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IST

3

유상증자로 재원 확보한 코오롱티슈진·뉴로보…신약 개발 ‘속도’

바이오

국내 기업들이 바이오 기업의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신약 개발에 투자하고 있다. 미국 내 자회사가 진행하는 유상증자에 참여하거나, 지분을 확보해 현지 협력사를 자회사로 품는 모습이다.동아에스티는 지난해 12월 미국의 바이오 기업 뉴로보 파마슈티컬스(뉴로보)의 인수 절차를 마무리했다. 같은 해 9월 뉴로보와 지분 투자 계약을 체결한 지 3개월 만이다. 동아에스티는 뉴로보의 지분 65.5%를 확보하며 최대주주로 올라섰다.앞서 동아에스티는 뉴로보를 인수하기 위해 전환우선주와 유상증자 형태로 3700만 달러를 투자했다. 뉴로보와 계약을 체결할 당시 2200만 달러 규모의 뉴로보 전환우선주를 취득했고, 뉴로보가 진행한 유상증자에 1500만 달러를 추가로 투자하면서 지분을 확보했다.유상증자는 기업이 주식을 발행해 자금을 확보하는 방법이다. 바이오 기업들은 연구개발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주로 유상증자를 활용해왔다.금융투자 업계 관계자는 “연구개발이 중요한 분야의 기업들이나, 성장을 위해 활발히 투자하고 있는 상장사들은 주로 유상증자를 통해 외부에서 자금을 조달한다”며 “재원을 확보한 이후 사업 확대나 연구개발 등에 자금을 투입하는 비중도 빈번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다”고 했다.뉴로보 또한 유상증자를 통해 모집한 자금을 연구개발에 쏟을 계획이다. 앞서 동아에스티와 기술 이전 계약을 체결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치료제 후보물질인 ‘DA-1241’와 ‘DA-1726’의 개발과 판매 권리를 이전받은 바 있다.동아에스티는 뉴로보를 자회사로 품게 됐다. 앞으로 동아쏘시오홀딩스를 비롯한 그룹 내 기업들의 해외 진출 기지로 뉴로보를 활용할 계획이다. 기업들이 북미와 유럽 등 의약품 시장이 성장한 지역에 진입할 때 뉴로보를 오픈 이노베이션의 거점이자 해외 사업 발판으로 삼는다는 계획이다.뉴로보는 동아에스티로부터 NASH 치료제 후보물질을 이전받은 만큼 연구개발 성과를 내는 데 더 집중한다. DA-1241은 올해 안으로 글로벌 임상 2상에 진입한다는 목표다. 또 다른 NASH 치료제 후보물질인 DA-1726도 임상 1상 허가를 받아, 내년에는 투약을 시작한다는 구상이다. 코오롱티슈진은 올해 4월 코오롱을 대상으로 3000만 달러 규모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실시한다. 코오롱티슈진은 2021년과 2022년에도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700억원가량을 조달한 바 있다. 지난해 9월에는 33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도 발행했다.코오롱티슈진도 이번 유상증자로 확보할 자금을 신약 개발에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모회사인 코오롱이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만큼 그룹이 나서 바이오 계열사의 자금 수혈을 돕는 모습이다. 코오롱티슈진은 현재 미국에서 골관절염 유전자 치료제 ‘TG-C’의 임상 3상을 진행하고 있다.코오롱티슈진은 TG-C의 미국 임상 3상을 3년 내 마무리한다는 구상이다. 미국에서 모집한 임상 참여자 1020명을 대상으로 연내 투약을 마치고, 이후 2년 동안 이들을 추적 관찰할 계획이다. 코오롱티슈진은 TG-C를 고관절 골관절염과 퇴행성 척주 디스크 질환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2023.02.14 19:23

2분 소요
코오롱티슈진 거래재개에 신라젠도 5%대 강세 [증시이슈]

증권 일반

신라젠이 장 초반 강세다. 3년 5개월 만에 거래 재개된 코오롱티슈진이 상한가를 찍으면서 바이오주 투자 심리가 덩달아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25일 오전 10시 2분 기준 신라젠은 전날보다 5.56%(650원) 오른 1만23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장중 한때 10% 이상 치솟기도 했다. 앞서 신라젠은 지난 13일 2020년 5월 전 경영진의 횡령·배임 혐의로 거래가 중단된 지 2년 5개월 만에 재개됐다. 신라젠은 거래재개 이틀 만에 2020년 5월 4일 거래정지 직전 기록했던 1만2100원(종가 기준)을 넘어서기도 했다. 한편 한국거래소는 전날 신라젠에 이어 코오롱티슈진도 상장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거래소는 전날 기업심사위원회와 코스닥시장위원회를 열어 기심위는 횡령·배임에 대해, 시장위는 인보사 임상 속개에 대해 각각 심의해 상장 유지를 결정했다. 약 6만명의 코오롱티슈진 소액주주들은 3년 5개월 만에 주식거래가 가능하게 됐다. 홍다원 기자 daone@edaily.co.kr

2022.10.25 10:26

1분 소요
신라젠 이어 코오롱티슈진도 상장유지…3년5개월만에 거래재개

증권 일반

상장폐지 갈림길에 섰던 코오롱티슈진이 결국 상장유지 결정을 받아들었다. 이에 따라 25일부터 거래가 재개된다. 2019년 5월 거래정지 이후 약 3년 5개월 만이다. 한국거래소는 24일 오후 기업심사위원회와 코스닥시장위원회를 열고 코오롱티슈진의 상장을 유지키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기심위는 횡령·배임에 대해, 시장위는 인보사 임상 속개에 대해 각각 심의해 상장 유지를 결정했다. 앞서 코오롱티슈진은 지난 2019년 5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신약 ‘인보사케이주’의 성분 논란으로 품목허가 취소 결정을 내리면서 상장 적격성 실질 심사 대상이 되며 주식 거래가 정지됐다. 2019년 8월 기심위가 코오롱티슈진에 대해 상장폐지 결정을 내렸고, 이듬해 1월 개선 기간 1년을 부여받았다. 이와 별개로 코오롱티슈진은 전 경영진의 횡령·배임 혐의가 발생해 작년 8월 기심위를 열고 1년의 개선 기간을 부여받았다. 이날 상장유지 결정에는 횡령·배임 금액이 20억원으로 자기자본 대비 적었다는 점이 영향을 준 것으로 전해졌다. 거래정지 기간 코오롱티슈진은 유상증자와 전환사채(CB) 등으로 임상 재원 확보에 총력을 기울였다. 작년 12월과 올해 8월 두 차례에 걸쳐 제삼자 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743억원을 조달했다. 9월에는 33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도 발행했다. 모기업인 코오롱 역시 코오롱티슈진의 제삼자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해 3000만 달러(약 432억원)를 내년 4월까지 지원한다. 한편 코오롱티슈진의 상장 유지가 결정되면서 25일부터 주식 거래가 재개된다. 재개 당시 시초가는 25일 오전 8시 30분부터 9시까지 호가를 접수해 단일가격에 의한 매매 방식으로 결정된 최초 가격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주식 거래 정지 직전 코오롱티슈진 시가총액은 4896억원이다. 소액주주는 작년 말 기준 6만1638명으로 지분 36.02%를 보유 중이다. 허지은 기자 hurji@edaily.co.kr

2022.10.24 19:05

2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