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위크 플러스 2010 · 2 · 3
재미 있는 문장 도해
What Makes a Sentence Tick?
.
Answer1 I’ll send you a copy of the report. 리포트 복사본을 보내주겠다.
2 She felt it her duty to help me. 그녀는 나를 돕는 게 자신의 의무라고 느꼈다.
의미 단위로 분리해서 전체 뜻을 순차적으로 파악하자
Chunk and Chew!(뉴스위크 한국판 2010년 1월 27일자 13쪽 Perspectives 참조)
직독직해의 지름길 중 하나는 문장을 각각의 단어가 아니라 하나의 의미를 가진 덩어리로 파악한 다음, 그것을 다시 합쳐 전체 의미를 파악하는 연습이다. 따라서 단어를 하나하나 떼어서 읽지 말고 하나의 의미를 가진 덩어리로 묶어서 읽자. 이런 ‘의미 단위(thought units/groups)’를 ‘chunk’라고 한다. ‘전체를 구성하는 작은 덩어리’라는 뜻이다. 말을 하거나 글을 쓸 때도 개별 단어를 연결시켜 문장을 만들기보다는 chunk를 사용해 의사를 전달한다.
Chunk로 영문을 파악하는 연습을 하면 읽기의 유창성이 길러지며, 문장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단어를 전체 의미와 연결해서 파악하는 일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Chunk는 처음에는 작은 단위로 나눠도 무방하지만 유창성이 길러지면 확대해서 더 큰 덩어리로 읽게 된다.
예를 들어 다음 문장을 chunking해 보자. 의미 단위로 떼어 읽어 보자는 뜻이다.
Suzan left school early because she felt sick, but her mother brought her back because she had forgotten her English book.
슬래시(/)로 chunk를 표시하면 이렇다.
Suzan left school early / because she felt sick,// but her mother brought her back / because she had forgotten / her English book.
이제 이 문장의 의미를 chunk를 기초로 순차적으로 파악해보자.
Exercise 1 다음의 항목이 의미 있는 문장이 되도록 철자 사이를 띠어 보자.
1 That’sverytroublesome.
2 It’stheTalibanI’mafraidof.
3 Googlehasfiredanarrowandtheyknowtheycan’ttakeitback.
4 Ihavebeenthroughcoupsd’etat,revolution,civilwar, andneverbeensoterrifiedinmylife.
Answers1 That’s very troublesome.
2 It’s the Taliban I’m afraid of.
3 Google has fired an arrow and they know they can’t take it back.
4 I have been through coups d’etat, revolution, civil war, and never been so terrified in my life.
Notes • troublesome 골칫거리인
• fire 쏘다, 발사하다
• take back 돌려받다, 철회하다( = retract)
• coup d’etat 쿠데타, 무력정변
• civil war 내란, 내전
• terrified 깜짝 놀란, 겁먹은
Exercise 2 그 다음 각 문장을 의미 단위로 나눠 슬래시로 표시한 뒤 소리 내어 읽으면서 의미를 파악해 보자. 앞에서 익힌 문장 도해도 같이 해 보자.
Answers 1 That’s /very troublesome. 아주 골치아프다 → 무엇이? → 그게 (“그거 참 문제네요.”
- 골드먼삭스 CEO가 금융위기 발발 당시 자사의 주택저당증권이 타당성 있는 상품인지 알지 못했다고 인정하자 필립 안젤리데스 미 금융위기조사위원회 의장이 한 말이다.)
.
Answers 1.c 2.b 3.b 4.c
구글 VS. 중국 거인들의 전쟁
CLASH OF THE TITANS(뉴스위크 영문판 1월 25일자 33쪽, 한국판 1월 27일자 39쪽에서 발췌)
영문기사에 자주 등장하는 접속사 whether는 명사절과 부사절을 모두 끌기 때문에 간혹 헷갈릴 때가 있다. 따라서 이번 주에는 구글과 중국 정부의 힘겨루기를 다룬 지난 주 뉴스위크 영문판 커버스토리 통해 whether의 용도를 제대로 파악해 보자.
The renewed centrality of the state / has empowered the state / in the economy, / a phenomenon / that has accelerated over the past year / as China spent 12.3 percent of GDP / on its fiscal stimulus. Whether Beijing’s actions / —toward Google, other Western companies and countries, and the Obama administration— / are part of a new strategy / remains to be seen.
