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NewsweekPlus

NewsweekPlus

Santa's Life Story 산타는 누구일까? Santa visits millions, but what do we really know about the guy? Gerry Bowler, author of the new ?anta Claus: A Biography,?talked to Elise Soukup about the !jolly old fellow. 매년 수백만 명이 산타의 방문을 받는다. 하지만 우리가 산타에 대해 얼마나 알까? 뉴스위크의 엘리스 수컵 기자가 ‘산타 클로스 자서전’을 쓴 게리 바울러로부터 !유쾌한 할아버지 산타에 관한 들어보았다. When was Santa ?orn? Santa Claus ?by that name, wearing the clothes he wears and with reindeer ?first shows up in 1821 in New York with the poem ?he Children? Friend.?산타는 언제 “태어났나?” 우리가 산타 클로스라고 부르는, 붉은색 옷을 입고 순록이 끄는 마차를 타는 할아버지는 1821년 뉴욕에서 ‘어린이들의 친구’라는 시로 첫선을 보였다. So he wasn? invented by Coke? No, but after seeing the Coke ads you can? think of Santa looking any other way. 그렇다면 코카콜라에서 만들지 않았다는 말인가? 아니다. 하지만 코카콜라 광고를 본 뒤에는 다른 산타를 생각할 수 없다. Santa has @hawked all sorts of things. He had some #vices. There? hardly a vice he didn? indulge! Cigarettes, of course, and alcohol. I?e heard it said that Santa will sell beer, but not the hard stuff. $Hardy-har ? found lots of Santa Scotch ads. 산타는 모든 상품들을 @선전해왔다. 좀 #나쁜 습관이 있다. 사실 산타가 그 모두에 집착하는 나쁜 버릇이 있다. 담배는 물론이고 술도 그렇다. 산타라면 맥주 정도를 선전하면 괜찮지만 독주는 안 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하하하! 산타 위스키 광고도 많다. He? also hit the big screen. What? the worst Santa movie? %For badness so bad that it is good, it is ?anta Claus Conquers the Martians.?That? really a genuine ^turkey. 영화에도 산타가 많이 등장했다. 최악의 산타 영화는? %가장 형편없는 영화라면 ‘산타 클로스가 화성인을 정복하다’였다. 진짜 완전한 ^실패작이었다. You conclude the book by saying Santa is ?ecessary.?Why? He represents an intergenerational act of love. For years, when children are at their sweetest and most grateful, parents &give credit to Santa Claus. It? remarkable. 저서의 결론이 산타가 ‘반드시 필요하다’인데 그 이유는? 산타는 세대간 사랑의 행위를 상징한다. 자녀가 가장 순수하고, 또 고마움을 가장 잘 아는 연령 동안 부모들은 선물을 주면서 산타가 &보내줬다고 말한다. 얼마나 대단한 일인가. Does Santa exist? Of course he does. *Who else eats the cookies? 산타가 실제로 존재하나? 확실히 존재한다. *아니면 누가 그 과자를 먹어치우겠는가. Seen, and Not Read 읽히지 않는 베스트셀러 There are the books we read, the books we mean to read, and then there are the ones ?(c?on, admit it ?that mainly just look impressive on the shelf. Take ? Brief History of Time? the classic has sold more than 10 million copies and is hailed as brilliant ?but good luck finding people who?e finished it. 사람들이 읽는 책이 있고, 읽으려고 마음먹는 책이 있다. 그런가 하면… (자, 그러지 말고 솔직히 인정하자… 주로 그냥 책꽂이에 꽂아둠으로써 근사하게 보이는 책이 있다. 예를 들면 ‘시간의 역사’ 같은 책이다. 스티븐 호킹의 베스트셀러인 이 책은 1000만 부 이상 팔렸고 정말 뛰어난 책이라는 찬사를 듣는다. 그러나 완독했다는 사람을 찾기란 하늘의 별 따기다. A recent study of 2,100 Brits found that more than a third of them buy certain titles solely to look intelligent ?a bit of statistical confirmation of ?ook )snobbism,?something long suspected in literary circles. ?t does ?ing true,?says Mark Tavani, an editor at Random House. ?ertain books will sell, and you?e left wondering, ?re people really reading this thing?