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약 증거금율' 검색결과
5 건

1월 진행된 LG에너지솔루션 공모주에서 최소 청약규모인 10주를 신청한 투자자 비중이 70%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적 소액으로라도 LG에너지솔루션 청약에 참여하려한 개인 소액투자자들이 많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23일 LG에너지솔루션이 공시한 증권발행실적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8일부터 이틀간 진행된 일반 투자자 대상 공모청약 가운데 10주를 신청한 투자자들은 총 305만8459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개인 청약자 442만4470명 가운데 69.1%를 차지하는 숫자다. 이는 지난해 7월 중복청약 금지 이후 기업공개(IPO)를 진행한 다른 대형주에 비해서도 눈에 띄게 높은 수치다. 카카오뱅크는 전체 청약건수 186만44건 가운데 35.5%가, 현대중공업은 171만3910건 중 52.3%가 10주를 청약한 계좌였다. 두 회사의 공모가는 각각 3만9000원, 6만원이었다. 카카오뱅크와 현대중공업의 청약 증거금율도 모두 50%로, 10주 청약시 각각 19만5000원, 30만원이 필요했다. LG에너지솔루션의 공모가는 30만원으로, 10주 청약시 150만원을 증거금으로 내야 했다. 최소 증거금이 5~7배 가량 큰 규모였지만 소액 투자자는 200만명 이상 더 늘었다. 투자업계 관계자는 "10주 청약자들은 자녀 등 가족 계좌로 균등배정을 받기 위해 노력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슈퍼개미들의 참전도 눈에 띄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8일부터 이틀간 진행된 일반 투자자 대상 공모청약 가운데 가장 많은 물량이 배정된 KB증권에서 청약한도인 48만6000주를 신청한 '슈퍼 개미'는 6명이나 됐다. 48만6000주를 공모가 30만원으로 환산하면 1458억원이다. 청약 증거금율이 50%인 점을 감안하면 실제 납부한 청약증거금은 729억원이다. 1000억원 이상 베팅한 투자자들은 청약한도까지 넣은 6명을 포함, 총 12명이었다. KB증권에서 34만주(1020억원) 이상을 신청한 것이다. 해외 기관투자자는 LG에너지솔루션 청약을 접수한 7개 증권사와 거래 관계가 있는 해외 기관투자자들 276곳, 거래 실적이 없는 해외 기관투자자 176곳 등 총 452곳이 들어왔다. 반면 기존 거래 실적이 없는 해외 기관투자자는 한 주도 배정받지 못했다. 김정훈 기자 kim.junghoon2@joongang.co.kr
2022.01.24 08:13
2분 소요
역대급 기업공개(IPO)로 꼽히는 LG에너지솔루션의 일반 투자자 대상 증거금이 빠르게 불어나고 있다. 청약 시작 한 시간 만에 11조원이 몰리다가 오후 1시 기준으로 21조원을 넘어섰다. 물량 1위 KB증권에 몰린 청약 증거금은 12조3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1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 기준 LG엔솔 공모주 일반 청약을 진행하는 KB증권, 대신증권, 신한금융투자, 미래에셋증권, 신영증권, 하나금융투자, 하이투자증권 등 7개사에 청약 증거금 21조원이 모였다. 대표 주관사인 KB증권에 모인 증거금은 12조2000억원에 달한다. 다음으로 신한금융투자 3조7000억원, 대신증권 2조1000억원, 미래에셋증권 2조1000억원, 하나금융투자 6000억원, 하이투자증권 3000억원, 신영증권 2000억원 순으로 돈이 모였다. 증권사 중 미래에셋증권 경쟁률이 가장 높다. 오후 1시 기준으로 미래에셋증권 경쟁률은 66 대 1로 20만 건에 가까운 청약이 몰렸다. 미래에셋증권에 배정된 수량 22만1354주 중 균등 배정 물량은 이중 절반인 11만677주다. 