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IST

526

美 반도체 vs 中 희토류 수출 제한…韓 강타한 관세 전쟁 2라운드

산업 일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보호무역 강화 정책으로 세계 경제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미국과 중국이 2차로 격돌했다. 당초 미국이 중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높이면 중국은 미국 제품에 관세율을 함께 올리며 맞받아치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번에는 양국이 특정 품목에 대한 수출을 제한하며 관세전쟁 2라운드의 막을 올린 것이다.이번에 먼저 포문을 연 것은 중국이었다. 뉴욕타임스(NYT)는 중국이 미국의 상호 관세 부과에 대응해 4월 4일부터 희토류 수출을 금지했다고 같은 달 13일 보도했다. 중국에서 전량 정제되는 중희토류 금속 6종, 90%를 중국에서 생산하는 희토류 자석의 수출을 제한한 것이다. 희토류 금속은 자동차나 드론, 로봇과 미사일, 우주선 등 첨단 기계제품에 핵심 요소인 전기 모터를 만드는 데 쓰인다. NYT는 “미국 군수업체를 포함한 특정 기업에 대한 (희토류) 공급이 영구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고 전했다.미국은 엔비디아의 중국용 저사양 인공지능(AI) 반도체 ‘H20’의 수출을 제한하기로 했다. 4월 15일 미국 CNBC 방송은 따르면 엔비디아는 “미 정부가 H20을 중국에 수출하려면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통보해 왔다”고 전했다. 미국 정부는 “해당 반도체가 중국의 슈퍼컴퓨터에 사용될 수 있다”며 H2O 수출 규제 이유를 설명했다. H20은 저사양 반도체로 엔비디아의 주력 제품인 H200·B200 등과 비교하면 성능이 떨어지는 제품이다. 과거 미국 정부가 고사양 반도체에 대해서만 대중 수출을 규제했기 때문에 엔비디아는 중국용 저사양 반도체를 만들어 수출했는데, 이 길이 막힐 가능성이 커진 것이다.문제는 양국 갈등의 충격파가 우리 기업으로 몰려올 수 있다는 점이다. 관세청이 분석한 2024년 한국의 희토류 수입액 중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50.8%에 달한다. 과거 중국이 희토류 수출 억제를 전략적으로 이용한 사례가 있어 우리 정부와 국내 기업들이 대체 공급망을 확대했지만, 중국의 수출 제한 기간이 길어지면 전기차나 첨단 기계, 이차전지 산업 등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반도체 수출 제한과 관련해서는 엔비디아에 반도체를 납품하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제한적이지만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견해도 있다.우리 정부는 미국과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개발 참여 등을 물꼬로 관세 협상을 진행할 전망이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4월 15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미국 측이 어떤 계획을 갖고 있고 무엇을 희망하는지는 아직 구체적이지 않다”면서도 “지금은 미국 당국자들과 LNG‧조선‧무역 균형과 관련해 관심 있는 부분을 어떤 틀에서 협상할지 논의해야 하는 단계”라고 설명했다. 최 부총리는 “어차피 양 정상 간 이야기에서 LNG 부분이 나왔기 때문에 검토는 안 할 수 없는 것”이라면서도 “섣불리 어떤 부분을 약속한다거나 국익에 위반되는 어떤 것을 의사 결정하는 단계는 아니다”라고 말했다.앞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통화 후 “대미 무역 흑자‧ 관세‧조선‧미국산 LNG 대량 구매‧알래스카 가스관 합작 사업‧한국에 제공하는 대규모 군사적 보호 비용 지급을 논의했다”고 밝힌 바 있다.

