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IST

5

정원주 중흥 부회장, 대우건설 오만 두쿰 현장 방문

부동산 일반

대우건설은 지난 22일부터 23일까지 정원주 중흥그룹 부회장이 오만 두쿰 정유시설 건설현장을 방문해 중동 시장의 수주 확대를 위한 지원에 나섰다고 24일 밝혔다.정 부회장의 이번 현장 방문은 해외 수주의 중요성이 커지는 대외 환경을 고려해 시장 상황을 직접 점검하고 현장 임직원을 만나 격려하기 위해 이뤄졌다.오만 현지에서 정원주 부회장은 직접 현장을 둘러보고 공사 과정에서의 현안을 점검하고 향후 시공 과정과 일정 등을 논의했다. 이후 GCC(Gulf Cooperation Council)지역 영업을 담당하고 있는 UAE지사 임직원과 함께 사우디아라비아, UAE, 이라크, 오만 등 중동지역의 시장 상황을 보고받고 현안 사항을 점검하며 향후 새로 발주하는 사업들에 대한 전략을 논의했다. 특히 정원주 부회장은 사우디아라비아 네옴시티, 이라크 신항만, 리비아재건사업 등 중동지역에서 신규 발주가 유력한 주요 사업에 대해 세부 현안을 점검하고 적극적인 수주 전략 수립을 주문했다. 대우건설은 국내 건설경기 침체에 대비해 지난해부터 해외영업조직을 강화하고 거점시장을 중심으로 한 수주 확대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힘입어 지난해와 올해 나이지리아에서만 와리 정유시설 긴급 보수공사(Warri Refinery Quick Fix PJ, 6404억원 규모), 카두나 정유시설 긴급보수공사(Kaduna Refinery Quick Fix PJ, 7255억원 규모)를 잇달아 수주하는 성과를 거뒀다. 올해 이라크 신항만 사업 후속공사, 리비아 재건사업 등에서의 신규 수주를 추진하고 있다.대우건설은 정원주 중흥그룹 부회장이 지난해부터 미국, 필리핀,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케냐 등 신규 시장 개척을 위해 주요 지도자를 예방하고 발주처 관계자를 접견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정 부회장은 베트남, 나이지리아와 같은 전통 거점시장의 주요 고위 관계자들과도 잇달아 만나며 해외 수주 확대를 위한 광폭행보를 지속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유가 상승을 기반으로 중동지역을 기반으로 한 산유국의 신규발주가 증가할 것으로 보여 이번 오만 방문을 시작으로 더욱 적극적인 해외 수주 지원 활동에 나설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정원주 부회장은 지난 22일 오만 두쿰 정유시설 현장에 도착하자마자 임직원들과 함께 저녁식사를 함께하며 해외 현장에서의 다양한 어려움을 청취하고 직원들을 격려했다. 정 부회장은 “회사의 가장 핵심 경쟁력은 현장에 있는 바로 임직원 여러분의 역량”이라며 “먼 타국에서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으나 회사도 최선을 다해 현장 근무자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역량을 키우기 위한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정원주 부회장이 방문한 오만 두쿰 정유시설 건설현장은 현재 국내 직항노선이 없어 두바이에서 수도인 무스카트로 이동한 뒤 560㎞ 정도 남쪽에 위치한 두쿰까지 차량으로 약 6시간을 이동해야 하는 곳이다. 지난 2018년 세계적인 EPC업체인 스페인 테크니카스 레우니다스(TR, Técnicas Reunidas)와 조인트벤처로 수주한 1번 패키지 건설공사이다. 총 공사금액은 27억8675만 달러(약 3조35억원)규모로 대우건설은 이 공사에서 35%의 지분으로 참여해 9억7536만 달러(약 1조500억원)규모의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오만은 대우건설이 지난 1999년 방파제 공사를 시작으로 2011년 두쿰 수리조선소와 2015년 2000MW급 발전소를 성공리에 완공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은 중동지역 주요 시장이다. 지속적인 저유가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으로 그동안 신규 발주가 줄었지만, 유가상승에 힘입어 향후 발전소, 담수화 시설, 석유화학 플랜트 등에서 투자가 이뤄질 것이라고 대우건설은 전망했다.