미래에셋증권 경쟁률이 치솟으면서 균등배정으로 1주도 받지 못하는 ‘0주 배정’ 확률 가능성도 점쳐진다. KB증권의 경쟁률은 16.8대 1, 신한금융투자 경쟁률이 10.5 대 1, 대신증권 경쟁률은 6대 1이다. 빠르게 증거금이 몰리면서 마지막까지 일반 투자자들의 경쟁률 눈치싸움이 치열할 전망이다. 이틀 동안 LG엔솔 증거금이 100조원을 돌파할 수 있을지 업계의 관심이 쏠린다. 앞서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는 81조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 증거금을 모았다. 청약기간은 18~19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다. 일반청약이 끝나면 오는 21일에 배정 주식 수를 확인하고 청약 증거금을 돌려받을 수 있다. LG엔솔은 이달 27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 균등배정의 최소 증거금은 청약 증거금율의 50%인 150만원이다. 중복청약은 금지된다. 홍다원 기자 hong.dawon@joongang.co.kr
2022.01.18 14:25
2분 소요
LG에너지솔루션 일반투자자 청약이 시작됐다. 앞서 국내외 기관투자자 수요예측에서 1경(京)원의 주문액을 모은 만큼 공모주 청약에서도 역대급 증거금이 모일지 관심이 집중된다. 현재 코스피 기업상장(IPO) 역대 공모주 청약 증거금이 몰렸던 기업은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다. 전체 공모주 2139만주 가운데 25∼30%인 534만7500∼641만7000주를 일반투자자에게 배정한 SKIET에는 80조9017억원의 돈이 몰렸다. 청약경쟁률은 288.17대 1이었다. 증권업계에서는 LG엔솔이 SKIET의 청약 증거금 기록을 깰 것으로 보고 있다. LG엔솔의 공모 주식수는 4250만주, 총 공모 규모는 12조7500억원이다. 오는 27일 상장 후 시가 총액은 확정 공모가 기준 70조2000억원이다. 일반 청약자 대상 청약 물량은 전체 공모주식의 25∼30%인 1062만5000∼1275만주가 배정된다. 공모 규모가 큰 만큼 100조원에 육박하는 증거금이 몰릴 가능성이 크다. 만약 100조원이 넘는 증거금이 몰리면 국내 IPO 사상 가장 많은 증거금을 기록하게 된다. 윤원태 SK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있었던 대형 IPO내역을 보면 당시 증거금 50조~80조원이 일시에 증권사로 납입됐다”며 “LG에너지솔루션에는 100조원 이상의 증거금이 모집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증거금 기록 경신은 유력하지만 지난해 공모 규모가 1조원 이상이었던 현대중공업(404대 1), SK바이오사이언스(335대 1), SKIET(288대 1), 카카오뱅크(181대 1)보다 경쟁률은 낮을 것으로 보인다. LG엔솔의 공모 규모는 12조7500억원에 달할 정도로 덩치가 크기 때문이다. 18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LG엔솔은 이날부터 19일까지 전체 공모 물량 4250만주 중 25%에 해당하는 1062만5000주에 대해 일반 청약을 받는다. KB증권, 신한금융투자, 대신증권, 미래에셋증권, 하나금융투자, 신영증권, 하이투자증권 총 7곳에서 청약할 수 있다. 투자자는 한 증권사만 골라 청약해야 한다. 증권사별 물량은 KB증권이 486만9792주로 가장 많고, 대신증권과 신한금융투자도 각각 243만4896주다. 미래에셋증권·하나금융투자·신영증권·하이투자증권은 22만1354주로 상대적으로 물량이 적다. 배정 방식은 모든 투자자에게 같은 물량을 나눠주는 균등 방식(50%)과 청약한 주식 수와 증거금에 따라 나눠주는 비례 방식(50%)이 있다. LG엔솔 공모가는 30만원으로 최소 증거금은 청약 증거금율의 50%인 150만원이다. 일반 청약자에게 전체 공모 주식의 25%가 배정된다고 가정하면, LG엔솔은 균등 방식으로 약 530만주를 개인투자자에게 배정한다. 만약 증권사의 청약 계좌 수가 265만 건보다 적으면 한 사람당 2~3주를, 265만 건보다 많으면 1~2주를 받게 되는 것이다. 김성희