Clues•주부 The renewed centrality of the state (국가가 다시 중심이 되면서)
•그 결과 어떻게 됐는데? has empowered the state in the economy (경제에서 국가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졌다)
•어떤 과정에서? as China spent 12.3 percent of GDP (중국이 GDP의 12.3%를 쓰는 과정에서)
•어디에 썼는데? on its fiscal stimulus. (경기부양에)
•주부 Whether Beijing’s actions (중국 정부의 행동이)
접속사 whether가 나올 때는 우선 이것이 명사절을 이끄는지, 아니면 부사절을 이끄는지를 파악하는데 유의하자. 이 문장에서는 여기까지 읽고서는 파악이 어렵기 때문에 미리 그 점을 염두에 두고 읽어가면서 그 용법을 살펴야 한다.
•무엇을 향한 행동? —toward Google, other Western companies and countries, and the Obama administration— (구글을 비롯한 서방 기업과 국가, 그리고 오바마 행정부를 향한) Beijing’s actions를 받는 동사가 나오기 전에 긴 삽입구가 먼저 나왔다.
•이들을 대하는 중국 정부의 행동이 어떤데? are part of a new strategy (새로운 전략의 일환인지는)
•어떤데? remains to be seen. (더 두고 봐야 한다)
긴 삽입구 때문에 동사가 한참 뒤에 나왔지만 이 remains를 보는 순간 문장 맨 앞의 whether가 명사절을 끄는 접속사임을 알아차려야 한다.
Google CEO Eric Schmidt argues / that limit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cannot produce / the kind of economic growth, creativity, and productivity / that China seeks in the long run. But whether or not that is true, / one thing is becoming clear: / while the Internet is changing China, / China is also changing the Internet. And while globalization has shaped China, / China is also shaping globalization.
Clues •주부 Google CEO Eric Schmidt argues (구글 CEO 에릭 슈미트는 주장한다)
•뭐라고 주장하는데? that limit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cannot produce (정보와 소통을 규제하면 이루지 못한다고)
•무엇을 못 이루는데? the kind of economic growth, creativity, and productivity (그런 종류의 경제성장, 창의성, 생산성을) the kind를 보는 순간 좀 더 구체적인 설명이 이어질 거라고 짐작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어떤 경제성장과 창의성과 생산성? that China seeks in the long run.(중국이 장기적으로 추구하는)
•부사절 But whether or not that is true, (그러나 그것이 사실이든, 아니든 간에)
여기 나오는 whether는 첫 예문과 달리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다. 왜냐하면 그 다음에 콤마가 나오고 이 문장의 주어인 one thing이 곧바로 나오기 때문이다. whether가 부사절을 이끌 때는 항상 그 부사절의 끝에 콤마가 붙는다는 점에 유의하자. Ex. Whether or not it rains, I’ll play tennis tomorrow. (비가 오든 안 오든 내일 테니스를 치겠다)
•주부 one thing is becoming clear: (한 가지는 분명하다) clear 다음에 나오는 콜론은 one thing이 가리키는 내용의 설명이 곧 이어진다는 표시다.
•그 한 가지가 뭔데? while the Internet is changing China, (인터넷이 중국을 변화시키지만)
•그렇지만? China is also changing the Internet. (중국도 인터넷을 변화시킨다는 점이다)
•또? And while globalization has shaped China, (세계화가 중국을 변화시켰지만)
•그렇지만? China is also shaping globalization. (중국도 세계화를 변화시킨다는 점이다)
공항 알몸 투시에 문제 있다
An Image Problem(뉴스위크 한국판 2010년 1월 27일자 60쪽 MY TURN 참조)
JASON CHAFFETZ
①Since being elected to the U.S. House of Representatives a year ago, I have boarded an airplane twice weekly to commute between my Utah congressional district and my office in Washington, D.C. Each time, like every other passenger, I stand in line to pass through security, remove my jacket and shoes, take out my computer, and pass through a metal detector.
