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시적 특허수익' 검색결과
2 건

LG전자가 올해 1분기에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한 가운데 시장 예상을 웃도는 영업이익을 달성해 그 배경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LG전자는 지난 7일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매출 21조1091억원, 영업이익 1조8801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 18.5%, 영업이익 6.4% 증가한 수치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역대 최고 기록이다. ━ LG전자 “일시적 특허수익 증가 있었다” 당초 시장에서는 LG전자의 1분기 실적에 대해 낙관적이지 않았다. 1분기는 전자 업계의 전통적인 계절적 비수기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유가 상승 및 원자재 가격 상승 등 대외적인 불확실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증권가에서는 LG전자의 1분기 실적을 매출 20조1000억원, 영업이익 1조3456억원으로 내다봤다. 특히 영업이익은 종전의 역대 최대치였던 지난해 1분기(1조7673억원)보다 20% 이상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LG전자의 1분기 실적이 공개되자 매출은 큰 차이가 나지 않았지만, 영업이익은 시장 전망보다 약 5000억원가량 많았다. 1분기 영업이익은 역대 최고치다. 예상을 웃도는 영업이익에 대해 시장에서는 프리미엄 제품 중심의 매출이 크게 늘어나면서 우려를 불식시킨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여기에 ‘일시적 특허수익’의 증가가 영업이익 증대에 톡톡한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LG전자는 지난 7일 이례적으로 ‘잠정실적 설명자료’를 내고 “비경상 비용을 제외한, 각 사업본부가 실제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영업이익은 시장 전망치와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사업본부별 영업이익과는 별개로 금번 1분기 영업이익에는 사업본부별 영업이익에는 반영되지 않은 일시적 특허수익 증가가 있었다”며 “해당 금액이 기타부문 수익으로 전사 영업이익에 같이 포함되면서 전체 영업이익 관점에서는 시장기대치를 상회하는 영업이익을 달성했다”고 덧붙였다. ━ “특허수익 규모 8000억원 내외로 추정” LG전자는 계약상 비밀유지 조항을 이유로 수익이 발생한 특허 내용과 특허계약 대상, 계약 규모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다만 “실제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영업이익은 시장 전망치와 유사한 수준”이라고 밝힌 LG전자 측의 설명을 추론해 볼 때 이번 특허수익은 최소 수천억원 규모로 예상된다. 이에 대해 김록호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시장 추정치(컨센서스) 대비 매출액은 6%, 영업이익은 39% 웃도는 호실적”이라며 “기타 부문에서 일시적 특허수익이 발행됐는데, 깜짝실적의 주요인은 특허수익”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구체적인 내용은 파악하기 어렵지만, 특허수익의 규모는 8000억원 내외로 추정된다”고 진단했다. 지난해 말 기준 LG전자가 등록한 특허는 국내 2만2788건, 해외 5만8583건이다. 특허청에 따르면 LG전자는 지난해 세계지식재산기구(WIPO) 국제특허 출원 순위에서 중국 통신 장비 기업 화웨이(1위), 미국 반도체 기업 퀄컴(2위), 삼성전자(3위)에 이어 4위를 차지했다. 지난 5일 유럽특허청이 발표한 ‘특허지수’에 따르면, LG전자의 지난해 특허 출원 수는 2422개로 전년과 동일한 3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특히 LG전자의 통신 관련 특허가 3만여 건 출원돼 있고 표준화 기구에 등재된 특허만도 5500여 건에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이에 LG전자도 올해부터 보유하고 있는 특허 활용에 대해 본격적인 수익 모델로 활용하기로 결정한 상황이다. LG전자는 지난달 24일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블록체인 기반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판매, 암호화 자산의 매매 및 중개업’ 등 3개의 신사업과 함께 ‘특허 등 지적재산권의라이선스업’을 회사의 사업목적에 추가하는 안건을 통과시킨 바 있다. 이런 LG전자의 움직임에 대해 김록호 연구원은 “특허를 매각해서 창출한 수익이 아니기 때문에 관련해서 향후에도 일회성 이익이 발생할 수 있다”며 “특허 자산을 사업화로 진행한 첫 성과로서 유의미하다는 판단”이라고 진단했다. 허인회 기자 heo.inhoe@joongang.co.kr