2025.04.18 09:34

3분 소요
뉴욕증시, 급락…트럼프發 대중 반도체 규제 직격탄 영향

글로벌

뉴욕증시가 16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행정부의 대중(對中) 반도체 수출 규제 강화와 고율 관세 부과 영향으로 급락 마감했다. 연방준비제도(Fed) 제롬 파월 의장의 인플레이션 경고까지 더해지며 투자심리는 급격히 위축됐다.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99.57p(-1.73%) 내린 39,669.39에 거래를 마쳤다.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20.91p(-2.24%) 내린 5,275.70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516.01p(-3.07%) 빠진 16,307.16에 장을 마감했다.트럼프 행정부의 대중(對中) 반도체 수출 제한 수위 강화 여파로 반도체·인공지능(AI)주 매도세가 이어지면서 전반적인 장 분위기가 종일 싸늘했다.그 여파로 AMD(-7.35%), ASML(-7.06%), 엔비디아(-6.87%), TSMC(-4.68%) 등 주가가 줄줄이 곤두박질쳤다. 애플(-3.89%)과 마이크로소프트(-3.66%)도 투자자 팔자 행렬에 뒷걸음질했다.국제 무역 질서를 뒤흔드는 '트럼프 관세'에 대한 연준 의장의 경고 역시 시장엔 악재로 작용했다.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지금까지 (행정부가) 발표한 관세 인상 수준이 예상보다 훨씬 높다"면서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마찬가지일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인플레이션 상승과 성장 둔화를 포함할 것"이라고 말했다.뉴욕에 거점을 둔 투자자문업체 CFRA 리서치의 샘 스토벌 최고 투자전략가는 로이터통신에 "파월 의장은 투자자들이 걱정하는 점을 확증하고 있다"며 "관세로 인한 경제 성장이 둔화하고 인플레이션이 고착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대표적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매수세에 힘입어 상승 곡선을 그렸다.이날 오후 2시 45분 기준(미 동부시간) 금 현물 가격은 전장 대비 3.61% 상승한 온스당 3,338.43달러에 거래됐다.금 현물은 이날 한때 온스당 3,350달러선을 찍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금 선물 가격도 오름세를 보이면서, 뉴욕상품거래소에서 6월 인도분 금 선물이 온스당 3,355.10달러에 정산됐다.달러화가 약세를 보인 것도 금값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약(弱)달러'는 달러화로 표시되는 금값 오름세를 부추긴다.CNBC에 따르면 주요 6개국 통화(유로화·엔화 등)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ICE(인터콘티넨털 익스체인지) 미국 달러 지수는 미 동부 기준 이날 오후 4시 20분 전후 전장보다 0.84% 떨어진 99.37을 기록했다.ICE 달러 지수는 100을 기준점으로 두는데, 숫자가 작아질수록 달러 선호 또한 낮아진다고 해석된다.

2025.04.17 08:27

2분 소요
뉴욕증시, 관세 불확실성에 3대 지수 일제히 약보합 마감

글로벌

15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미국의 관세 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지속되며 3대 주요 지수가 모두 약보합세로 마감했다.미국 CNBC에 따르면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 지수는 전장 대비 155.83p(0.38%) 하락한 4만368.96에 거래를 마쳤다.대형주 위주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9.34p(0.17%) 내린 5396.63에 장을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도 8.32p(0.05%) 빠진 1만6823.17에 장을 닫았다.월가 '공포 지수'로 알려진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지난주 60에 가까운 최고치를 기록한 뒤 30 아래로 떨어졌다.뱅크오브아메리카(BoA)와 씨티그룹은 1분기 실적이 기대치를 웃돌면서 각 4%와 2% 넘게 상승했다. 은행 주식이 전반적으로 상승 모멘텀을 제공했다.보잉 주가는 중국 정부가 자국 항공사에 보잉 항공기 사용 금지를 명령했다는 보도가 나온 뒤 2%가량 하락했다.지난 11일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이 스마트폰, 컴퓨터, 반도체 등 전자제품에 대한 상호 관세 면제를 발표한 뒤 뉴욕증시엔 훈풍이 불고 있다.다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이 지난 13일 상호 관세에서만 제외되는 것일 뿐, 조만간 발표될 반도체 품목 관세와 함께 부과될 것이라고 예고해 일시적인 조치일 가능성이 높다.3대 주요 지수는 관세 변동성이 완화되면서 최근 상승세에 있지만, 지난 2일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발표 이후 발생한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여전히 고군분투 중이다.래리 텐타렐리 블루칩데일리트렌드리포트 설립자는 "최악의 시나리오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면서도 "(관세 뉴스가) 언제든 헤드라인을 장식할 수 있고, 시장이 3% 하락할 수 있다는 게 문제"라고 분석했다.한편 이번주 유나이티드 항공과 넷플릭스 등 주요 기업 실적 발표가 예정돼 있다.

2025.04.16 08:16

2분 소요
美 하버드대, 트럼프 정책에 반기…13조원 지원 포기 왜?

