 큰 증시엔 ‘공매도 금지’ 등의 적극적인 정책이 지수 바닥을 결정할 수 있다고 봤다. 이경수 하나증권 연구원은 “공매도 금지 기간 동안 코스피지수는 반등에 성공해 꾸준히 상승했다”면서 “변동성이 크고 수급 기반이 부족한 상황에서 공매도가 늘어나면 추가 하락을 야기할 수 있고 지수 안정화 정책 중 공매도 거래금지는 지수 바닥을 잡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홍다원 기자 daone@edaily.co.kr
2022.07.26 07:01
4분 소요![상해 봉쇄 해제·코스피200 편입 가능성에 F&F 7%↑ [증시이슈]](https://image.economist.co.kr/data/ecn/image/2022/05/18/ecnd54b8d47-7520-4c6c-8748-b4fb01e54be0.353x220.0.jpg)
패션의류 전문업체인 F&F 주가가 상승하고 있다. 18일 오후 2시 10분 기준 F&F는 전날보다 7.22%(9500원) 오른 14만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 3일 종가 이후 9거래일 만에 14만원대를 회복했다. 이날 F&F 주가 상승을 견인한 건 코로나19 확산으로 50일째 도시 봉쇄 중인 상하이가 정상화된다는 소식이 영향을 미쳤다. 상하이는 코로나19 재확산이 없다는 전제 하에 오는 6월 1일부터 도시 봉쇄를 전면 해제하겠다고 밝혔다. 쭝밍 상하이시 부시장은 지난 16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방역 통제가 단계적으로 효과를 거두며 신규 감염자가 급감했다”고 설명한 뒤 “3단계 방역 관리를 통해 완전 정상화를 이루겠다”고 밝혔다. F&F는 의류브랜드 디스커버리, MLB 등과 화장품브랜드 바닐라코 등을 운영하고 있다. F&F는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4371억원, 영업이익 1346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57%, 94% 오른 수치다. 중국 법인 매출액이 205% 증가하면서 시장 평균 전망치(영업이익 1100억원)를 웃돌았다. 코스피200 신규 편입 가능성도 주가에 호재다. 이달 코스피200지수 정기변경을 앞두고 증권가에선 F&F의 신규 편입을 예상한다. 통상 코스피200에 편입되면 글로벌 투자금 유입 등에 따른 주가 상승효과를 누릴 수 있다. 삼성증권, NH투자증권, 키움증권, 유안타증권 등은 F&F를 공통으로 코스피200 신규편입 종목으로 제시했다. 한국거래소는 이달 말 코스피200 정기변경 대상 종목을 발표한다. 서정연 신영증권 연구원은 “브랜드별로 MLB가 73%, 디스커버리가 29%, MLB키즈가 36% 성장해 중국과 국내 모두 강한 수요가 유지되고 있다”면서 “중국발 변수에도 사업이 탄탄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판단했다. 허제나 DB금융투자 연구원은 “F&F는 시장에서 우려하는 최악의 상황을 실적 추정치에 반영하더라도 저평가 상태”라면서 “2분기 실적 우려가 이미 반영된 상태로 성장주를 싼 가격에 매수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DB금융투자는 목표 주가 21만원, 투자 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홍다원 기자 hong.dawon@joongang.co.kr
2022.05.18 14:38
2분 소요![[증시이슈] 메리츠금융지주, 코스피200 편입 기대에 상승](https://image.economist.co.kr/data/ecn/image/2021/10/07/ecn8fd1f2e1-e38b-44a2-adab-b89e87884018.353x220.0.jpg)
메리츠금융지주 주가가 코스피200지수 편입 기대에 상승 중이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19분 기준 메리츠금융지주 주가는 전날보다 1.72% 오른 3만2550원에 거래 중이다. 메리츠증권도 2.12% 상승 중이다. 코스피200지수 편입은 호재로 꼽힌다. 지수를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 등 자금이 유입되면서 주가를 끌어올릴 수 있어서다. 한국거래소는 오는 12월 10일 코스피200 정기변경을 시행할 계획이다. 거래소는 매년 6월과 12월 두 차례 정기변경을 하고 있다. 편출입 종목은 11월 말에 발표될 예정이다. 메리츠증권·삼성증권·유안타증권은 메리츠금융지주가 12월 정기변경에서 코스피200지수에 편입될 것으로 내다봤다. 지수 편입은 회사의 올해 5월부터 10월 말까지 일평균 시가총액을 고려하는데 메리츠금융지주는 그 기준을 충족한다. 전균 삼성증권 연구원은 “메리츠금융지주는 심사 기간 일평균 시총이 3조2000억원 수준으로, 코스피200지수 신규편입 조건을 충족하고 있다”며 “메리츠금융지주가 지수에 편입되면 지난해 하반기에 편입된 키움증권에 이어 1년 만에 금융 섹터에 신규종목이 늘어난다”고 말했다. 강필수 기자 kang.pilsoo@joongang.co.kr
2021.10.07 10:30
1분 소요![[증시이슈] ‘투자경고’ 대한전선, 장 초반 또 급등…거래정지될까](https://image.economist.co.kr/data/ecn/image/2021/06/08/ecn73d3fc61-1587-4de0-8158-5d28f09a19b9.353x220.0.jpg)
연일 가파르게 가격이 오르며 ‘투자경고종목’에 지정된 대한전선이 8일 장 초반 또 다시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이날 종가가 4508원을 넘으면 대한전선은 오는 9일 거래가 정지된다.대한전선은 이날 오전 9시16분 전일 종가 대비 495원(11.83%) 오른 4680원에 거래 중이다.대한전선은 지난달 25일 코스피 200지수 신규편입이 예정되며 11거래일 연속 오름세를 기록 중이다. 이와 함께 지난달 호반그룹의 대한전선 인수도 주가 상승에 일조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한국거래소는 전날 대한전선을 투자경고 종목으로 지정하고 “8일 종가가 6월 4일 종가(3220원) 대비 40% 이상 상승하고 투자경고종목 지정전일 종가보다 높은 경우 오는 9일 매매거래를 정지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날 대한전선은 종가가 4508원을 넘을 경우 다음날 거래가 정지된다. 최윤신 기자 choi.yoonshin@joongang.co.kr
2021.06.08 09:34
1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