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유화산업 이끄는 3인방

“허수영 롯데케미칼 사장, 박진수(62) LG화학 부회장, 손석원(61) 삼성토탈 사장은 한국 석유화학산업을 대표하는 3인방이다. 이들에겐 공통점이 많다.”
한국석유화학협회 김평중 연구조사본부장의 말처럼 한국의 석유화학 업계를 이끌어가는 3명의 CEO에겐 3가지 공통점이 있다. 서울대 화학공학과 출신이고 석유화학산업 한우물만 팠으며 평사원으로 입사해 CEO 자리에 올랐다는 것이다.
석유화학 분야의 리더가 서울대 화공과에 몰린 이유는 시대적 산물이다. 1960년대부터 70년대까지 한국의 경제 틀은 ‘경제개발 5개년 계획’에 맞춰 변했다. 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62 ~1966년)은 전력·석탄의 에너지원과 기간산업 확충, 농업생산력 확대에 맞춰졌다.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점을 뒀다. 다음은 중화학공업 개발이다.

‘석유화학업계 맹장’으로 꼽히는 허수영 사장은 1976년 호남석유화학(현 롯데케미칼)에 입사한 이후 40년 가까이 석유화학업계에 몸담고 있다. 롯데그룹의 석유화학 부문을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1980년대 초 여수공장에서 생산과장으로 일할 당시 폴리스티렌 생산 라인을 난이도가 높은 연속공정 방식으로 건설하는데 주도적 역할을 했다. 그런데 시운전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다. 일본의 기술고문이 ‘재가동까지 6개월 이상 걸린다’고 말할 정도였다. 하지만 박 부회장은 야전침대를 현장에 갖다 놓고 일하면서 생산라인을 3주 만에 재가동시켰다.
손석원 사장도 삼성토탈에서 첫 엔지니어 출신 CEO다. 1979년 삼성석유화학에 입사했고, 2003년 삼성토탈 대산공장 공장장으로 승진한 후 8년 동안 근무한 이력을 갖고 있다.
삼성토탈 관계자는 “공장장을 오랫동안 지냈던 손 사장의 존재는 현장에서 일하는 직원들에게 큰 희망”이라고 설명했다. 손 사장은 1977년 TPM(Total Productive Maintenance, 전사적 생산보전 활동) 운동으로 업계에 이름을 알렸다. 국내에서 가장 오래 이어져온 성공적인 내부 혁신 사례로 꼽힌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충청서 압승 거둔 이재명…득표율 88.15%(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어머니, 아버지 저 장가갑니다”…‘결혼’ 김종민 끝내 눈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충청서 압승 거둔 이재명…득표율 88.15%(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 명암] 투심 쏠린 토모큐브, 빅파마가 주목하는 까닭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