2023.02.24 18:10

3분 소요
대우건설, 나이지리아 카두나 정유시설 긴급보수 공사 수주

부동산 일반

대우건설이 나이지리아 ‘카두나 정유시설 긴급 보수 공사’(Kaduna Refinery Quick Fix PJ)를 수주했다. 대우건설은 지난해 나이지리아 와리 정유시설 긴급 보수 공사에 이어 추가 수주에 성공하면서 나이지리아 입지를 공고히 다지고 있다.대우건설은 지난 2일 나이지리아국영석유공사(NNPC)의 자회사인 카두나정유화학(KRPC)이 발주한 카두나 정유시설 긴급 보수 공사를 수주하고 계약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이번 계약은 지난해 6월 NNPC의 자회사인 와리정유화학(WRPC)과 계약한 와리 정유시설 긴급 보수 공사(Warri Refinery Quick Fix PJ)와 동일한 내용의 수의 계약 방식으로 이뤄졌다. 이 자리에는 김영채 주나이지리아 대사를 비롯, 대우건설측 조승일 플랜트사업본부장과 대우건설 나이지리아법인장, 나이지리아측 멜레 키야리(Mr. Mele Kyari) NNPC Group CEO, 무스타파 수건건(Mr. Mustafa Sugungun) KRPC(Kaduna Refining & Petrochemical Company) 대표이사, 아데예미 아데툰지(Mr. Adeyemi Adetunji), NNPC 석유화학부문장(Group Executive Director-Downstream) 등이 참여했다. 총 공사금액은 미화 약 5억8918만 달러(약 7255억원, VAT 포함)이며 공사기간은 착공일로부터 21개월이다. 총 3개 공정 중 패키지1․2는 공사기한을 확정했지만, 패키지3 공사는 향후 발주처와의 협의․승인을 거쳐 정할 예정이다.이번 사업은 나이지리아 수도인 아부자에서 북쪽으로 160km 떨어진 카두나에 있는 기존 카두나 정유시설(Kaduna Refinery)을 긴급 보수하는 공사다. 대우건설은 이 공사를 수의 계약으로 수주했다. 석유제품 생산을 위한 시운전 단계까지 단독으로 수행한다. 카두나 정유시설(Kaduna Refinery)은 1983년 일본 치요다社가 준공한 일산 11만 배럴 규모의 정유공장으로, NNPC측은 빠른 시일 내에 노후화한 정유시설 보수와 시운전 완료를 기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나이지리아는 아프리카 최대 산유국이지만 정유시설 노후화로 인한 낮은 가동률로 휘발유를 비롯한 연료 등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최근 석유제품 수입가격 폭등과 유가 보조금 지급에 따른 나이지리아 정부 재정 부담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대우건설은 쿠웨이트, 오만, 사우디 등지에서 정유시설을 건설한 실적과 주력시장인 나이지리아에서 다수의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경험(인도라마 석유화학공단 암모니아&요소생산시설 Ⅰ/Ⅱ, NLNG Train7, Warri Refinery Quick Fix 등)을 가지고 있다”며 “여기에 인적·물적 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빠른 사업 진행을 원하는 발주처와의 이해관계가 맞물려 이번 공사를 수의 계약으로 수주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대우건설은 나이지리아법인과 발주처 및 현지 커뮤니티와의 우호적 관계를 기반으로, 최근까지 공사가 이어진 인도라마 석유화학공단 건설 수행 경험을 보유한 인력, 장비, 자재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대우건설은 효율적으로 공사를 수행할 수 있을뿐 아니라 공사 리스크도 적어 수익성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대우건설 관계자는 “지난해 6월 나이지리아 와리 정유시설 긴급보수공사(4억 9232만 달러)에 이어 이번 수주로 노후 정유시설 정비분야 입지가 공고해졌다”며 “현재 협상을 진행 중인 인도라마 비료공장 3차 등 나이지리아 신규 공사 수주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했다.