②Early last year Salt Lake City International Airport began testing a new device called a whole-body-imaging (WBI) scanner. The process seemed simple enough: people pass through the scanner with their arms above their heads, then wait a few seconds while a screener reviews the image. Last spring I met with the Transportation Security Administration in Utah to find out more about it. I had seen some of the images in news stories and on television—but, as I learned, there’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two-inch image in the newspaper and the one the TSA sees on an oversize screen. As I looked at those detailed images, I imagined my wife and children having to pass through that scanner.
③I resolved that no one should be forced to expose their body to total strangers to secure an airplane.
Interpretation 밑줄친 부분을 의미 단위로 나눠 순차적으로 뜻을 파악해 보자.1 Since being elected / to the U.S. House of Representatives / a year ago, // I have boarded an airplane / twice weekly / to commute / between my Utah congressional district and my office in Washington,
D.C. 비행기를 탄다 → 얼마나 자주? → 1주일에 두 번씩 → 왜? → 유타의 내 지역구와 워싱턴의 내 사무실 사이를 오가려고 → 언제부터? → 1년 전 미 하원의원에 선출된 뒤부터
2 Early last year / Salt Lake City International Airport / began testing a new device / called a whole-body-imaging (WBI) scanner.
솔트레이크 시티 국제공항이 시험하기 시작했다 → 무엇을? → 새 장치를 → 어떤 새 장치? → 전신 투시 스캐너라는 새 장치를 → 언제? → 지난해 초
3 I resolved / that no one should be forced / to expose their body / to total strangers / to secure an airplane.
이 문장을 도해하면 이런 그림이 나온다. 나는 결심했다 → 무엇을? → 아무도 강요 받아선 안 된다고 → 무엇을 강요 받나? → 자신의 몸을 생면부지의 사람에게 드러내는 일을 → 왜 드러내야 하나? → 항공기 안전을 확보하려고
2 What made him decide that no one should be forced to expose their body to total strangers to secure an airplane?
3 Why did he refuse to pass through the WBI line in Salt Lake City International Airport last September?
Grasping the Main Idea 각 단락의 요지를 말해 보자.단락 1 연방 하원의원으로 주 2회 비행기로 보안 검색을 받는다.
단락 2 공항에 도입된 전신 투시(WBI) 검색은 신체 부위를 적나라하게 드러내 사생활을 침해한다.
단락 3 머지않아 모든 탑승객이 예외 없이 WBI 검색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 걱정된다.
Writing Skills 에세이에서는 개인적인 경험을 예로 들어 주장을 전개해야 설득력이 있다.
도입부에서 자주(twice weekly) 비행기를 타며 보안 검색을 받는다고 개인적인 이야기로 글을 풀어가며 무슨 주장을 펴려는지 짐작하게 만든다. 자신의 주장은 둘째 단락 마지막 문장에 나온다(no one should be forced to expose their body to total strangers to secure an airplane). 셋째 단락은 다시 자신이 겪은 인상 깊은 경험을 소개하면서 주장을 보강하는 내용이다. 이런 단계적 전개 방식을 잘 활용해 보자.
clues for Careful Reading 질문의 답1 신문에는 커봤자 좌우 5cm 정도이지만 공항 검색요원이 보는 화면에서는 실물보다 더 크게 확대되기 때문이다.
2 검색 요원들이 보는 실제 화면에서 전신 투시 사진을 보고는 가족들이 그런 일을 당할 경우를 생각해 보니 아찔했다.
3 유타주에선 WBI 검색이 선택 사안이기 때문이었다.
That’s why, even prior to this incident, I proposed an amendment limiting the use of WBI scanners—passengers would have to go through them only if secondary screening was required. The amendment passed overwhelmingly in the House, where more than 300 of my colleagues on both sides of the aisle supported it (the measure has not yet been brought up in the Senate). Now, after the attempted bombing on Christmas, there is a rush to implement the WBI method at airports; last week it was reported that transportation security officials are talking to scanner manufacturers about increasing production. But if we could all see the full-size images that TSA screeners see, many would think twice about surrendering privacy.
①The images leave little to the imagination, exposing passengers’ bodies in sufficient detail for screeners to count the change in our pockets and see beads of sweat on our backs—not to mention intimate, gender-specific details.