掠 According to various members of the ?iterati, certain recent titles are notorious for having sales figures that ?elie their readability: Michael Faber? ?he Crimson Petal and the White,?Elizabeth Kostova? ?he Historian?and Zadie Smith? ?hite Teeth,?to name a few. 최근 영국인 2100명을 조사한 바에 따르면 그들 중 3분의 1 이상이 단순히 유식하게 보일 요량으로 특정 책을 구입한다. 지식층에서 오랫동안 의심해왔던 ‘도서 )속물주의’가 통계적으로 확인된 셈이다. “憫ㅈ?그러지 싶다”고 랜덤하우스의 편집자 마크 태버니가 말했다. “특정 책들은 팔리기는 하지만 ‘사람들이 정말 이런 책을 읽나’라고 의아심을 떨치지 못하겠다.” 여러 蚌컥湄涌?따르면 최근의 특정 책들은 가독성이 昺낼沮測쨉Ⅵ?희한하게 판매는 잘 되기로 유명하다. 마이클 페이버의 ‘진홍색 꽃잎과 흰색’, 엘리자베스 코스토바의 ‘히스토리언’, 그리고 제이디 스미스의 ‘하얀 이’ 등이 대표적이다. Arundhati Roy? ?he God of Small Things,?said one top editor, who did not want to criticize a competitor? book on the record, ?s a total ?marty-pants buy. Some people definitely found it to be a very beautiful book, but the large majority of people bought it just because it was the thing to buy.?The good news, perhaps, is that at least people are still buying books. NICK SUMMERS 아룬다티 로이의 ‘작은 것들의 신’은 “鳧參?체하는 사람들이 사는 책의 대표격”이라고 한 유명한 편집자가 말했다. 그 편집자는 공개적으로 경쟁업체의 책을 비판하고 싶지 않다며 익명을 요구했다. “물론 일부 사람들은 그것이 실제로 아름다운 책이라고 생각했지만 대다수 사람은 그저 사야 할 책이기 때문에 구입했다.” 어쩌면 사람들이 아직도 책을 구입한다는 사실만이라도 다행이다. Why is there a string of numbers on the copyright page of a book? 책의 판권란에 일련의 숫자가 있는 이유는? While you shouldn? judge a book by its cover, you might judge its value by the string of numbers on the copyright page. Some publishers use this number line to indicate the print edition. The series is often at the bottom of the page, and typically goes from one to 10. The lowest number, regardless of the order, indicates which edition it is. While there are exceptions, if there? a one in the list, then it? probably a first edition. Meaning: open those old books in the attic. A first printing of a classic like ?one With the Wind?can be worth thousands. ANNE TAULANE 책을 표지로 판단해서는 안 된다. 그러나 책의 가치를 판권란에 인쇄된 일련의 번호로 판단해도 좋을지 모른다. 일부 출판사들은 판쇄를 표시하려고 이 숫자를 사용한다. 숫자들은 주로 페이지의 하단에 위치하며 1에서 10까지의 숫자로 구성된다. 순서에 관계없이 가장 낮은 숫자는 몇쇄째인지를 나타내다. 예외가 없지 않지만 숫자 1이 있으면 초판일 가능성이 높다. 다시 말해 다락방에 처박아 둔 오래된 책들을 그냥 두지 말고 올라가서 펼쳐보라는 얘기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같은 고전의 초판은 수천 달러나 나갈지 모른다. Getting Your Body (And Soul) Wired 이제는 우리 몸이 전기 회로 By Kay Itoi In his !gadget-filled office at Tokyo Medical and Dental University, Prof. Kohji Mitsubayashi tells a visitor to touch a transmitter with one hand and a receiver with another. Voila! A @jaunty TV jingle blares from a pair of attached speakers. Surprised, the visitor releases both gadgets, and the music stops. The simplicity and strangeness of becoming a human circuit ?with electrical signals coursing through one? body from #fingertip to fingertip ?is so fascinating that visitors usually repeat the act. ?un, isn? it??says Mitsubayashi, grinning. 