2022.01.18 11:30
2분 소요
1경(京)5000조원 수준의 기관투자자 자금이 몰린 LG에너지솔루션(LG엔솔) 청약이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뜨겁다. 이달 들어 증권사 신규 계좌개설이 지난해보다 2∼3배 넘게 늘어나기도 했다. LG에너지솔루션을 한 주라도 더 받기 위해선 청약 전략이 중요하다. ━ 150만원 내면 최소 2~3주 확보 가능해 1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전체 공모 물량인 4250만주 중 일반 청약자에게는 전체 공모 주식의 25%~30%인 1062만∼1275만주를 배정한다. KB증권, 대신증권, 신한금융투자, 미래에셋증권, 신영증권, 하나금융투자, 하이투자증권 등 7개 증권사를 통해 청약할 수 있다. 투자자는 한 증권사만 골라 청약해야 한다. 뜨거운 공모 열기에 증권사 신규 계좌 개설 수가 늘었다. KB증권은 이달 1일부터 10일까지 신규 계좌 개설 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5.48% 늘었다. 대신증권은 이달 13일까지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332.75%, 신한금융투자는 91.04% 늘었다. 먼저 배정 방식을 결정해야 한다. 배정 방식은 모든 투자자에게 같은 물량을 나눠주는 균등 방식(50%)과 청약한 주식 수와 증거금에 따라 나눠주는 비례 방식(50%)이 있다. 자금이 부족한 개인투자자들은 균등 방식을 노리면 좋다. 최소금액으로 청약에 참가하더라도 경쟁률에 따라 인당 2~3주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최소 증거금은 청약 증거금율의 50%인 150만원이다. 일반 청약자에게 전체 공모 주식의 25%가 배정된다고 가정하면, LG엔솔은 균등 방식으로 약 530만주를 개인투자자에게 배정해야 한다. 만약 증권사의 청약 계좌 수가 265만 건보다 적으면 한 사람당 2~3주를, 265만 건보다 많으면 1~2주를 받게 되는 것이다. 증권사별 물량은 KB증권이 486만9792주로 가장 많고, 대신증권과 신한금융투자도 각각 243만4896주다. 미래에셋증권·하나금융투자·신영증권·하이투자증권은 22만1354주로 상대적으로 물량이 적다. 물량, 경쟁률, 계좌 수 등 변수가 많기 때문에 ‘증권사 갈아타기’ 눈치싸움은 마지막까지 치열할 전망이다. 업계에선 균등 방식은 상대적으로 계좌 수가 적은 신영증권·하이투자증권, 비례 방식은 물량이 많은 KB증권이 유리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하지만 물량이나 계좌 수가 적다고 무조건 균등 배정에 유리한 것은 아니다. 증권사의 물량 대비 경쟁률이 높아 1주도 배정받지 못하는 ‘0주 배정’ 확률도 있기 때문이다. 청약자 수가 균등배분 물량을 뛰어넘으면 무작위 추첨을 통해 공모주를 배정해야 한다. 따라서 물량을 어느 정도 확보하면서도 계좌 수는 상대적으로 적은 증권사를 공략하라는 의견이 나온다. ‘실탄’을 확보한 고액투자자라면 물량이 많은 KB증권을 선택하는 게 상대적으로 유리하다. 비례배정일 때 KB증권의 청약 한도는 16만2000주로 가장 많다. 대신증권이 12만주, 신한금융투자가 8만1000주, 하이투자증권이 2만2000주, 미래에셋증권과 하나금융투자가 1만1000주, 신영증권 7300주 순이다. ━ 청약 전 마지막 점검은? 여러 계좌 확보 유리 대신증권, 신영증권, 하이투자증권을 통해 청약할 예정이라면 오늘(17일)까지 미리 계좌를 개설해야 한다. KB증권, 신한금융투자, 미래에셋증권, 하나금융투자는 청약 당일에 계좌를 개설해도 청약이 가능하지만 대신증권, 신영증권, 하이투자증권은 전날까지 개설해야 한다. 세 곳 모두 비대면 계좌 개설이 가능하다. 