In the wake of the failed attack, some say we have to choose between security and civil liberties. We don’t have to sacrifice one for the other. Promising new technologies may provide the tools we need. For example, Dutch officials recently announced they would employ WBI scanners that use new software that protects passenger privacy by producing a cartoonlike image of the body. The scans would still detect foreign materials, but they would allay privacy concerns. And
②more aggressive behavioral profiling could help us identify those who, like would-be bomber Umar Farouk Abdulmutallab, leave telltale signs that should flag them for secondary screening: buying a ticket with cash, say, or not checking bags on an international flight. (The 400,000 people on the terrorist “watch list” should automatically receive secondary screening.) Other options—bomb-sniffing dogs, heat sensors, puffer machines—are also part of the answer. It’s clear that the technology exists to secure our skies and our civil liberties. I don’t want to let the government, or anyone else, peer through my family’s clothing before we board a flight. None of us should have to.
Interpretation 밑줄친 부분을 의미 단위로 나눠 순차적으로 뜻을 파악해 보자.1 The images / leave little / to the imagination, // exposing passengers’ bodies / in sufficient detail / for screeners / to count the change in our pockets / and see beads of sweat on our backs— // not to mention intimate, / gender-specific details.
그 영상들은 상상의 여지를 남기지 않는다 → 어떤 식으로? → 승객들의 신체를 아주 세세하게 드러내서 → 누구에게? → 검색 요원에게 → 무엇을 하라고? → 우리 호주머니에 든 동전을 세고 등에 솟은 땀방울을 보도록; 하물며 말할 것도 없고 → 무엇은? → 은밀하고, 성별에 국한된 세부 사항(다시 말해 성별을 구별하는 신체 부위)
주절(The images leave little to the imagination)만 도해하면 이런 그림이 나온다.
2 More aggressive behavioral profiling / could help us identify / those who, / like would-be bomber Umar Farouk Abdulmutallab, / leave telltale signs / that should flag them / for secondary screening: // buying a ticket with cash, / say, / or not checking bags / on an international flight.
좀 더 적극적인 행동유형 분석이 우리에게 도움이 된다 → 무엇을 하는 데? → 색출하는 데 → 누구를? → 확실한 흔적을 남기는 사람들 → 어떤 흔적? → 2차 검색 대상자를 알려줘야 마땅한 흔적 → 예를 들면 어떤 사람? → 성탄절 여객기 폭파테러 기도 용의자인 우마르 파루크 압둘무탈라브 같은 사람 → 행동유형 흔적의 구체적 사례는? → 현금을 내고 비행기표를 사거나 국제선을 타면서 수하물을 부치지 않는 행동
Careful Reading 다음 질문에 답하면서 좀 더 자세히 내용을 파악하자(답은 맨 아래).1 Why did he propse an amendment limiting the use of WBI scanners?
2 What caused a rush to implement the WBI method at airports?
3 Why do the WBI images leave little to the imagination?
4 What does the writer think more important, flight saftey or privacy?
5 Why does the writer think so?
Grasping the Main Idea 각 단락의 요지를 말해 보자.단락 4 성탄절 자폭기도 사건 후 모든 공항이 WBI 스캐너 도입에 나섰지만 실제로 그 영상을 보면 그런 검색을 받을 마음이 없어진다.
단락 2 사생활도 보호하고 항공 안전도 개선할 기술적 대안이 있다.
Writing Skills 넷째 단락에선 자신이 생각하는 바를 어떻게 구체적인 행동으로 옮겼는지 보여준다
(I proposed an amendment limiting the use of WBI scanners). 그러나 돌발 사건 때문에 WBI의 전면 실시가 예상되면서 사생활 침해 우려가 더 커진다는 사실을 지적했다. 그래서 이제는 WBI 영상이 어떤 식으로 사생활을 침해하는제 아주 구체적으로 예시했다(… the change in our pockets … beads of sweat … intimate, gender-specific details). 마지막 단락에선 항공 안전과 사생활 보호 사이의 균형을 잡으면서 구체적 대안을 제시했다(promising new technologies). 그런 다음 다시 주제로 돌아가 누구든 아내와 자녀가 그런 일을 당하도록 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며 글을 맺었다.
clues for Careful Reading 질문의 답1 WBI 스캔이 모든 승객에게 의무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2 성탄절 나이지리아 젊은이가 미국행 비행기 안에서 자폭테러를 기도한 사건.
3 은밀한 신체 부위는 물론이고 호주머니의 동전까지 세고, 등에 솟은 땀방울까지 보인다.
