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IST

2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이 새롭게 TV 광고 나선 사연은? [김윤주의 금은동]

은행

금융‧은행 산업이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이같은 변화에는 디지털 전환·글로벌 확장 등 내부 목표는 물론, 주요국 금리인상 등 외부 요인도 영향을 끼칩니다. 업계 내에선 횡령, 채용 비리와 같은 다양한 사건들도 발생합니다. 다방면의 취재 중 알게 된 흥미로운 ‘금융 은행 동향’을 ‘김윤주의 금은동’ 코너를 통해 전달합니다. 산업은행이 최근 회사를 대표하는 영상을 새로 만들고 IP-TV, 영화관 등 채널을 통해 광고에 나섰다. 이를 통해 최근 산업은행 본점 부산이전 이슈로 타격을 대외 이미지 또한 회복할 수 있을지 눈길을 끈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산업은행은 올해 12월 한 달 간 IP-TV, 영화관, 온라인 등에 단기간 광고를 집행한다. 산업은행은 매년 영상을 제작해 회사 이미지 제고해 힘써왔다. 이번 영상에는 뮤지컬 배우들이 등장해 “함께 꿈꾸는 거야, 미래를 여는거야” “혁신기업도 기회를 열어드림, 첨단기술도 미래를 열어드림”등의 노래 가사를 외친다. 경쾌한 음악이 깔린 뮤지컬 컨셉의 이번 영상은 산업은행의 ‘혁신성장기업 금융지원’과 ‘미래산업 금융파트너’라는 역할을 강조한다. 지난 20일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 또한 ‘KITA 12월 조찬 특강’에서 “우리나라 경제가 초저성장과 재도약 갈림길에서 혁신성장을 이끄는 신산업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산업은행이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국가 경제의 혁신성장을 이끄는 신산업정책 수립을 위해 정책금융기관으로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산업은행은 다른 시중은행처럼 소매금융에 중점을 두고 있지 않기 때문에 대외 홍보에는 크게 중점을 두지 않는다. 이번 광고 영상도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가 아닌, 회사의 역할에 중점을 두고 만들어진 이유다. 다만 최근 산업은행은 본점 부산 이전이라는 특수한 상황에 정치권과 정부, 노조 등의 대치 상황에서 대외 이미지 하락이 우려되고 있다. 이 가운데 새로운 홍보 영상을 통해 기업 이미지를 환기 시키려는 의도도 엿보인다. 특히 기업의 이미지 제고는 신규 직원 채용에 있어서도 중요한 대목이다. 그간 산업은행은 안정적이고 높은 연봉 덕분에 문과 출신 취업준비생들에겐 ‘꿈의 일자리’로 꼽혔지만 최근 진행된 채용에선 면을 세우지 못했다. 공공기관 채용정보시스템 잡알리오에 따르면 산업은행은 올해 하반기 공채로 115명을 뽑았다. 이 채용에는 3416명이 지원해 최종 경쟁률 29.7대 1을 기록했다. 이는 작년 하반기 91명 채용에 3357명이 지원해 36.89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것보다 크게 저조한 수준이다. 최근 산업은행 본점 부산 이전 이슈로 기존 직원들의 퇴사도 늘고 있다. 산업은행 직원은 올해만 약 100명 가량 퇴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통상 산업은행의 연간 퇴사자가 40명 안팎인 것과 비교하면, 퇴사자는 부산 이전 논란이 본격화 된 올해 급격히 늘었다. 이처럼 산업은행은 회사 분위기가 뒤숭숭한 시점에 기업 이미지 제고를 위한 다양한 방법을 고심 중인 것으로 풀이된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대한민국 대표 정책금융기관으로서 혁신성장을 선도하는 산업은행의 이미지와 인지도 제고를 위해 영상을 제작해 광고를 집행했다”고 설명했다. 김윤주 기자 joos2@edaily.co.kr