또한 투자자가 일시적으로 몰려 사이트가 마비되는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여러 개의 증권사 계좌를 개설하라는 의견도 있다. 여러 증권사 계좌 개설을 해 두면 19일 마감 직전까지 경쟁률을 보고 증권사를 선택하기에도 유리하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 11~12일 신영증권에서 발생한 MTS 접속장애가 우려를 키웠다. 신영증권은 케이옥션 단독 주관사로 12~13일 청약을 진행했지만 청약을 앞두고 비대면 증권계좌 신청이 몰리면서 이틀간 신분증 인증, 접속지연 등 장애가 발생했다. 한편 LG에너지솔루션은 공모가를 희망공모가(25만7000~30만원)의 최상단인 30만원에 확정했다. 최소 10주를 청약하려면 150만원이 필요하다. 오는 18일과 19일 일반 청약을 통해 27일 상장할 예정이다. 홍다원 기자 hong.dawon@joongang.co.kr
2022.01.17 07:00
3분 소요
1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LG엔솔은 전체 공모 물량인 4250만주 중 일반 청약자에게는 전체 공모 주식의 25%~30%인 1062만∼1275만주를 배정한다. KB증권, 대신증권, 신한금융투자, 미래에셋증권, 신영증권, 하나금융투자, 하이투자증권 등 7개 증권사를 통해 청약이 가능하다. 25%가 배정된다고 가정하면 증권사별 물량은 KB증권이 486만9792주(45.8%)로 가장 많다. 대신증권과 신한금융투자도 각각 243만4896주(각각 22.9%)다. 세 증권사에만 전체 청약 물량의 91.6%가 배정됐다. 미래에셋·하나·신영·하이투자증권은 22만1354주로 상대적으로 물량이 적다. 배정 방식은 균등 50%, 비례 50%로 이뤄진다. 균등은 모든 투자자에게 같은 물량을 똑같이 배정하고, 비례는 청약한 주식 수와 증거금에 비례해 돈을 많이 낼수록 더 많은 주식을 배분한다. 이날 공시에 따르면 LG엔솔 공모가는 30만원으로 결정됐다. 균등 방식으로 청약한다면 최소 10주 이상 신청해야 한다. 최소 증거금은 청약 증거금율의 50%인 150만원이 필요하다. LG엔솔은 균등 방식으로 530만주 이상을 개인투자자에게 배정해야 한다. LG엔솔에 200만건 이상의 청약이 몰리더라도, 150만원을 내면 균등 배정으로 인당 2∼3주를 받을 수 있다는 의미다. 증권업계에서는 균등 방식은 신영증권·하이투자증권, 비례 방식은 KB증권이 유리할 것으로 예상한다. 물량이 많은 KB증권은 투자자가 더 몰릴 수 있어 막판까지 경쟁률을 살펴보는 눈치 싸움이 예상된다. 따라서 청약 마지막 날인 19일 증권사별 배정 물량과 청약 건수를 확인하고, 경쟁률이 가장 낮은 곳을 찾아야 한 주라도 공모주를 더 받을 확률이 높아진다. ━ NH투자증권 적정 시총 101조원으로 예상 오는 18일과 19일 이틀 동안 공모주 청약에 앞서 기억해야 할 점도 있다. KB증권, 신한금융투자, 미래에셋증권, 하나금융투자는 청약 당일에 계좌를 개설해도 참여가 가능하지만, 대신증권, 신영증권, 하이투자증권은 전날인 17일까지 미리 계좌를 개설해야 한다. 세 곳 모두 비대면 계좌 개설이 가능하다. 한편 현재 LG엔솔의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은 70조200억원이다. 삼성전자(461조 4642원·14일 종가 기준), SK하이닉스(93조5483억원)에 이어 코스피 상위 세 번째 종목이 된다. NH투자증권은 적정 시총을 101조원으로 전망했다. 시총 100조원을 넘는다면 LG엔솔은 삼성전자에 이어 시총 2위 기업으로 올라서게 된다. 최종경 흥국증권 연구원은 “상장 직후 유통 가능 물량 비중은 14.5% 이하인데 기관 보호예수 물량까지 감안한다면 훨씬 더 낮아질 것”이라며 “상장 후 각종 지수 편입이 확실시된다는 점은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홍다원 기자 hong.dawon@joongang.co.kr
2022.01.14 17:56
2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