국제 이슈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대학 중 하나인 하버드 대학교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학 운영 개입 시도에 정면으로 반기를 들었다. 14일(현지시간) 미국 현지 유력 매체 월스트리트저널(WSJ)과 CNBC 방송 등의 보도에 따르면, 앨런 가버 하버드대 총장은 교내 커뮤니티에 보낸 성명을 통해 “우리 대학은 독립성이나 헌법상 보장된 권리를 놓고 협상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다. 그러면서 “그 어떤 정부도 사립대학이 무엇을 가르칠 수 있는지, 누구를 입학시키고 고용할 수 있는지, 어떤 연구와 탐구 분야를 추구할 수 있는지 지시해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11일 하버드대에 보낸 공식 서한을 통해 ▲모든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프로그램 폐지 ▲교수진 채용 관련 데이터 감사 수용 등 9가지 조치를 요구했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는 대학 내 반유대주의 확산 근절을 명분으로 중동학과 폐지 등 학문 구조 개편까지 압박하고 있다. 지난달 에는 하버드의 연방 계약금 약 2억5600만달러(3639억원)과 수년에 걸쳐 지원을 약속한 87억달러(약 12조3671억원)를 재검토하고 있다고도 발표했다.가버 총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이와 같은 정책에 정면으로 반박했다. 그는 "미 정부에서는 우리에게 반유대주의에 맞서기 위한 활동을 요구하고 있다"면서, 관련 활동은 "적법한 절차를 무시하고 있으며, 대부분 대학에 대한 정부의 직접적 규제를 의미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하버드 교수진도 트럼프 행정부의 연방 자금 철회 위협에 대한 소송을 제기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에 나섰다. 테드 미첼 미국교육협의회 회장은 “하버드대가 나서지 않았다면, 다른 대학들이 ‘희망이 없다’는 신호로 받아들였을 것”이라며 하버드대를 따라 “다른 대학들이 정부의 개입에 반대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앞서 미국 명문 컬럼비아 대학교는 지난달 트럼프 행정부가 컬럼비아대에 4억달러(약 5686억원)의 연방 지원을 중단하자 중동학과에 특별 감독을 수용하고 캠퍼스 내 체포 권한까지 부여한 바 있다.

2025.04.15 11:15

2분 소요
美 국채시장, 관세 유예에 일시 진정…증시 급락에 '시장 불안'

국제 경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90일 상호관세 유예 조치 발표로 미국 국채시장의 투매가 일단 멈췄지만, 같은 날 뉴욕증시가 다시 급락하면서 시장 불안이 완전히 해소되지는 않았다는 분석이 제기됐다.10일(현지시간) 시장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뉴욕증시 마감 무렵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4.41%로 하루 전 같은 시간 대비 7bp(1bp=0.01%p) 올랐다.관세 유예 조치 발표 이후 미 국채 수익률은 오전 장중 4.26%로까지 저점을 낮췄다가 뉴욕증시가 전날 폭등 하루 만에 재차 낙폭을 키우면서 상승 흐름을 나타냈다.앞서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가 발효한 9일 0시 1분 직후 아시아 시장에서 10년물 금리가 4.51%까지, 30년물 금리가 5.02%까지 상승하며 금융시장에 공포감을 촉발한 바 있다.30년물 수익률은 3거래일간 약 50bp 급등했는데 이는 1982년 이후 가장 빠른 증가 속도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앞서 전했다.채권 수익률과 채권 가격은 반대로 움직이기 때문에 채권 수익률의 빠른 상승은 채권 가격의 급락을 의미한다.지난 1982년께 30년물 금리가 13%대에 달했던 점을 고려하면 현 4%대 금리 수준에서 지난 며칠간 나타난 금리 상승(채권가격 하락) 속도는 사상 유례가 없는 수준이었다고 전문가들은 평가한다.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등 핵심 참모진이 추가 관세 지연 결정이 원래부터 계획된 것이라고 주장했음에도 9일까지 나타난 채권시장 혼란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 상호관세 유예를 발표한 직접적인 계기가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재닛 옐런 전 미국 재무부 장관은 CNN 인터내셔널 인터뷰에서 최근 미국 국채 투매에 대해 "내가 이해하기로는 이 문제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유예하도록 하는 데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며 "명백하게 우려해야 할 사안"이라고 말했다.케빈 해셋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이날 CNBC 인터뷰에서 "채권시장이 공황 상태에서 움직인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채권시장이 유예 의사결정에 적어도 조금은 기여를 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관세 유예 발표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채권시장은 매우 까다롭다(tricky)"며 "나는 (채권시장을) 지켜보고 있었다. 하지만 지금 보면 아주 멋지게 됐다"라고 말한 바 있다.CNBC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해 채권 시장이 강력하게 경고했고, 결국 대통령이 이를 경청하여 잠재적 재앙을 피한 것"이라면서도 "그러나 이날 증시가 다시 폭락하면서 시장 안정성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남아있다"라고 평가했다.