2022.04.09 09:00
3분 소요
한국 전자업계 쌍두마차로 불리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불안한 국제 상활 속에서도 최고의 깜짝 실적을 거뒀다. 세계 공급망 위기, 원자재 가격 급등, 국제 정세 불안이 이어지는 가운데서도 역대 최대 매출과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 삼성전자 반도체·모바일 호조로 3분기 연속 매출 최고 7일 발표한 1분기 실적(잠정)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매출 77조원(지난해 1분기 대비 17.8% ↑), 영업이익 14조1000억원(지난해 1분기 대비 50.3% ↑)을 이뤘다. 매출은 지난해 3분기(74조원), 4분기(76조6000억원)에 이어 올해 1분기까지 3개 분기 연속 역대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 영업이익 규모는 1분기 기준, 2018년(15조6000억원) 이후 역대 두 번째다. 증권업계는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이 부문별로는 반도체 부문(DS) 8조~9조원, 스마트폰·네트워크 부문(옛 IM) 약 4조원, 소비자가전 부문(옛 CE) 약 7000억원, 하만 부문 약 2000억원으로 추산하고 있다. 출시 40여일만에 100만대를 앞두고 있는 갤럭시 S22의 흥행, 전세계 시장의 선두권을 다투고 있는 메모리반도체 사업의 호조 등이 1분기 호실적의 버팀목이 된 것으로 업계는 평가하고 있다. 다만 소비자가전(TV·냉장고·세탁기 등) 부문은 계절적 비수기 진입, 국제 물류비 인상,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의 여파로 원가 부담이 늘어 수익성이 하락했다. ━ LG전자 프리미엄 제품 앞세워 매출·영업이익 역대 최대 LG전자도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1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프리미엄 가전·TV 판매 호조가 견인차 역할을 했다는 평가다. LG전자 1분기 매출(잠정)은 21조1091억원(지난해 1분기 대비 18.5% ↑)으로 분기 기준 최고를 기록했다. 1분기 영업이익(잠정)은 1조8801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약 1조7673억원)보다 6.4%나 늘어나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이는 증권가 예측보다 5000억원이나 더 많은 수준이다. 증권가는 올해 1분기 LG전자 생활가전(H&A) 사업은 6000억원대, 홈엔터테인먼트(HE) 사업 3000억원대, LG이노텍 3000억원대의 각각 영업이익을 거둔 것으로 추산했다. 이와 함께 이번 영업이익엔 일시적인 특허수익도 반영됐다. LG전자의 생활가전·TV 사업은 프리미엄 가전 LG오브제컬렉션, 올레드 TV, 초대형 TV 판매의 증가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매출이 증가했다. 하지만 물류비·원자재 등의 가격 폭등으로 원가 부담이 커진 탓에 흑자 규모는 줄어든 것으로 증권가는 분석하고 있다. 자동차 부품 전장(VS)사업은 전세계 차량용 반도체 부족 여파로 올해 1분기에도 적자를 면치 못한 것으로 보인다. ━ 증권가 전망 “삼성·LG 올해 실적도 장밋빛” 삼성전자와 LG전자의 1분기 호실적 덕에 이들의 올해 예상 매출도 장밋빛으로 평가 받고 있다. 증권사 분석 보고서 12개의 전망치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올해 연간 예상 매출은 약 321조원, 영업이익 약 62조원을 기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역대 최대 수준이다. 증권사 분석 보고서 6개의 전망치를 보면 LG전자는 올해 연간 예상 매출이 약 81조원, 영업이익이 약 4조7000억원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 역시 역대 최대 규모다. 차량용 반도체 부족 사태가 완화되면 전장 사업을 담당하는 LG전자 VS사업본부가 올해 3분기에 흑자 전환에 성공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박정식 기자 park.jeongsik@joongang.co.kr
2022.04.07 17:57
3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