2022.12.23 15:03

2분 소요
조용병號 신한금융그룹, ‘혁신 상생’과 ‘금융 포용’ 두 토끼 잡는다

ESG

‘따뜻한 금융’을 그룹 기치로 내세워온 신한금융지주가 혁신을 통한 ‘상생’과 ‘공존’ 행보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단순히 재무적 성과에 그치는 1등이 아닌 진정한 의미의 리딩금융그룹으로서 책임과 소명을 다해야 한다는 조용병 회장의 의중이 담겼다는 설명이다. ━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신한 N.E.O Project’ 신한금융의 ‘혁신’ 프로젝트는 지난 2019년 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조 회장은 당시 “대한민국 경제의 신성장 동력 발굴과 확보를 위해 혁신성장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는데, 곧바로 같은해 4월 국내 금융그룹 최초로 전 그룹사 110여개 본부부서 임직원 약 2,000여 명이 참여하는 ‘신한 혁신금융 추진위원회’ 를 출범시켰다. 이후 지난해에는 해당 프로젝트를 업그레이드 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가 경제 신성장동력 발굴 지원을 위한 ‘신한 N.E.O Project(New Economic growth supporting Operations)’ 추진을 알렸다. 프로젝트 성과도 가시화되고 있다. 신성장산업 금융지원을 위해 혁신·뉴딜 관련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지원하고 있는 대출은 지난해 목표인 15조4000억원을 초과한 23조5000억원을 공급하며 목표대비 153%를 실행했고, 작년 연말까지 5개년(2019~2023) 기준 총 공급 목표인 78조원 중 35조원을 지원하며 적정 진도율인 40%를 초과한 44.9%의 누적 진도율을 기록했다. 혁신 및 뉴딜 투자 분야에서도 전년도 목표 대비 대비 각각 132%(혁신 투자 목표 4150억원/ 투자 실적 5499 억원), 109%(뉴딜 투자 목표 6000억원/ 투자 실적 6562억원)가 넘는 실적을 기록하는 등 대출 및 투자 전 분야에서 목표를 초과한 성과를 나타냈다. 혁신성장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K-뉴딜’ 프로젝트도 눈길을 끈다. 조 회장의 아이디어로 출발한 해당 프로젝트는 2019년 2월 첫 발을 뗀 뒤 그해 12월 그룹의 혁신 금융 플랫폼 완성을 위한 ‘Triple-K’ 프로젝트로 진화했다. 신한금융은 Triple-K 프로젝트를 통해 서울·인천·대전·제주·베트남 등 국내 및 해외에 그룹 혁신성장 플랫폼인 ‘신한 스퀘어브릿지’를 구축하고 있으며, 혁신 기업 글로벌 진출 지원, K-유니콘 육성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등 혁신 성장 기반 구축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신한금융은 K-뉴딜 성공을 위해 정책형 뉴딜펀드 활성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민간 뉴딜펀드 조성에도 앞장서고 있다. 이와 함께 신한금융은 자본력 문제로 데스벨리(death valley) 문턱에 있는 스타트업 생태계 구축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국내 금융권 최초의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인 ‘신한퓨처스랩’은 2021년 상반기까지 250개의 혁신적인 스타트업을 발굴 및 육성했으며, 현재까지 총 427억원을 투자했다. 또한 매년 약 2000여명이 참여하는 스타트업을 위한 대규모 데모데이 행사를 개최하고, 스타트업의 홍보 및 우수인재 확보, 청년들의 일자리 창출도 지원하고 있다. 상생과 공존을 위한 신한금융의 이같은 노력은 앞으로도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신한금융은 중소벤처기업부 및 벤처기업협외와 상생ᆞ공존ᆞ성장을 위한 ‘자상한 기업’(자발적 상생기업)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자상한 기업(자발적 상생기업)은 정부정책에 발 맞춰 중소기업투자, 일자리창출, 취업지원 등 기업의 상생적 역할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있으며, 네이버, 포스코에 이은 세 번째이며 금융기관으로는 첫 번째로 선정됐다. 신한금융은 MOU를 통해 ▲혁신성장 중소기업 지원 ▲중소기업 청년 일자리 창출 지원 ▲중소 자영업자 대상 비금융 서비스 3대 핵심 분야를 집중 강화하고 있다. ━ 사회공헌 통합체계 구축…“모두가 잘사는 따뜻한 희망사회” 신한금융은 그룹 미션인 ‘미래를 함께 하는 따뜻한 금융’에도 지속적인 지원에 나서고 있다. 특히 조 회장 취임 직후인 2017년 말 금융권 최대 규모의 사회공헌활동이자 신한의 전 그룹사가 참여하는 ‘희망사회 프로젝트’를 시작했는데, 프로젝트의 실질적 원년인 2018년에는 신한금융희망재단을 공식 출범시키며 그룹 주도의 사회공헌 통합 체계를 구축했다. 또 2019년에는 청년실업, 신용위기 등 우리사회가 당면한 문제를 보다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신한금융희망재단의 사업 영역을 대폭 확장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금융취약 계층의 소득활동 지원은 물론 일자리 창출 및 중소기업 성장 지원, 그리고 지역사회 발전, 문화예술, 교육 등 다양한 지원사업을 펼치고 있다. 이후 2020년에는 희망사회 프로젝트 밸류업(Value-Up)을 통해 고객과 신한, 사회의 가치를 함께 높이는 상생의 선순환을 통해 희망사회를 구현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아울러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통한 글로벌 기준에 맞는 유의미한 사회적 가치를 도출하는 사업도 함께 진행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금융취약계층 지원사업, 일자리 지원사업, CSR 시너지 창출 사업으로 분류해 저신용자 재기지원, 저신용 저임금 청년 지원,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 사회적 경제 육성을 통한 지역 맞춤형 일자리 사업 등 사회적 가치를 높이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공인호 기자 kong.inho@joongang.co.kr

2021.09.14 13:30

4분 소요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1781호 (2025.4.7~13)

이코노북 커버 이미지

1781호

Klout

Kl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