2025.04.11 09:01

2분 소요
'트럼프 효과'로 급반등…나스닥 12% 폭등

글로벌

트럼프 대통령의 '90일 관세 유예' 발표에 뉴욕증시 3대 지수가 기록적인 급등세로 마감했다.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962.86p(7.87%) 오른 40,608.45에 마감했다.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474.13p(9.52%) 급등한 5,456.90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857.06p(12.16%) 급등한 17,124.97에 각각 마감했다.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국가별 상호관세를 유예해 90일간 10% 기본관세만 부과한다고 전격 발표해 시장에 안도감을 줬다.중국에 대한 관세는 125%로 인상한다고 밝혔지만, 다른 국가에 대해선 개별 협상을 통해 관세율이 최종적으로 낮아질 것이란 기대감을 높였다.이날 미 동부시간 오후 1시 18분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트럼프 대통령의 글이 그가 소유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올라온 직후 뉴욕증시 3대 지수는 수직으로 급등했다.CNBC 방송이 인용한 시장조사업체 팩트셋 시장자료(2차 세계대전 이후 통계 기준)에 따르면 이날 S&P 500 지수의 상승 폭은 글로벌 금융위기 시기인 2008년 10월 13일(11.58%)과 그달 28일(10.79%) 이후 세 번째로 컸다.나스닥 지수 상승 폭은 기술주 거품이 꺼진 뒤 약세장 시기인 2001년 1월 3일(14.17%) 이후 두 번째로 컸다. 다우 지수는 역대 6번째로 상승 폭이 컸다.이날 뉴욕증시 거래량은 약 300억 주로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컸다고 CNBC는 전했다.이날 개장 초만 해도 5,000선 아래에 머물렀던 S&P 500 지수는 이날 하루 반등으로, 상호관세 발표 직전인 지난 2일 종가 대비한 낙폭을 3.8% 수준으로 만회했다.상호관세 발표 후 주가가 큰 타격을 입었던 컸던 대형 기술주들은 이날 주가가 수직으로 상승했다.애플은 이날 15.33% 급등하며 다시 시총 1위 자리를 되찾았고, 테슬라는 22.60%나 폭등했다.인공지능(AI) 칩 대장주 엔비디아(18.59%)를 비롯해 메타(14.55%), 아마존(11.98%) 등 시총 상위권의 주요 빅테크들이 두 자릿수대의 일간 상승률을 기록했다.트럼프 대통령이 대주주인 트럼프미디어는 이날 21.67% 폭등했다.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뉴욕증시 개장 직후 트루스소셜에 "지금은 정말 매수하기 좋은 시기!!! DJT"라고 썼다. DJT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니셜이자 트럼프 미디어의 종목코드다.웨드부시 증권의 댄 아이브스 애널리스트는 "기술주에 있어 이번 조치는 절실히 필요했던 안도감을 제공했다"며 "중국이 애플 및 광역 공급망 이슈와 관련한 가장 큰 변수로 남아있음에도 불구하고 주식과 시장을 절벽의 가장자리에서 끌어올렸다"라고 말했다.