4 항공 안전과 사생활 둘 다 중요하다.
5 유망한 첨단 기술이 대안을 마련해 주기 때문이다.
불쏘시개가 된 터키 유화정책
Turkey’s Street Fighters(뉴스위크 영문판 1월 11일자에서)
SONER CAGAPTAY
Turkey’s ①Kurdish problem / —a reference to the long, bitter history / between the state / and some of its Kurdish community / —②took a vicious turn / in recent months, / as ordinary Kurds and Turks / ③took to fighting in the streets. Although the government and a Kurdish terror group, / the Kurdistan Workers’ Party(PKK), / have battled since the 1980s, / the conflict / never escalated into violence / between regular citizens / —until now.
터키는 ①쿠르드족 문제로 골머리를 앓아 왔다. 이는 터키 정부와 쿠르드족 일부 간의 긴 대립의 역사를 가리키는 말이다. 최근 몇 달 새 쿠르드족 민간인과 터키인들이 거리에서 충돌하기 ③시작하면서 사태가 ②악화됐다. 정부와 쿠르드족 테러단체인 쿠르드노동자당(PKK)이 1980년대 이후 싸움을 벌여 왔지만 최근까지는 그런 갈등이 일반 시민 간의 폭력사태로 번진 적은 한번도 없었다.
It’s the result / of a ④misguided, / if ⑤well-meaning, / initiative / —a “Kurdish opening” / —from the ruling Justice and Development party(AKP), / designed to address tensions/ by offering special new rights to Kurds, / including amnesty for PKK members. That ⑥rankled / much of Turkey, / which has lost 30,000 people / to PKK terrorism / ⑦over the years. The AKP also granted Kurds rights / beyond those / enjoyed by other ethnic groups. The result was mob violence / —and ⑧tumbling poll numbers for the AKP. To fix things / the AKP should expand rights / for everyone, / including freedom of expression. That would be good / not just for the party / but for Turkey as a whole.
이는 ⑤의도는 좋았지만 ④미숙한 집권 정의발전당(AKP)의 정책이 원인이었다. 이 ‘쿠르드족 개방’ 정책은 PKK 단원 사면 등 쿠르드족에게 새로 특별한 권리를 부여함으로써 긴장을 해소하려는 목적이었지만 오히려 상당수 터키인들의 ⑥반발을 샀다. 터키는 ⑦오랜 세월에 걸쳐 PKK의 테러로 3만 명이 목숨을 잃었다. AKP는 또한 다른 민족들은 누리지 못하는 권리를 쿠르드족에게 부여했다. 그 결과 집단 폭력사태가 벌어지고 AKP의 지지도는 ⑧급락했다. AKP가 이번 사태를 해결하려면 표현의 자유를 포함한 권리를 모든 사람에게 확대해야 한다. 그것은 집권당뿐 아니라 터키 전체에 유익한 일이 될 듯하다.
Notes1 Kurds 터키·이라크·이란 국경지대에 거주하는 민족. 국가가 없는 민족 중 최대 규모다. 터키에는 1200만여 명이 분포하며 84년부터 쿠르드노동자당(PKK) 중심으로 분리독립을 요구하며 무장투쟁을 전개해 왔다
2 take a vicious turn 악화되다(take a turn for the worse) Ex. The complicated story took a vicious turn when her boyfriend betrayed her. (그 복잡한 이야기는 남자친구가 그녀를 배반하면서 비극으로 치달았다)
3 take to 시작하다, 돌입하다(enter) Ex. Those Indians did not take to fighting with white settlers. (그 인디언들은 백인 정착민들에게 싸움을 걸지 않았다)
4 misguided (계획 등이) 미숙한, 완벽하지 않은(poorly conceived or thought out) Ex. a misguided plan to take over the company(미숙한 기업인수 계획)
5 well-meaning (사람의 언행이 좋은 결과를 낳지는 않았지만) 성의가 있는. Ex. well-meaning but often misguided man(뜻은 좋지만 종종 오해를 살 만한 행동을 하는 남자)
6 rankle (증오·원한·괴로움 등의 감정이) 마음에 사무치다, 마음을 괴롭히다 Ex. Nothing rankles those who pay their fair tax share like knowing some people don’t. (세금을 꼬박꼬박 내는 사람의 입장에서 탈세하는 사람이 있다는 사실을 아는 것만큼 울화가 치미는 일은 없다)
7 over the years 오랜 세월에 걸쳐, 세월이 흐름에 따라 Ex. One’s views change over the years(세월이 지나면 사람의 생각도 바뀐다).