미쓰바야시 고지 교수는 온갖 !기계장치로 가득한 도쿄의치과대학의 연구실을 찾은 방문객에게 한 손으로는 송신기를, 다른 손으로는 수신기를 만져보라고 말했다. 짜잔! 거기에 부착된 한 쌍의 스피커에서 @유쾌한 TV 광고음악이 울려 나왔다. 방문객이 놀라 송신기와 수신기를 놓아 버리자 음악이 멈췄다. #한 손가락 끝에서 다른 손가락 끝으로 사람의 몸을 통과하는 전기신호를 통해 인간이 하나의 회로가 된다. 신기하면서도 너무 간단한 원리에 방문객들은 아주 재미있어 하면서 그런 행동을 반복한다. “재미있죠?”라며 미쓰바야시는 빙그레 웃는다. Not just fun. Japan is $abuzz over the potential of such body-based technology as the ultimate wireless networking tool. A string of Japanese companies are experimenting with systems that use the human body to %conduct electricity ?some manipulating weak currents that pass through the skin itself (as body-fat scales do), others taking advantage of electrical fields on the surface of the body. Associated products are on the way. The question is whether this represents a ^paradigm shift in the way we think about wires. 재미뿐만이 아니다. 현재 일본은 최상의 무선 네트워크 도구로서 이 같은 신체 기반 기술의 잠재력을 두고 $떠들썩하다. 몇몇 일본 기업은 인간의 몸을 사용해 %전기가 통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실험 중이다. 일부 기술은 체지방 저울처럼 피부 자체를 통과하는 미약한 전류를 조종한다. 또 어떤 기술은 신체 표면의 전기장을 이용한다. 관련 상품도 개발 중이다. 문제는 신체 기반 기술이 그동안 우리가 전선을 생각해온 방식에 ^일대 전환을 의미하느냐다. Sending electrical signals through the body has several advantages over existing wireless systems like &Bluetooth and Wi-Fi. For one thing, it? *intuitive by nature and doesn? require complicated setup. It is also more secure because the signals can only be intercepted through touch, unlike Bluetooth, which produces stray signals. Last year Matsushita Electric Works released an electric scale, the first (appliance based on so-called touch technology. Food trays were embedded with tiny chips that, when touched by a salesclerk, transmitted the price per gram through his or her fingers to a wristwatchlike device. As the clerk weighed the salad, the scale used that data to compute the price of the order. Telecom giant NTT has gone one step further, developing devices that create tiny electric fields on the surface of the skin. That means, for instance, that someone wearing a wireless earpiece could use a cell phone that? )stashed in his pocket, rather than held in hand (similar to Bluetooth earpieces now). 몸을 통해 전기신호를 보내면 &블루투스와 Wi-Fi(무선 랜 표준) 같은 현재의 무선 시스템을 능가하는 여러 가지 장점이 따른다. 우선 인간 본연의 *직관을 활용할 수 있고 복잡한 설치과정이 필요하지 않다. 자칫 신호가 빗나가기도 하는 블루투스와 다르게, 접촉을 통해 신호를 포착하기 때문에 안전성도 높다. 지난해 마쓰시타 일렉트릭 워크스는 소위 접촉 기술을 이용한 최초의 (제품으로 전기저울을 출시했다. 작은 칩이 내장된 음식 쟁반을 점원이 건드리면 손가락을 타고 g당 가격이 손목시계 비슷한 장치로 전달된다. 점원이 샐러드 무게를 달면 저울은 그 자료를 이용해 가격을 계산한다. 텔레콤 거물기업 NTT는 한 단계 더 나아가 피부 표면에 자그마한 전기장(電氣場)을 생성하는 장치를 개발했다. 다시 말해 무선 이어폰을 착용한 사람이 전화기를 손에 들지 않고도 주머니 속에 )넣어둔 휴대전화를 쓰게 된다는 의미다(현재의 블루투스 이어폰과 유사하다). Mitsubayashi and Kaiser Technologies, a small venture in Kanagawa, south of Tokyo, have developed similar technology that they claim is much cheaper. Both systems boast high ?andwidth, enough to handle moving pictures. 