2025.04.10 08:26

2분 소요
트럼프發 관세 전쟁에 '가상자산 흔들'…비트코인 3%↓

가상화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발 관세 전쟁이 격화되면서 투자심리가 위축되자 비트코인 가격이 약 3% 하락했다. 대표 알트코인인 이더리움과 엑스알피(리플)는 하락폭이 4~5%에 달하며 전반적인 약세를 보이고 있다.20일 오전 8시 30분 기준 비트코인은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에서 전일 대비 2.53% 하락한 1억1444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업비트에서는 3.08% 하락한 1억1443만원에 매매 중이다.글로벌 가상자산 시황 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에서는 4.4% 하락한 7만6293.26달러를 나타내고 있다.알트코인의 하락폭은 더 크다. 이더리움은 빗썸에서 전일 대비 3.71% 하락한 221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업비트에선 4.58% 낮아진 221만원에 매매 중이다. 코인마켓캡에서는 6.1% 하락한 1469.91달러다.엑스알피는 하락폭이 5%대에 달했다. 빗썸에선 5.42% 하락한 2686원, 업비트에선 5.13% 낮아진 2684원에 거래 중이다. 코인마켓캡에서는 6.35% 하락한 1.78달러로 집계되고 있다.비트코인의 국내외 가격 차이를 뜻하는 김치프리미엄은 1%대를 밑돌았다. 글로벌 가상자산 시황 비교 플랫폼 크라이프라이스에 따르면 비트코인 김치프리미엄은 0.92%다.이날 가상자산 가격 약세는 미국발 관세 전쟁의 격화로 투자심리가 위축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CNBC, 마켓워치 등에 따르면 8일(현지 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20.01포인트(0.84%) 내린 3만7645.59으로 거래를 마쳤다.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79.48포인트(1.57%) 밀린 4982.77로 장을 닫았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전장보다 335.35포인트(2.15%) 떨어진 1만5267.91에 장을 마쳤다.백악관이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했던 대로 중국에 대한 50% 추가관세를 오는 9일부터 적용할 것이라고 발표하자 주요 지수는 급락한 것이다. 투자자들이 관세에 대해 다시 불안감을 느끼며 매도에 나섰다.한편 글로벌 가상자산 데이터 조사 업체 얼터너티브(Alternative)에서 집계하는 '공포·탐욕 지수'는 이날 18점을 기록하며 '극단적 공포(Extreme Fear)' 수준을 나타냈다. 전날(24·극단적 공포)보다 떨어진 수치다. 해당 지수는 0으로 갈수록 시장 심리가 극단적 공포에 가까움을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2025.04.09 11:08

2분 소요
뉴욕증시 '롤러코스터 장세' 끝에 하락…트럼프발 관세 여진 지속

글로벌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행정부가 상호관세 부과 방침을 재확인하면서, 8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하락세로 마감했다.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20.01p(-0.84%) 내린 37,645.59에 거래를 마쳤다.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79.48p(-1.57%) 내린 4,982.7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335.35(-2.15%) 내린 15,267.91에 각각 마감했다.S&P 500 지수가 5,000선 아래에서 마감한 것은 지난 2024년 4월 이후 1년 만이다.다우지수와 S&P 500 지수는 이날까지 4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지속했다.특히 S&P 500 지수는 이날 2월 최고점보다 19% 하락하며 약세장 구간 진입을 코앞에 두고 마감했다. 월가에선 통상 직전 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하면 약세장에 진입했다고 본다.이날 뉴욕증시 3대 지수는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가 개별 협상을 통해 완화될 것이란 기대감에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오전 장중 큰 폭으로 반등 출발했다.나스닥 지수는 장중 한때 상승 폭이 전장 대비 4.6%에 달하기도 했다.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은 이날 CNBC 인터뷰에서 약 70개국이 관세 협상을 요청해왔다면서 "만약 그들이 탄탄한 제안을 갖고 협상 테이블에 나선다면 우리는 좋은 거래를 성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해 협상에 따른 정책 조정 기대감을 높였다.이날 뉴욕증시 개장에 앞서 중국이 "미국이 고집대로 한다면 중국은 반드시 끝까지 맞설 것"이라는 입장을 내며 무역전쟁의 긴장을 높였지만, 시장은 이에 크게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았다.그러나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이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중국을 상대로 한 총 104% 관세가 9일 0시 1분 발효된다고 확인하면서 관세 완화에 대한 기대감은 급속도로 식었다.3대 지수는 장중 상승 폭을 모두 반납한 데 이어 오후 들어 낙폭을 더 키우면서 결국 모두 하락 마감했다.이날 강세로 출발했던 대형 기술주들도 대체로 하락 마감했다.애플과 테슬라가 4.79%, 5.02% 각각 하락해 낙폭이 컸고, 인공지능 칩 대장주인 엔비디아(-1.37%)를 비롯해 아마존(-2.41%), 메타플랫폼(-1.07%), 알파벳(-1.41%), 마이크로소프트(-0.76%) 등 '매그니피센트 7' 종목 모두 하락했다.