8 tumble 굴러 떨어지다, 낙하하다, 하락하다 Ex. tumble down the stairs(계단에서 굴러 떨어지다)
NEWSWEEK KEYWORDS
1. Iran-Contra Affair이란 콘트라 사건. 1985년부터 이듬해까지 미 국가안전보장회의 (NSC)은 비밀리에 레바논에 억류중인 미국시민의 석방을 조건으로 이란 시아파 무장조직에 무기를 팔았다. 당시 이라크와 전쟁중인 이란을 원조하지 않고 테러 집단과의 흥정을 거부한다고 표명했던 미국 정부의 공식 입장과는 배치되는 행동이었다. NSC 간부진은 판매 대금의 일부를 빼돌려 니카라과의 반정부 게릴라 조직인 콘트라에 지급하기도 했다. 이런 활동은 84년 미 의회를 통과한 볼런드 수정법(콘트라에 대한 일체의 군사원조를 금지한 법률)을 위반한 것이었다. NSC의 불법 활동은 1986년 11월에 폭로됐고 테러에 강경 대처하는 세계 강대국으로서의 미국의 신용도 금이 갔다. (2010년 1월 27일자 12쪽)
2. Color Revolution색깔혁명. 공산주의 몰락 이후 동유럽과 중앙아시아에서 일어났던 일련의 반독재 운동을 일컫는다. 참가자들은 부패하거나 독재적인 정부에 대항해 비폭력 저항으로 민주주의를 요구했다. 이 운동은 특정 색이나 꽃을 상징으로 내걸었다. 1999년 유고슬라비아의 불도저 혁명을 시작으로 그루지야의 장미혁명(2003년), 우크라이나의 오렌지혁명(2004년), 키르키스스탄의 레몬혁명(2005년)으로 이어졌다. 일각에서는 석유가 풍부하게 매장된 이 지역에서 이권을 차지하려는 미국, 러시아 등 강대국들의 물밑다툼이 큰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있다. (14쪽)
3. Jihadistan지하디스탄. 지하디스탄은 ‘지하드’(성전)와 산스크리트어로 ‘땅’을 뜻하는 ‘스탄’을 합성한 단어다. 성전의 나라라는 뜻으로 과격한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의 국경을 초월한 ‘가상 국가’를 가리킨다. 지하디스탄은 어떤 정부도 믿지 않으며 서방의 ‘개입’을 허용하고 주도권을 내준 세속적인 아랍 국가들을 증오한다. 헤즈볼라나 알카에다, 탈레반 모두 지하디스탄의 일부로 본다. 또 상황에 따라 비이슬람 테러집단이나 범죄조직과도 자유롭게 협력한다. 지하디스탄은 끊임없이 변하며 세계 곳곳의 분쟁 지역에서 새로운 전선을 만들어낸다. (34쪽)
4. Washington Consensus워싱턴 컨센서스(합의). 80년대에 서방에 빚진 채무를 갚지 못하는 남미 등 개발도상국들이 경제위기를 맞고 동유럽 국가들이 시장경제 도입을 꾀하자 세계은행, IMF, 미국 재무부 관리 등이 주축이 돼 워싱턴에서 개도국 관련 개혁 처방을 합의한다. 미국식 시장경제를 기초로 정부의 간섭을 배제하는 탈규제화를 비롯해 무역자유화, 자본자유화, 민영화를 주요 골자로 한다. 89년 미국의 정치경제학자 존 윌리엄슨이 자신의 보고서에서 이 합의를 워싱턴 컨센서스로 이름 붙였다. 후에 미국의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술수라는 비판을 받았고 최근에는 정부 주도의 경제발전을 뜻하는 ‘베이징 컨센서스’가 주목 받는다. (47쪽)
이웃인 베컴 가족이랑 매일 만나요
A Cha-Cha Chat With a Lot of Spice스케어리 스파이스(멜라니 브라운)가 ‘스타와 춤을’에 출연했다(프로와 아마추어 댄서가 한 팀을 이뤄 춤 솜씨를 겨루며 심사위원과 시청자가 투표로 승자를 결정하는 프로그램). 이 프로그램이 끝나도 그녀의 춤추기는 계속된다. 스파이스 걸스의 재결성 순회공연이 이어지기 때문이다. 라민 세투데 기자가 그녀를 만났다.(아이들을 모두 데리고 순회공연을 나서는 게 파트리지 가족 같다는 기자의 말에 멜라니가 대꾸를 하지 않는다.)