미쓰바야시와 도쿄 남부 가나가와(神奈川)현의 소규모 벤처기업 카이저 테크놀로지스도 유사 기술을 개발했다. 모두 마쓰시타나 NTT의 경우보다 비용이 더 저렴하다고 주장한다. 양 시스템 모두 동영상 처리가 가능한 높은 憫齡캬?대역을 사용한다. Further possible applications abound. NTT has made a protoype of a medicine bottle that, when picked up, prompt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n your purse to beep a warning about possible ?ide effects. Another device, which could be mounted on a wristwatch or a cell phone, could open doors automatically by transmitting an ID code through the skin to a receiver embedded in the doorknob. 그 외에도 가능성 있는 응용 상품들이 풍부하다. NTT는 약병 원형을 하나 만들었다. 이 병을 손에 쥐면 가방 속에 들어있는 개인용 디지털 보조장치가 가능한 舫括謗肉?대한 경고음을 낸다. 또 손목시계나 휴대전화 등에 장착이 가능한 또 다른 장치는 피부를 통해 문고리에 내장된 수신기로 신원정보를 전달해 문을 자동으로 열어준다. Why aren? companies already churning out these ?ee-whiz gadgets? One major reason is that Japan already boasts remarkably convenient technology. For instance, touch technology could enable ticket gates at train stations that, with one flick of a finger, automatically charge a passenger? credit or debit card. But many Japanese already carry ?adio-frequency ID cards that allow them fast, cashless entry. The real ?iller app for such technologies may be in the medical industry, says Mitsubayashi. A patient who needs constant monitoring is often connected to devices with multiple, uncomfortable cables. With touch technology, he could wear a sensor on his finger and have a small terminal in his pajama pocket, which could collect data (body temperature, heart rate, etc.) without all the wires. ?his can liberate people with health problems,?says Mitsubayashi, who? working with interested companies in the field. ?n an aging society, it? very important.?Not to mention very cool. 그렇다면 기업들은 이토록 屛錚璨?장치들을 왜 대량생산하지 않는가? 한 가지 큰 이유는 일본에는 그것 말고도 편의성이 아주 뛰어난 기술들이 이미 상용화돼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전철역 개찰구에 접촉기술을 사용한다면 손가락 하나만 갖다대도 탑승객의 신용카드나 직불카드로 요금이 자동 부과되도록 만들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일본 승객들은 이미 赴ゼ?신분증을 이용해 현금 없이도 신속히 개찰을 한다. 실제로 이런 기술을 탑재한 伺怜瓚?응용 제품이 등장할 분야는 바로 의료업계라고 미쓰바야시는 말했다. 지속적 관찰이 필요한 환자는 성가신 전선들이 줄줄이 붙은 기계장치를 달아야 한다. 그러나 접촉기술을 이용하면 손가락 끝에 감지기를 달고 환자복 주머니 안에 소형 단말기 한 대를 넣어둠으로써 그 모든 전선들 없이도 필요한 자료(체온, 맥박수 등) 수집이 가능하다. “이 기술로 건강 걱정에서 해방될지 모른다”고 해당 업계의 기업들과 공동 연구를 수행하는 미쓰바야시는 말했다. “고령화 사회에서는 아주 중요한 문제다.” 아주 멋지다는 사실은 말할 필요도 없다. Shedding Light on a Literacy Problem 문맹을 퇴치하는킨카주 프로젝터 Most adults in Mali can? read. The adult !illiteracy rate is 80 percent, and for women in rural areas the rate jumps to 90 percent. But now, engineering students with Design that Matters, an MIT-based nonprofit, are literally @shedding light on the issue with something they call Kinkajou, a solar-powered projector that can shoot an image up to three yards onto any flat surface. ?here is a lot of excitement about it,?says Jill Harmsworth, vice president of the Africa program for World Education, a nonprofit running literacy classes in Mali, where the product? been tested throughout the year. ?ften there would only be a single light bulb and the women could barely see their books. [Kinkajou] has made people eager to come to class.?The U.