2025.04.09 08:31

2분 소요
비트코인, 트럼프 상호관세 충격에 8만달러선 붕괴

가상화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정책으로 암호화폐 비트코인의 가격이 6일(현지 시간) 큰 폭 하락했다.CNBC, 코인텔그래프 등에 따르면 이날 한 때 비트코인 가격은 전날보다 4% 하락한 7만8835.07달러를 기록했다. 8만 달러 선에 이어 7만9000달러 선도 무너졌다.이는 지난 1월 기록한 사상 최고치 대비 약 34% 폭락한 수준이다.암호화폐 대표격인 비트코인은 보통 대형 기술주처럼 거래됐다. 트레이더들이 시장 심리 선행 지표로 여겨왔다.지난주 글로벌 증시, 국제 금 가격이 하락하는 가운데에서도 비트코인은 8만~9만 달러 선을 유지해왔다.그러나 지난 주말부터 투자자들이 증시 등 추가 하락세를 전망하며 암호화폐까지 대거 매도하기 시작했다.CNBC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로 세계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자 투자자들은 모든 리스크(위험 자산)를 매도했다"며 이후 24시간 거래되는 암호화폐를 불안에 떨던 투자자들이 주말에 처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앞서 지난 2일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를 발표하자 시장은 패닉으로 내몰렸다. 같은 주 주말을 앞뒀던 지난 4일 미국 뉴욕증시에서 3대지수는 전부 5% 이상 급락 마감했다.이날 안전자산 금 선물 가격도 2% 이상 떨어졌다. 근원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도 6% 이상 급락, 한때 배럴당 60.5달러 선으로 떨어지는 등 선물 시장도 전반적으로 급락세를 면치 못했다.