Didn’t you (____) that in the U.K.? 영국에선 그들 얘기를 못 (들었나) 보지?
I don’t think so. 그런 것 같다.
QUIZ 위 대화에서 ‘듣다’를 영어로 어떻게 표현했을까?★★★ 오래 전 미국에 파견 나갔던 한 친구의 이야기다. 당시 누구나 하나씩 갖고 있던 휴대형 카세트가 고장 나서 전자제품 수리점에 들고 갔다. “소리가 나오지 않는다”고 설명해야겠는데 sound라는 단어만 떠오를 뿐 문장을 어떻게 만들어야 할지 퍼뜩 생각이 떠오르지 않았다. 간단하게 ‘No sound’라고 만해도 뜻이 통하겠지만 그런 융통성도 없는 친구였다. 우물쭈물하며 카세트를 만지작거리자 눈치 빠른 점원이 고민을 해결해줬다.
You don’t get any sound, huh?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나요? → 소리가 안 나오는 건가요?)
카세트 대신 자신을 주어로 하는 방법은 생각하지도 못했던 친구는 이마를 치면서 탄복했다. 여기서 또 한가지, get의 용례도 눈여겨봐야 한다. ‘듣다’는 의미의 단어로는 hear, listen이 널리 쓰이지만 구어체에선 get도 hear와 같은 의미로 많이 쓰인다. 예문에서도 기자의 질문 ‘Didn’t get that in the U.K.?’은 ‘Didn’t hear that…’과 같은 의미다. 가령 “넌 구라 닮았어(You look like Gura)” 라고 말할 때 I get that a lot이라고 하면 “그런 말 많이 들어” 라는 뜻이다. 얼마 전 이 난에서 미국의 인기 드라마 ‘오피스’에 등장하는 코미디 배우 스티브 카렐의 인터뷰를 소개했는데 거기서 뉴스위크 기자가 그에게 이런 질문을 했다.
I thought the U.S. version of “The Office” would suck. Did you get a lot of that?
‘오피스’ 미국판은 형편 없으리라고 생각했다. 그런 말을 많이 들었나?
하지만 ‘듣다’란 정의는 get이 지닌 실로 수많은 의미 중 하나에 불과하다. 참고로 다음의 문장들을 get을 이용해 영어로 옮겨보자.
1 무슨 말인지 모르겠니?
2 두고 보자.
3 그게 문제야.
4 내가 문 열어줄게.
5 내가 가져다 줄게.
6 전화 내가 받을게.
7 마음 속의 얘기를 모두 털어놔.
8 글로 기록을 남겨둬야 돼.
9 어디서 샀니?
10 잊어버려. 그런다고 잃어버린 돈이 다시 돌아오지 않아.
Answers1 Don’t you get it? 2 I’m going to get you.
3 That’s what gets me. 4 I’ll get the door.
5 I’ll get it for you. 6 I’ll get it.
7 Just get it all out. 8 You should get it in writing.
9 Where did you get it?
10 Get it over with. You won’t get your money back anyway.
★★★ 어느 상황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표현
★★ 가까운 친구끼리는 사용해도 괜찮은 표현
★ 알아두기만 하고 사용해서는 안 되는 표현
Drama english 미드 속 생생 영어
Pick Someone Up
… 를 데리러 오다 pick up은 ‘줍다, 들다, 들어올리다’ 등 여러 가지 뜻을 지닌다. 맡긴 물건을 찾아올 때도 pick up이란 표현을 쓰며, 사람과 함께 쓰일 때는 ‘…를 데리러 오다’란 뜻이다. 회화에서 정말 자주 쓰는 표현 중 하나다. it, me, her, him 등 대명사가 목적어로 올 때는 pick과 up 사이에 들어간다는 점을 잊지 말자.
● 생생 표현 익히기1 Could you pick me up now? 나 좀 지금 데리러 올 수 있어?
