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할부금융사 자동차 임대 상품 오토리스 2차전… 오토리스 “법인 시장을 잡아라”
- 할부금융사 자동차 임대 상품 오토리스 2차전… 오토리스 “법인 시장을 잡아라”
해외 금융업체도 진출 여신금융업체들이 자동차 리스 사업을 시작한 것은 지난 2000년. 현대캐피탈이 처음으로 자동차 리스 상품을 내놓으며 시작됐다. 원래 할부금융업체들의 주요 사업 아이템은 주택·가전할부금융이었다. 그러나 주택할부금융은 은행권에, 가전할부금융은 신용카드업계에 주도권을 빼앗기면서 마땅한 사업 아이템이 없어 고전하고 있었다. 장귀성 여신금융협회 할부금융팀장은 “조달금리가 문제였다. 우량한 할부금융업체도 은행권과 비교하면 조달금리가 2~3% 이상 높아 경쟁력이 떨어졌다. 그래서 새롭게 눈을 돌린 것이 자동차 리스였다”고 설명했다. 할부금융업계가 고민 끝에 개발한 신규 사업 아이템이 바로 오토리스였던 것이다. 궁여지책으로 개발한 대안이었지만 오토리스는 효자 노릇을 톡톡히 했다. 기존 할부금융 고객들보다 오토리스 고객층의 경제력과 신용도가 높아 부실 우려가 적었기 때문이다.송승은 여신금융협회 리스신기술금융팀장은 “오토리스 고객들은 개인의 경우 주로 수입차를 이용하는 중산층 이상 전문직 고소득자들이고, 법인들은 국산차를 많이 이용하지만 아무래도 개인보다는 상대적으로 경제력이나 신용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전망 좋은 신규 아이템을 찾은 할부금융업체들은 일제히 오토리스 사업에 뛰어들었다. 현대캐피탈·삼성카드·대우캐피탈·스타리스·CNH캐피탈·산은캐피탈·한미캐피탈 등 어지간한 할부금융업체들은 모두 시행하고 있다. 현대캐피탈 같은 자동차업체 계열 할부금융사들은 계열사의 국산차와 수입차를 함께 취급한다. 자동차 관계사가 없는 할부금융사들은 수입차 위주로 사업을 한다. 오토리스 시장이 잘 된다는 소문에 외부에서 들어온 업체들도 여럿 있다. 하나은행은 코오롱그룹 계열사인 코오롱캐피탈 지분의 14.5%를 인수하고 2대 주주로 위탁경영을 맡으며 지난해 9월 오토리스 시장에 진출했다. 렌터카 사업을 하는 아주그룹은 지난 9월 아주오토리스를 설립했다. 해외금융업체들도 최근 1~2년 사이 잇따라 진출했다. 현대캐피탈과 제휴한 GE캐피털, GM 합작사인 GMAC캐피탈, 일본계 오릭스오토리싱코리아, CNH캐피탈과 제휴한 일본 스미쇼오토리스 등이 있다.업계에 따르면 2004년 수입차 오토리스 시장은 약 7,000억원 규모였다. 전체 오토리스 시장의 40% 규모다. 국산차는 소수의 자동차업체 계열 할부금융사들만 취급한다. 따라서 자동차 관계사가 없는 할부금융업체들은 수입차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많은 회사들이 오토리스 사업에 뛰어들었지만 결국 상품은 BMW·벤츠·렉서스 등 인기 있는 몇몇 수입차로 한정됐다.윤국일 대우캐피탈 과장은 “올해 수입차 신차 출시가 적어 차량 교체 수요가 함께 줄었다. 그래서 수입차 오토리스 시장이 더욱 힘들었다”고 말했다. 작은 시장에서 한정된 상품으로 사업을 하다보니 이 과정에서 출혈경쟁도 벌어졌다. 수입차에서 국산차로 확산 업계의 한 관계자는 “작은 시장에 많은 회사들이 뛰어들다보니 소수의 고소득자 고객들을 유치하려고 덤핑 공세를 하는 회사들이 늘어났다. 그래서 수입차 오토리스 운용금리가 2004년 초보다 3%쯤 하락했다”고 말했다.개인 대상 수입차 시장이 과열되자 대형사들을 중심으로 그동안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법인시장 개척에 눈을 돌리고 있다. 과거에 법인고객이 없었던 것은 아니었지만 개인고객에 비해 적극적으로 영업하지 않는 분위기였다. 이유는 법인이 주로 국산차를 이용했기 때문이었다. 개인이 주요 고객인 수입차 리스의 운용마진보다 국산차 리스 운용마진이 3%가량 낮아서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었던 것이다. 그러나 개인 대상 수입차 리스 시장에 경쟁이 격화되자 새로운 시장으로 가치가 올라가고 있다. 법인시장이 부각되면서 할부금융업체들은 차량 유지·관리 서비스에 특히 신경쓰고 있다. 정세종 삼성카드 팀장은 “기업들이 차를 빌리는 것은 차량 아웃소싱을 통해 차량 관리와 정비 등에 들어가는 인력과 비용, 시간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때문에 법인 대상 오토리스는 유지·관리 서비스가 필수”라고 말했다. 개인고객도 유지·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는 있지만 그만큼 자동차 임대 가격이 비싸지기 때문에 별로 인기가 없다. 업계에서는 개인시장은 포화상태지만 법인시장은 이제 시작이라 성장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현대캐피탈 영업팀 관계자는 “일본의 경우 법인 등록 차량이 700만대인데 그중 오토리스 차량이 240만대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법인 등록 차량 100만대 중에서 오토리스와 렌터카 등 장기 임대한 차량을 다 합해도 6~7만대 정도에 불과하다. 아직 개척의 여지가 많다”고 내다봤다. |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충청서 압승 거둔 이재명…득표율 88.15%(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어머니, 아버지 저 장가갑니다”…‘결혼’ 김종민 끝내 눈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충청서 압승 거둔 이재명…득표율 88.15%(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 명암] 투심 쏠린 토모큐브, 빅파마가 주목하는 까닭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