2023.02.03 13:23

2분 소요
대우건설, 카두나 정유시설 긴급보수공사 낙찰의향서 접수

부동산 일반

대우건설은 카두나 정유시설 긴급보수공사에 대한 낙찰의향서(LOI, Letter of Intent)를 접수했다고 27일 밝혔다. 또 정원주 중흥그룹 부회장과 백정완 대우건설 사장이 무함마두 부하리(Muhammadu Buhari) 나이지리아 대통령을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서울에서 예방했다고 이날 밝혔다. 이날 낙찰의향서를 접수한 카두나 정유시설 긴급보수공사는 1983년 치요다가 준공한 일산 11만 배럴 규모의 정유공장으로 수도인 아부자에서 북쪽으로 160㎞ 떨어진 카두나 지역에 위치한다. 대우건설은 플랜트사업본부장을 중심으로 한 실무진이 현지를 방문해 경영진을 면담하고 올해 말까지 사업제안서를 제출해 공사금액 협상을 추진할 계획이다. 카두나 정유시설 긴급보수공사는 대우건설이 수의계약 형태로 수주해 단독으로 수행할 예정이다. 내년 1분기까지 최종 계약 협상을 통해 본 계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발주처는 나이지리아 국영석유공사 NNPC사의 자회사인 KRPC(Kaduna Refining & Petrochemical Company)다. 대우건설에 따르면 나이지리아는 아프리카 최대 산유국이지만 정유시설 노후화로 인한 낮은 가동률로 대부분의 연료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관련 시설의 개보수공사가 시급한 상황이다. 이 때문에 지난 6월 대우건설은 4억9232만 달러(약 6404억원, 부가가치세 포함) 규모의 와리 정유시설 긴급보수공사를 수주했다. LOI 서명식에 정원주 중흥그룹 부회장, 백정완 대우건설 사장, 조승일 대우건설 플랜트사업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나이지리아에서는 무함마두 부하리 나이지리아 대통령, 티미프레실바(TimipreSylva) 석유자원부 장관, 멜레 키야리(Mele Kyari) NNPC사 Group CEO 등이 자리했다. 박지윤 기자 jypark92@edaily.co.kr

2022.10.27 15:54

1분 소요
대우건설, 올 상반기 매출액 4조6904억원…연간 목표치 절반 달성

부동산 일반

대우건설이 올해 상반기 매출액이 전년 대비 10% 이상 늘면서 연간 목표액 10조원의 절반 가까이 채웠다. 수주잔고 역시 8% 이상 늘어 5년치 일감을 확보했지만,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각 20% 이상 감소하면서 수익성은 줄어든 모습이다. 대우건설은 2022년 상반기 연결 기준 경영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매출액 4조6904억원, 영업이익 3077억원, 당기순이익 2220억원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대우건설은 올해 상반기에 전년 동기(4조1464억원) 대비 13.1% 증가한 4조6904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는 연간 목표인 10조원의 46.9%를 달성한 것이다. 사업 부문별 매출액은 ▶주택건축사업부문 3조1063억원 ▶토목사업부문 8529억원 ▶플랜트사업부문 5832억원 ▶기타연결종속부문 1480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영업이익은 3077억원, 당기순이익은 2220억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27.0%, 22.6% 감소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주택건축, 토목, 플랜트 등 전 사업 분야의 매출이 고루 상승하면서 지난해부터 이어온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며 “원자재 가격 급등과 외주비, 노무비 증가에 따른 주택건축 현장 원가율 상승과 지난해 상반기 주택건축‧플랜트부문 등에서 발생한 일회성 이익에 따른 역(逆) 기저효과로 영업이익은 다소 주춤했다”고 말했다. 신규 수주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8.0% 증가한 7조7719억원을 달성했다. 이는 연초에 공시한 올해 신규 수주 목표인 12조2000억원의 63.7% 달하는 것이다. 현재 대우건설은 전년 말 대비 8.3% 증가한 45조686억원의 풍부한 수주 잔고를 보유하고 있다. 연간 매출 대비 5.2년 치 일감을 확보한 상황이다. 대우건설은 올해 국내에서 휴켐스 여수공장 신설공사, 기장 수출용 신형연구로 건설공사, 울산 북항 에너지터미널 3단계 건설공사 등을 수주했다. 도시정비사업 분야에서는 지난 5월 ‘신길 우성2차, 우창아파트 재건축’을 시작으로 최근 ‘고덕현대아파트리모델링사업’까지 약 두 달여 만에 총 9개 프로젝트, 2조4432억원의 누적 수주를 달성했다. 해외에서는 약 4억9232만 달러 규모의 나이지리아 와리(Warri) 정유시설 긴급 보수공사를 단독 수의 계약으로 따냈다. 대우건설은 하반기에 국내에서 양주역 푸르지오 디 에디션, 화성 향남2구역 등 수익성이 큰 자체사업을 포함한 다수의 단지 분양을 준비하고 있다. 도시정비사업 분야에서도 지난해보다 실적이 성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영광낙월해상풍력사업, 울산 S-oil SHAHEEN PJ, 여수 그린집단에너지 건설공사 등의 하반기 수주가 유력하다고 보고 있다. 해외에서는 발주처 사정이 유동적이기는 하지만 이라크 알포 추가공사, 리비아 발전 PJ 등의 수주 가능성도 크다고 대우건설 관계자는 설명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국내에서 주택건축 수주 증가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토목, 플랜트분야에서 수주 전망이 밝은 사업의 발주가 활발한 데다 해외에서는 이라크, 리비아 등 주요 거점 국가에서 수주를 기대하고 있어 올해 목표를 무난히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대우건설의 재무 건전성 개선 작업도 순조롭다. 현금성자산(2조2480억원)과순현금(7280억원)을 양호한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총차입금은 지속적으로 줄여 재무 안정성을 확대하고 있다. 부채비율도 2019년 이후 계속 내려가는 추세다. 대우건설은 올해 상반기 신용등급도 상향됐다. 나이스신용평가는 대우건설의 장기 신용등급을 A-(긍정적)에서 A(안정적)로, 단기신용등급을 A2-에서 A2 등급으로 상향했다. 한국기업평가도 무보증사채 신용등급을 A-(긍정적)에서 A(안정적)로, 기업어음은 A2-에서 A2로, 전자단기사채는 A2-에서 A2로 상향 조정했다. 두 신평사는 대우건설의 국내 주택과 주요 해외사업에서의 양호한 수익성, 현금창출력 확대 등 재무건전성 개선을 등급 상향의 이유로 꼽았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하반기에는 국제 정세와 원자재 가격 불안정,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유행 등 대내외적인 변수가 경영에 부담 요인이 될 것”이라면서도 “검증된 사업관리 역량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원가율 개선 노력과 거점 국가, 경쟁 우위 전략 공종을 타깃으로 한 수익성 중심의 수주 전략을 통해 올해 경영 목표를 반드시 달성하겠다”고 말했다. 박지윤 기자 jypark92@edaily.co.kr