2 Who will pick you up after class? 방과 후에 누가 널 데리러 올 거니?
3 If you have time to drop by, please pick him up. 들를 시간 있으면 그 좀 데리고 와줘.
● 셀프 테스트1 7시에 나 데리러 오고, 카메라 가져오는 거 잊지 마.
______ ______ ______ at seven and don’t ______ ______ ______ your camera.
2 나 3시 정각에 여동생 데리러 가야 해.
I have to ______ ______ ______ ______ at three sharp.
Answers 1. Pick me up, forget to bring 2. pick up my sister
【‘스피킹에 강해지는 미드영어 표현 best 100’(J&L English Lab 지음, 21세기북스 펴냄)에서 발췌.】
Persuade와 Convince 제대로 쓰기사전적인 의미는 같지만, 한국어의 ‘설득하다’ ‘권유하다’ ‘납득시키다’ 등은 영어의 persuade나 convince와는 뜻이 좀 다르다. 그러다 보니 한국인들은 영어로 말할 때 다음과 같은 실수를 자주 한다.
1 My father has been persuading me to go to law school, but I don’t want to be a lawyer. (X)
우리 아버지는 날더러 법대에 진학하라고 권유하는데 난 변호사가 되고 싶지 않다.
2 I persuaded a lot of people to invest in this business, but I couldn’t convince anyone. (X)
이 사업에 투자하라고 많은 사람들을 설득했지만 아무도 설득할 수 없었다.
3 I persuaded our company president that this was the best strategy, but he chose a different method. (X)
사장에게 이것이 최고의 전략이라고 설득했지만 그는 다른 방법을 선택했다.
위의 세 문장이 틀린 이유는 영어의 persuade와 convince는 단순히 ‘설득하다’는 의미가 아니라 ‘설득하는데 성공했다’는 뜻이 포함되기 때문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persuade는 ‘실제로 뭔가를 하도록 설득하다’는 뜻이고, convince는 ‘뭔가를 믿도록 납득시키다’는 뜻이다. 따라서 뭔가를 설득하거나 믿도록 하는 데 실패했거나 여전히 권유 중일 때는 try라는 동사를 써서 ‘try to persuade’나 ‘try to convince’를 써야 한다. 따라서 위의 잘못된 예문을 아래와 같이 고쳐야 한다.
1 My father has been trying to persuade me to go to law school,but I don’t want to be a lawyer. (O)
2 I tried to persuade a lot of people to invest in this business, but no one did. (O)
3 I tried to convince our company president that this was the best strategy, but he chose a different method. (O)
참고로 persuade와 convince를 쓸 경우 아래의 세 가지 문장 패턴이 가능하다.
A (try to) persuade/convince + someone + to 부정사
My mother persuaded me to take piano lessons. 어머니의 설득에 나는 피아노 레슨을 받았다.
B (try to) persuade/convince + someone + that 절
My mother persuaded me that it would be good for me to take piano lessons. 어머니의 설득에 나는 피아노 레슨을 받는 편이 좋다고 생각했다.
C (try to) persuade/convince + someone + of + 명사
My mother convinced me of the value of music lessons. 어머니의 설득에 나는 음악 레슨의 가치를 믿게 됐다.
다만 A문형의 경우엔 ‘try to persuade/convince somebody to do something’ 대신에 ‘urge somebody to do something’을 써도 되므로 왼쪽에 제시한 1・2번 예문도 아래와 같이 고칠 수 있다.
1 My father has been urging me to go to law school, but I don’t want to be a lawyer.
2 I urged a lot of people to invest in this business, but I wasn’t able to persuade anyone.
그러나 B・C 문형의 경우엔 urge를 써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urge는 urge + someone + to 부정사로만 쓰이기 때문이다.
【필자인 게리 렉터는 미국인으로 뉴스위크 한국판에서 네이티브 체커로 일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충격 패배에 이정효 감독이 선수들에게 한 말이..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충격 패배에 이정효 감독이 선수들에게 한 말이..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트럼프 “한국 군사비 수십억달러…관세 협상과는 별도”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3분만에 완판된 일본 신칸센 토큰증권…비결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美3상 성공에 HK이노엔, 비만약 신기술에 인벤티지랩 ‘상한가’[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