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has noticed. It? #bankrolling an effort to take Kinkajous (named after an animal with exceptional night vision) to 1,500 more classes worldwide by the end of the year ?and to 15,000 more by 2009. On this scale, it costs just $50 to make the projector and $12 to make a spool of film, which can store up to 10,000 pages of text. Entire $reference libraries can now be transported cheaply and easily. In designing the product, the MIT students had an %unlikely inspiration: Fisher-Price? toy projector, which they found to be the most ^battle-tested model around. ?hen you design things for kids, they have to be &bombproof,?says Tim Prestero, cofounder of Design that Matters. To *withstand the conditions of the Sahara, the Kinkajou, like the toy projector, has seven plastic lenses instead of a single fragile one. The final product is tough ?and it? lightening the (load for thousands worldwide. JESSICA SILVER-GREENBERG 말리의 대다수 성인들은 글을 읽지 못한다. 성인 !문맹률이 80%다. 농촌 지역 여성들의 문맹률은 90%에 이른다. 그러나 이제 미국 매사추세츠 공대에 있는 비영리기구 ‘의미 있는 디자인’ 소속 공학도들이 ‘킨카주’라고 부르는 장치는 문맹 문제에 말 그대로 @서광을 비춘다. 킨카주는 태양열로 가동되는 프로젝터로 약 2.7m의 거리에 있는 어떤 평면에나 선명한 이미지를 비춘다. “열기가 뜨겁다”고 말리에서 글을 가르치는 비영리기구 ‘세계 교육을 위한 아프리카 프로그램’의 부회장 질 함스워스가 말했다. 말리에서는 그 장치가 지난 1년간 시험사용됐다. “전등이 하나뿐인 경우가 많고 여성들은 어두워 거의 책을 볼 수 없다. 그러나 킨카주는 사람들의 수업 참여 의욕을 크게 높인다.” 미 국제개발처(AID)가 그런 사실에 주목했다. AID는 올해 말까지 전 세계 1500군데 교실에 추가로 킨카주(야간 시력이 뛰어난 동물의 이름을 땄다)를 보급하는 사업에 #자금을 댔다. 2009년까지는 1만5000군데의 교실에 추가로 그 장치를 공급할 계획이다. 이 정도 대량 제작을 하면 프로젝터를 만드는데 50달러, 최대 문서 1만 쪽을 저장하는 필름 릴을 만드는 데 12달러면 족하다. $참고서 전체도 필름에 담으면 저렴한 비용으로 쉽게 운반할 수 있다. MIT 학생들은 %엉뚱한 물건에 착안해 이 장치를 고안했다. 피셔-프라이스의 장난감 프로젝터였다. 학생들은 그 장치가 가장 ^험한 환경에서 검증된 모델이라는 사실을 알았다. “어린이용품을 만들 때는 &어떤 상황에서도 끄떡없어야 한다”고 ‘의미 있는 디자인’의 공동설립자 팀 프레스테로가 말했다. 장난감 프로젝터처럼 사하라 사막의 기후 조건을 *견뎌내도록 킨카주는 연약한 렌즈 하나가 아니라 튼튼한 플라스틱 렌즈 7개를 장착했다. 최종 제품은 아주 강인하다. 동시에 전 세계 문맹자 수천 명의 (심적 부담도 덜어준다. Coffee's Hidden Health Perks 커피의 알려지지 않은 이점 The main source of antioxidants in most American diets isn? fruit or vegetables but coffee, according to new findings released at the annual convention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in Washington. For the study Joe Vinson, a chemistry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Scranton in Pennsylvania, and his colleagues analyzed the antioxidant content of more than 100 of the country? most popular beverages and foods, including vegetables, fruits, nuts and teas. The antioxidant