2022.07.28 15:56

3분 소요
대우건설, 6400억원 나이지리아 와리 정유시설 보수공사 수주

건설

대우건설이 나이지리아에서 약 6400억원 규모의 정유시설 보수공사를 수주했다. 대우건설은 지난 24일 나이지리아국영석유공사(NNPC)의 자회사인 와리정유화학(WRPC)이 발주한 '와리 정유시설 긴급 보수 공사'(Warri Refinery Quick Fix PJ)를 수주하고 계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대우건설은 이 공사를 수의계약으로 수주했으며 단독으로 수행할 예정이다. 총 공사금액은 약 4억9232만 달러(약 6404억원)로, 공사기간은 올해 7월부터 내년 12월까지다. 전체 3개 공정 중 패키지 1, 2는 공사 기한이 정해졌고 패키지3은 향후 발주처와의 협의, 승인 후 공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대우건설에 따르면 백정완 대표이사는 당일 나이지리아 현지를 직접 방문해 수도 아부자(Abuja)에 위치한 NNPC 자회사인 NGMC에서 낙찰통지서(LOA)에 서명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이날 체결한 문서에는 일반적인 LOA와는 달리 공사금액, 공사기한, 업무 범위 등 구체적인 사업 내용을 적시했다고 설명했다. 대우건설이 이번에 수주한 사업은 나이지리아 남부 와리항에서 북쪽으로 8.5km 지점에 위치한 기존 노후화한 와리 정유시설을 긴급 보수하는 프로젝트다. 와리 정유시설은 1978년 준공해 운영하다가 약 3년 전부터 운영이 멈춰있다. NNPC는 빠른 시일 안에 보수 공사와 시운전, 공장 재가동을 하기 위해 대우건설에 보수공사를 맡겼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해외 주력 시장인 나이지리아에서 다수의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경험과 풍부한 인적·물적 자원을 바탕으로 이번 공사를 수주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 나이지리아의 노후 정유시설 보수 공사와 신규 시설 증설 사업에 대한 참여를 확대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지윤 기자 jypark92@edaily.co.kr

2022.06.27 17:18

2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