2025.04.07 08:30

1분 소요
BYD 연차 보고서 분석해 보니…글로벌 완성차 업계 뒤흔든 이유 있다

자동차

“비야디(BYD)는 2024년 7771억 위안(1071억달러·약 157조원)의 매출을 기록했고, 전년도 대비 29%가 증가했다. 1000억달러 매출 기준도 넘어섰고, 테슬라의 2024년 매출 977억달러도 뛰어넘은 것이다.”지난 3월 25일(현지시간) 포춘을 비롯해 CNN·CNBC·AP NEWS 등 해외 언론에서 비슷한 기사를 쏟아냈다. 언론이 강조한 것은 ‘테슬라를 꺾은 BYD’다. BYD의 질주를 무섭다고 말하는 이유다. BYD의 힘은 무엇일까. 싱가포르에서 투자자로 활동하고 있는 회계사 출신의 김상수 리겔캐피탈 상무의 도움을 받아 BYD의 공시자료와 연례 보고서(Annual Report)를 분석했다. 2021년 BYD의 매출액은 2161억4239만 위안을 기록한 후 매년 급격하게 상승하고 있다. 2022년 4240만6063만 위안, 2023년 6023억1535만 위안, 2024년 7771억245만 위안을 기록했다. 3년 만에 매출이 350% 정도 성장한 것이다. 영업이익도 2021년 46억3199만 위안을 기록했고 2022년 215억4181만 위안, 2023년 381억309만 위안, 그리고 지난해 504억8604만 위안으로 급성장했다. 지난해 영업이익이 8조원을 넘어선 것이다. 일각에서는 BYD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높은 이유를 중국 정부의 보조금 덕분이라는 목소리가 있다. 중국 전기차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할 수 있는 주요 이유로 꼽히기도 한다. 지난해 4월 독일의 킬 세계경제연구소(Kiel Institute for the World Economy)는 BYD가 중국 정부로부터 2020년 2억2000만 유로(17억2583만 위안)의 보조금을 받았고, 2023년에는 21억 유로(164억7388만 위안)를 받았다고 발표한 바 있다. 중국 정부의 보조금을 빼면 2023년 BYD가 거둔 영업이익은 반토막이 나게 된다. 중국 정부의 보조금이 BYD의 빠른 성장을 가능하게 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BYD의 순수 전기차 판매 대수도 매년 상승하고 있다. 2023년 52만6409대를 판매했고, 2024년에는 59만5413대를 판매했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는 2023년 41만6242대를 판매했는데, 지난해에는 91만8556대를 판매해 1년 만에 2배 이상이 증가했다. 이외에 전기 버스 등의 상용차 판매 대수는 2023년 2128대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1만301대로 크게 늘었다. BYD의 사업은 크게 자동차와 핸드폰 조립 등의 분야로 나눌 수 있다. 2021년 자동차 분야의 매출 비중이 59.66%였지만, 지난해 79.45%까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체질 개선이 빠르게 이뤄진 것이다. 해외 판매도 좋아지고 있다. 2021년 BYD가 전체 매출 중 수출이 차지한 비중은 29.57%였다. 2022년 21.57%, 2023년 26.60%, 2024년 28.55%를 기록해 조금씩 성장하고 있다. 2023년 BYD가 판매한 전체 자동차(상용차 포함)는 302만4417대였고, 이중 해외 판매 대수는 24만2765대로 8.0%에 그쳤다. 지난해 자동차 총판매대수는 427만2145대였고, 이중 해외에 41만7204대를 판매해 해외 수출 비중은 9.8%를 차지했다. ‘Build Your Dream’…BYD는 왕촨푸 회장의 꿈BYD의 빠른 성장을 이끈 이는 1995년 BYD를 창업한 왕촨푸 회장이다. BYD는 ‘당신의 꿈을 이루어라’는 ‘Build Your Dream’의 약자다. 1995년 배터리 연구자 왕 회장은 일본이 장악하고 있는 배터리 업계에 도전하기 위해 충전식 배터리 기업 BYD를 창업했다. 시작은 미약했다. 휴대폰과 전동공구용 충전 배터리가 주력 사업이었다. 자동차 시장에 도전한 것은 2003년부터다. 전기차 친화적인 중국 정부와 거대한 내수 시장을 바탕으로 대중적인 전기차 시장을 만들어가기 시작했다. 왕 회장은 1966년 중국 안후이성 우웨이현의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1987년 중난공업대에서 금속 물리 화학 학사 학위를 받은 후 베이징 비철 연구소에서 석사 학위를 받고 정부 연구원이 되었다. 1995년 사촌 형에게 250만 위안을 빌려 BYD를 창업했다. BYD는 2002년 홍콩시장에 상장했고, 1년 후 쓰러져가던 국영 자동차 회사인 시안 친촨 자동차의 지분을 인수했다. 2004년 베이징 모터쇼에서 “배터리를 이용해 자동차 산업의 미래를 바꾸겠다”고 선언했고, 자신의 말이 옳다는 것을 증명했다. BYD는 2008년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를 상용화한 최초의 자동차 기업이라는 기록을 가지고 있다. 비록 상용화에 성공했지만 토요타 코롤라의 짝퉁이라는 비판을 받으면서 미국과 중국 등에서 인기를 얻지 못했다. 하지만 워런 버핏이 이끄는 글로벌 투자사 버크셔 해서웨이는 BYD의 미래를 높게 평가했다. 2008년 9월 BYD 주식 2억2500만주를 주당 8홍콩달러로 인수했고, 당시 보유한 지분은 20.49%에 달했다. 왕 회장은 워런 버핏의 지지를 받으면서 연구개발(R&D)에 집중하면서 11개의 R&D 센터를 설립하기도 했다. 이 외에도 태양광 패널·인쇄회로기판·반도체 등 전기차 관련 부품의 대부분을 생산할 수 있는 수직계열화 기업을 완성했다. 왕 회장이 전기차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낼 수 있던 또 다른 이유는 리튬 인산철(LFP) 배터리를 채택한 것이다. 전 세계 전기차 개발 기업들은 주행거리를 높이기 위해 대부분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를 채택했지만 왕 회장은 NCM 배터리보다 저렴하고 화재 위험이 적은 LFP 배터리를 채택했다. 이후 배터리 팩을 간소화하는 등 LFP 배터리의 단점을 개선하면서 전기차 제조 비용을 절감하는 데 성공했다.

2025.04.04 11:00

4분 소요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1781호 (2025.4.7~13)

이코노북 커버 이미지

1781호

Klout

Kl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