data was then compared to a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database to measure the estimated U.S. per capita consumption of each food. The researchers found that average adults consume 1,299 milligrams of antioxidants every day from coffee ?far more than they get from any other item in their daily diet (and four times more than they get from black tea, which was second on the list). Antioxidants are vitamins and minerals that help prevent oxidation, a process that may cause damage to cells. Antioxidants have been shown to help boost the body? immune functions and lower risks of heart disease and cancer, among other health benefits. 미국인들은 대개 과일이나 채소가 아니라 커피에서 항산화제를 가장 많이 섭취한다. 워싱턴의 미국화학학회 연례대회에서 발표된 최신 논문의 요지다. 이 연구를 위해 펜실베이니아주 스크랜턴대의 화학교수 조 빈슨과 동료들은 채소·과일·견과류·차를 포함해 미국인들이 선호하는 음료와 식품 100가지 이상의 항산화제 함유량을 분석했다. 그 자료를 미국 농무부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해 각 식품의 개인당 소비량을 추정했다. 그 결과 미국 성인은 평균적으로 매일 커피에서 항산화제 1299mg을 섭취한다는 결론이 나왔다. 일상적인 식단의 다른 식품에서 얻는 양보다 훨씬 많다(2위인 홍차에서 얻는 항산화제량의 4배나 됐다). 항산화제는 세포 손상의 주범인 산화작용을 막는데 도움이 되는 비타민과 미네랄을 말한다. 항산화제는 다른 건강상 혜택도 많지만 특히 면역기능을 높이고 심장병과 암에 걸릴 확률을 낮추는 데 효과가 있다고 밝혀졌다. Key Word of The Week Bush Bubble 지름 550㎞의 괴비행체가 워싱턴 상공에 나타난다. 비행체가 내뿜는 엄청난 불기둥은 백악관은 물론 뉴욕의 초고층 빌딩까지 순식간에 초토화한다. 급기야 공군 조종사 출신의 ‘지구방위 총사령관’(미국 대통령) 주도 아래 반격이 시작되지만 번번이 실패한다. 이때 돌연 과학자 한 명(제프 골드블럼)이 나서 말한다. “I found out there’s a protective shield surrounding the aircraft.” 어떤 공격을 해도 비행체를 감싼 보호막 때문에 효과가 없다는 말이다. 과학자는 바이러스를 이용해 보호막을 뚫는 방법을 찾아내고, 지구엔 다시 평화가 찾아든다. 1996년 국내에서도 개봉된 영화 ‘인디펜던스 데이’(윌 스미스 주연)의 줄거리다. 새해엔 지구에 평화가 찾아올까? 조지 W 부시 미 대통령이 ‘지구방위대장’으로 있는 한은 어려울지 모른다. 아버지 덕에 용케도 베트남전 참전을 피해 1970년대 초 앨라배마주에서 공군 주방위군으로 복무하던 당시 부시의 별명은 ‘텍사스식 수플레’(The Texas Souffle)였다. 수플레란 달걀 흰자위에 우유를 섞어 거품을 내 구운 요리다. 수시로 고개를 드는 거만함, 시도 때도 없는 허풍, 의기양양한 특권의식을 비꼬며 당시 앨라배마주 공화당 인사들이 붙여준 별명이다. 텍사스주 명문가 출신 신분에서 생겨나는 ‘거품’, 이른바 ‘부시 버블’(Bush Bubble)의 초기 형태다. ‘부시 버블’이란 말이 등장한 시기는 9·11 사태 발생 1년 반 뒤인 2003년 3월 이라크 침공 이후인 듯싶다. 주변의 이견과 반대엔 아랑곳하지 않고 밀어붙이는 저돌적 스타일 때문에 진보진영 논객들이 즐겨 쓴 표현이다. ‘부시 버블’이란 말엔 ‘거품’과 자신만의 세계에 틀어박히게 하는 ‘보호막’의 두 가지 뜻이 있다. 여기서 보호막은 부시를 미 현대사에서 가장 고립되고, 독선적인 대통령으로 몰고가는 모든 이념과 가치관, 그리고 측근들을 가리킨다. 바로 그런 측근들이 부시를 과잉 보호한다. 좋은 예가 있다. 5월 초 유럽 순방 길에 오른 부시는 네덜란드의 한 대학에서 학생들에게서 질문을 받았다. 그러나 각본에 없는 한 학생이 갑자기 이라크전의 대가를 묻자 보좌관들은 취재진을 홀에서 내몰았다. 불편한 질문에 부시가 난처한 반응을 보이는 상황을 미리 막으려는 취지였다. 이처럼 남에게 자신을 열면 약점이 노출되고, 약점은 피해망상을 부르며, 피해망상은 더 많은 약점을 낳는 악순환이 되풀이된다. 따라서 보호막 속에 갇힌 자들은 한층 강화된 비밀주의·복종·통제를 향해 달려가게 된다. 이런 부시에게 변화 조짐이 보인다는 보도가 나왔다. 자기만의 세계에 갇혀 있다는 이미지를 떨쳐내려 한다는 얘기다. 예컨대 온건파의 아성인 외교평의회에도 나가 연설하고, 민주당 지도자들과도 만난다. 심지어 지난주엔 이라크전 개전의 책임이 자신에게도 일부 있음을 인정하는 듯한 발언도 했다. 그러나 자신을 둘러싼 이념과 정서의 두꺼운 버블을 뚫기란 결코 쉽지 않을지 모른다. 40대 초 술을 끊었을 때처럼 독하게 마음먹지 않는다면 말이다(뉴스위크 한국판 2005년 12월 21일 커버스토리 18쪽). 강태욱 tkang@joongang.co.kr Tech Trash, E-Waste: By Any Name, It's an Issue 넘쳐나는 전자쓰레기 어떻게 하나 By Brad Stone 이번 연말연시에 미국 소비자들은 비디오게임기, MP3 재생기, 디지털 카메라, 컴퓨터 등을 수백만 대 구입했다. 이런 구매 열기는 소매상들과 첨단기술 업계, 그리고 미국 경제에 호재다. 그러나 환경 면으로는 재난을 부를 가능성이 크다. 결과적으로 대다수 소비자는 낡아 못쓰게 된 기기들을 매립지에 보낸다. 매립지에 묻힌 회로판과 PC 모니터는 썩어가면서 수은·납·크롬 같은 독성물질을 내뿜을 가능성이 있다. Remember when recycling just meant putting aluminum cans in the blue bin? For lawmakers, environmentalists and retailers today, recycling means solving the !quandary known as @e-waste. The EPA estimates that Americans discard 2 million tons of tech trash each year; U.S. homes and businesses alone dispose of 133,000 PCs each day, according to research firm Gartner. While the EPA considers only old #cathode-ray-tube TVs and PC screens to be $hazardous, devices like printers have failed toxicity tests in states with more-%stringent standards, like California, which is set next February to make it illegal to dump any kind of tech waste in ^landfills. ?hat consumers maybe don? recognize, and what public-health officials are finally starting to recognize, is that all electronic devices, not just computer monitors and televisions, contain hazardous levels of toxic material,?says Mark Murray, of Californians Against Waste. HP와 델 같은 몇몇 첨단기술 기업들은 이미 자사의 전자폐기물을 수거하겠다고 나섰다. 그러나 기업들이 진정으로 우려하는 바는 미국 각주의 법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외국 상품과의 경쟁에서 불리하다는 점이다. 현재 3개 주가 전자폐기물 규정을 시행하지만 서로 약간 다르다. 캘리포니아주는 모든 새로운 기술제품의 구매가에 재활용 수수료를 부과한다. 메인주와 메릴랜드주는 2006년 1월부터 제조업체들이 소비자에게 수수료를 부과하지 않고 자사 폐품을 수거하도록 의무화한다. 나머지 수십개 주와 심지어 뉴욕시 같은 도시들도 나름대로 전자폐기물 재활용법 제정을 고려 중이다. 첨단기술 업계 권익단체인 미국 전자산업협회의 환경문제 담당 이사인 릭 고스는 “미국 내 주와 지방 정부의 상충하는 법이 빚어내는 혼란 때문에 법에 맞추는 데 따르는 비용만 증가할 뿐이며 그 비용은 궁극적으로 소비자에게 고스란히 전가된다”고 말했다. The industry prefers a single, federal bill, like the European Union laws that &go into effect next year requiring tech companies to *take back their products and reduce the amount of hazardous materials they use.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held hearings on the issue in July -- but few expect new legislation from a Congress that would view such a law as a new tax on companies. So in most parts of the country this holiday season, it will be up to consumers to find (credentialed recyclers. )Think of it as a gift to Mother Nature.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태영건설, 다음달 사채권자집회 소집…만기연장·출자전환 논의

2105→55층으로 변경...현대차그룹, 새로운 GBC 공개

3GC녹십자, 산필리포증후군 치료제 美 1상 IND 승인

4양종희 KB금융 회장 “블랙스톤과 해외시장에서 투자기회 적극 발굴”

5SK증권, 캄보디아 수력발전 댐 건설 사업 지원 검토

6NH농협생명, FC‧DM채널 연도대상 시상식 개최

7대한항공, 혁신기술 적용 ‘인공지능컨택센터’ 세운다

8IBK기업은행, 글로벌 ESG 활동을 위해 임직원 자원봉사단 파견

9한국투자證, 뉴욕에서 'KIS 나잇' IR행사 개최

실시간 뉴스

1태영건설, 다음달 사채권자집회 소집…만기연장·출자전환 논의

2105→55층으로 변경...현대차그룹, 새로운 GBC 공개

3GC녹십자, 산필리포증후군 치료제 美 1상 IND 승인

4양종희 KB금융 회장 “블랙스톤과 해외시장에서 투자기회 적극 발굴”

5SK증권, 캄보디아 수력발전 댐 건설 사업 지원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